KR0130848B1 -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48B1
KR0130848B1 KR1019940037645A KR19940037645A KR0130848B1 KR 0130848 B1 KR0130848 B1 KR 0130848B1 KR 1019940037645 A KR1019940037645 A KR 1019940037645A KR 19940037645 A KR19940037645 A KR 19940037645A KR 0130848 B1 KR0130848 B1 KR 013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ed
water
storage tank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204A (ko
Inventor
다쯔유키 호시노
다카시 반
다카히사 반
다쯔야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5001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04B39/062Cooling by injecting a liquid in the gas to be compre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07Lubrication with lubrication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15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al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작동기기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수냉식의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면서, 그 공기압축기를 포함한 순환계로의 물의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공기압축기(1)의 토출관로(3)에는 애프터쿨러(5) 및 세퍼레이터(6)을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7)에 접속되며, 냉동식 드라이어(7)에서 제습, 건조된 압축건조공기는 수요부(에어젯트직기)(18)에 공급된다. 세퍼레이터(6) 및 냉동식드라이어(7)에서 압축공기로 부터 분리된 수분은 제2드레인관(8) 및 제1드레인관(10)을 통해서 저장탱크(9)에서 회수, 저류된다. 저장탱크(9) 내의 물은 솔레노이드밸브(13)의 제어에 의해 적절하게 급수관로(11)을 통해서 공기압축기(1)의 흡입관로(2)에 공급되며, 외기로 부터의 흡입공기와 함께 압축기(11) 내에 인입되며, 냉각 및 윤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압축기2 : 흡입관로
3 : 토출관로5 : 애프터쿨러
6 : 세퍼레이터(separator)7 : 냉동식드라이어
8 : 제2드레인관9 : 저장탱크(reservoir tank)
9b : 오토드레인(auto drain)기구10 : 제1드레인관
11 : 급수관로13 : 솔레노이드밸브
15 : 감압밸브15a : 노즐부
본 발명은 작동기기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터 습기를 타는 작동기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이 공기압축기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재생가능한 흡착제에 의해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이 제습부로 부터의 압축건조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를 갖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제흡용의 흡착제는 건조된 압축공기를 역류시킨다거나, 히터 등에 의해 가열한다거나 함으로써 알맞은 때에 재생된다.
그런데, 공기압축기에 있어서는 단열압축이나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고온화를 방지하거나, 미끄럼 접촉부에 윤활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냉각 및 윤활을 위해서 흡입공기 중에 기름을 혼입시킨 유냉식의 공기 압축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35195호 공보에는 공기흡입구에 급유구가 설치되어 그 급유구로 부터 압축기 전체로 급유가능하게 된 유냉식공기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의 토출관로에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름방울이 포함된 압축공기로 부터 기름방울을 분리, 저류하는 기름저장탱크가 접속되며, 이 기름저장탱크 내의 기름이 상기한 압축기의 급유구에 공급된다. 또한, 기름저장탱크 내에서는 압축공기로 부터 기름방울을 분리하기 위해서 기름세퍼레이터 엘레먼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퍼레이터 엘레먼트에서 압축공기 중의 유분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유분이 혼합된 압축건조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꺼리는 작동기기, 예를 들면, 에어젯트직기에 유냉식압축기를 갖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공기압축기로서 기름 대신에 물을 사용한 수냉식의 공기압축기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61-36798호 공보에는 상기한 기름세퍼레이터 엘레먼트대신에 물세퍼레이터엘러먼트를 사용해, 상기한 기름저장탱크를 물저장탱크로 사용한 수냉식의 공기압축기가 개시되고 있다.
수냉식 공기압축기라면 압축공기 중으로의 유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물세퍼레이터 엘레먼트로는 수분 밖에 분리할 수가 없으므로, 물세퍼레이터 엘레먼트를 통과해서 외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는 포화수증기가 함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압축기 및 물저장탱크의 순환계에서 상기한 포화수증기량에 상당하는 수분이 외부로 누출되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수시로 순환계에 물을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어 곤란함과 동시에 물의 보급을 하지 않은 경우 압축기에 손상이 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감안해서 구성된 것이며, 수맹식의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면서, 그 공기압축기를 포함한 순환계로의 물의 보급이 불필요한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압축건조공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수요부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며, 흡입관로 및 토출관로를 가진 공기압축기와 그 공기압축기의 토출관로에 접속되며, 그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제습, 건조해서 상기한 수요부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냉동식드라이어나 그 냉동식드라이어로 그 압축공기를 제습, 건조함으로써 발생된 물을 제1드레인관을 통해서 흡수, 저류하는 저류탱크와 그 저장탱크 내의 물을 상기한 공기압축기의 흡입관로에 공급하는 급수관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냉동식 드라이어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진 냉동사이크를 이용해서 상기한 압축공기를 증발기의 주위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습, 건조하는 것이며, 상기한 압축공기를 충분하게 제습, 건조하는 제습기능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전기한 공기압축기의 토출관로와 전기한 냉동식 드라이어와 사이에 그 토출관로 내의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애프터쿨러(after cooler)와 그 애프터쿨러로 냉각된 압축공기로 부터 물방울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를 차례로 배치해서 그 세퍼레이터로 분리된 물방울을 제2드레인관을 통해서 전기한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토출관로와 냉동식 드라이어와의 사이에 애프터쿨러 및 세퍼레이터를 차례로 배열해서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물방울을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구성한 경우는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이 저장탱크 내의 위쪽 공간부와 전기한 급수관로를 노즐부를 가진 감압관로에 의해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전기한 세퍼레이터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저수량이 일정량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를 갖출 수가 있다.
또, 오토드레인기구의 관구를 냉각용송풍기에서 발생한 냉각풍의 유로 도중에 면하게 해서 그 관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그 냉각풍에 섞어서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에어젯트직기로의 압축건조공기의 공급용에 사용되는 것을 바람직한 형태로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서는 공기압축기가 흡입관로를 통해서 외기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고, 토출관로를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로 압축공기를 송입하며, 냉동식 드라이어에서 이 압축공기를 충분하게 제습, 건조해서 수요부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냉동식 드라이어로 압축 공기를 제습, 건조함으로써 발생한 물을 제1드레인관을 통해서 저장탱크로회수, 저류됨과 동시에 저장탱크 내의 물은 공기압축기의 흡입압력이나 저장탱크 내의 수압에 의해 급수관로를 통해서 공기압축기의 흡입관로에 공급된다. 또한, 공기압축기의 흡입관로에 공급되는 물은 외기로 부터 흡입공기와 함께 압축기 내에 인입되며, 압축기의 냉각 및 윤활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냉동식 드라이어에서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충분하게 회수할 수가 있으며, 공기압축기, 냉동식드라이어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 순환계로의 물의 보급이 불필요함과 동시에 수요부에는 충분하게 건조된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압축기의 냉각 및 윤활을 물로 행하기 때문에 수요부에 공급되는 압축 건조공기 중에 유분이 혼입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기압축기의 토출관로와 냉동식 드라이어와의 사이에 그 토출관로 내의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애프터쿨러와 그 애프터쿨러로 냉각된 압축공기로 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를 차례로 배열해서 그 세퍼레이터로 분리된 수분을 제2드레인관을 통해서 전기한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는 공기압축기로 압축된 고온으로 많은 수분을 함유한 압축공기를 냉동식 드라이어로 송입하기 전에 냉각해서 그 압축공기로 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냉동식 드라이어에서 제습기구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토출관로와 냉동식 드라이어의 사이에 애프터쿨러 및 세퍼레이터를 차례로 배열해서 세퍼레이터로 분리된 수분을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구성하면서 저장탱크 내의 위쪽공간부와 전기한 급수관로를 노즐을 가진 감압관로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는 공기압축기의 흡입압력에 의해 저장탱크 내의 위쪽공간부가 감압되므로, 세퍼레이터 및 냉동식 드라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해 세퍼레이터로 부터 제2드레인관, 저장탱크의 위쪽공간부 및 제1드레인관을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로 수분이 역류할 염려를 없앨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의 저수량이 정량을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를 저장탱크에 구비시킨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공기압축기, 냉동식 드라이어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 순환계에서 수량으로 공기압축기에 흡입되는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량이 가산되는 것을 예상해서 저장탱크의 용량을 미리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오토드레인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냉각용송풍기에서 발생한 유로 도중으로 안내함으로써 관구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냉각풍에 접촉시켜 그 물을 증발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잉여로 발생한 물의 배출관로가 필요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의 수요부에 에어젯트직기를 채용하면, 충분하게 건조하면서 유분이 혼입되지 않는 압축건조공기를 에어젯트직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수냉식 공기압축기를 갖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에어젯트직기에 사용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보충이 필요하지 않으며, 그 때문에 배관의 형편상, 수원에 가깝게 설치된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복수의 에어젯트직기에서 공용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물을 보급하기 위한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복수의 에어젯트직기마다 독립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공기건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작동기기로서 에어젯트직기를 사용한 예이다.
제1도의 개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접속된 스크롤형의 공기압축기(1)은 흡입관로(2) 및 토출관로(3)을 가지며, 흡입관로(2)에는 외기로 부터의 공기가 흡입필터(4)를 통해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토출관로(3)에는 애프터쿨러(5), 세퍼레이터(6) 및 냉동식 드라이어(7)가 차례로 접속되어 있다. 애프터쿨러(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접속된 팬(5a)에 의해 토출관로(3) 내의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또한, 세퍼레이터(6)은 애프터쿨러(5)에 의해 냉각되는 압축공기로 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세퍼레이터(6)은 제2드레인관(8)에 의해 후술하는 저장탱크(9)의 위쪽공간부(9a)에 접속되며, 세퍼레이터(6)에서 분리된 물방울은 제2드레인관(8)을 통해서 저장탱크(9)로 회수되며, 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드레인관(8)에는 탱크(9) 내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노즐부(8a)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식 드라이어(7)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가진 냉동사이클로 구성되며, 상기한 압축공기를 증발기의 주위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습, 건조하는 것이다. 이 냉동식 드라이어(7)은 상기한 압축공기를 충분히 제습, 건조하는 제습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냉동식 드라이어(7)에서 압축공기를 제습, 건조함으로써 발생한 물을 저장탱크(9)로 회수, 저류하도록 냉동식 드라이어(7)와 저장탱크(9)의 위쪽 공간부(9a)는 제1드레인관(1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드레인관(10)에도 제2드레인과 같은 형태로 노즐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장탱크(9)에는 저장탱크(9) 내의 저수량이 일정량을 넘을 때에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수는 배수관(19)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저장탱크(9)의 저부와 상기한 공기압축기(1)의 흡입관로(2)는 급수관로(11)에 의해 접속되며, 저장탱크(9) 내의 물이 그 흡입관로(2)로 부터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흡입되어서 공기압축기(1) 내에 인입되며, 공기압축기(1)의 냉각 및 윤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급수관로(11)에는 타이머기구(12)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13)과 수분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4)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이머기구(12)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3)을 개폐함으로써 저장탱크(9) 내의 물이 공급압축기(1) 내에 정기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솔레노이드밸브(13) 및 필터(14) 사이에 위치하는 급수관로(11)과 상기한 저장탱크(9) 내의 위쪽공간부(9a)는 그 도중에 노즐부(15a)를 갖춘 감압관로(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냉동식 드라이어(7)에 의해 제습, 건조된 압축건조공기는 공급관로(17)을 통해서 수요부로서 에어젯트직가(18)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서는 공기압축기(1)의 흡입관로(2)를 통해서 외기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해서 토출관로(3), 애프터쿨러(5) 및 세퍼레이터(6)을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7)에 압축공기를 송입하며, 냉동식 드라이어(7)에서 이 압축공기를 충분히 제습, 건조해서 에어젯트직기(18)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한다. 상기한 세퍼레이터(6) 및 제1드레인관(10)을 통해서 저장탱크(9)로 회수되어 저류된다. 그리고, 타이머기구(12)에 의해 정기적으로 세퍼레이터(13)이 개방되면, 공기압축기(1)의 흡입압력 및 저장탱크(9) 내의 수압에 의해 저장탱크(9) 내의 물은 급수관로(11)을 통해서 공기압축기(1)의 흡입관로(2)에 공급된다. 흡입관로(2)에 공급되는 물은 외기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압축기(1) 내에 인입되며, 압축기(1) 내에서 냉각 및 윤활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냉동식 드라이어(7)의 압축공기를 충분하게 제습, 건조하는 제습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공기압축기(1)의 냉각 및 윤활을 위해 기름을 사용하지 않으며, 압축건조공기 중에 유분이 혼입되지 않은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토출관로(3)에 애프터쿨러(5) 및 세퍼레이터(6)을 갖추고 있으므로, 애프터쿨러(5)에서 냉각되며, 더욱이 세퍼레이터(6)에서 물방울을 냉각시킨 압축공기를 냉동식 드라이어(7)에 송비할 수가 있으며, 냉동식 드라이어(7)에서 제습기구부하의 저감화에 의한 냉동식 드라이어(7)의 컴팩트화에 공헌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저장탱크(9) 내의 위쪽공간부(9a)와 급수관로(11)을 노즐부(15a)를 갖춘 감압관로(15)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공기압축기(1)의 흡입압력에 의해 저장탱크(9) 내의 위쪽공간부(9a)가 감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6) 및 냉동식 드라이어(7)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에 의해 세퍼레이터(6)으로 부터 제2드레인관(8), 저장탱크(9)의 위쪽공간부(9a) 및 제1드레인관(10)을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7)로 수분이 역류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서는 세퍼레이터(6)에서 분리된 물방울은 제2드레인관(8)을 통해서 저장탱크(9) 내로 회수함과 동시에 냉동식 드라이어(7)에서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충분하게 회수할 수 있으므로, 공기압축기, 냉동식 드라이어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 순환계로의 물의 보급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수냉식공기압축기를 갖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에어젯트직기에 사용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물보충을 해줄 필요가 없으며, 이 물을 보급하기 위한 배관의 형편상, 수원이 가깝게 배치된 압축건조공기공급장치를 복수의 에어젯트직기로 공용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공급장치는 물을 보급하기 위한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복수의 에어젯트직기마다 독립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저장탱크(9)가 그 저수량이 일정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9b)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공기압축기(1), 애프터쿨러(5), 세퍼레이터(6), 냉동식 드라이어(7) 및 저장탱크(9)에 의해 이루어진 순환계에서 수량에 공기압축기(1)에 흡입되는 외기에 함유된 수분량이 가산되는 것을 예상해서 저장탱크(9)의 용량을 미리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저장탱크(9)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용송풍기의 냉각풍을 오토드레인기구의 관구에 안내하는 통로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관구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냉각풍에 접촉시켜 그 물을 증발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과잉하게 발생한 물의 배출관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는 수냉식의 공기압축기 및 냉동식 드라이어의 채용에 의해 충분하게 건조됨과 동시에 유분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냉동식 드라이어에서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충분하게 회수할 수가 있으므로, 공기압축기, 냉동식 드라이어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 순환계로의 물의 보급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작동기기로서의 수요부에 에어젯트직기를 채용한 경우, 물을 보급하기 위한 배관이 불필요하게 되며, 복수의 에어젯트직기마다 독립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공기압축기의 토출관로와 냉동식 드라이어의 사이에 그 토출관로 내의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애프터쿨러와 그 애프터쿨러에서 냉각된 압축공기로 부터 물방울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를 차례로 배치하는 경우는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으로 많은 수분을 함유한 압축공기를 냉동식 드라이어로 송입하기 전에 냉각해서, 그 압축공기로 부터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냉동식 드라이어에서 제습기구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냉동식 드라이어를 캠팩트화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 있어서, 저장탱크 내의 위쪽공간부와 급수관로를 노즐부와 설치된 감압관로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공기압축기의 흡입압력에 의해 저장탱크 내의 위쪽공간부가 감압되므로, 세퍼레이터 및 냉동식 드라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해 세퍼레이터로 부터 제2드레인관, 저장탱크의 위쪽공간부 및 제1드레인관을 통해서 냉동식 드라이어로 수분이 역류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에 저수량이 정량을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를 구비시킨 경우에는 공기압축기, 냉동식 드라이어 및 저장탱크를 포함한 순환계에 있어서의 수량에 공기압축기에 흡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량이 가산되는 것을 예상해서 저장탱크의 용량을 미리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저장탱크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토드레인기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냉각용송풍기에서 발생한 냉각풍의 유로 도중에 안내함으로써, 관구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증발시킬 수가 있으며, 과잉으로 발생한 물의 배출관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5)

  1. 압축건조공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수요부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관로(2) 및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관로(3)를 설치한 공기압축기(1)와, 그 공기압축기(1)의 토출관로(3)에 접속되며, 그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애프터쿨러(5)와, 그 애프터쿨러(5)에서 냉각된 압축공기로 부터 물방울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6)와, 그 세퍼레이터(6) 통과 후의 압축공기를 제습, 건조해서 상기한 수요부에 압축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냉동식 드라이어(7)와, 그 냉동식 드라이어(7) 및 상기한 세퍼레이터(6)에 의해 압축공기로 부터 분리된 물을 각각 제1드레인관(10) 및 제2드레인관(8)을 통해서 흡수, 저류하는 저장탱크(9)와, 그 저장탱크 내(9)의 물을 상기한 공기압축기(1)의 흡입관로(2)에 공급하는 급수관로(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저장탱크(9) 내의 위쪽공간부(9a)와 전기한 급수관로(11)가 노즐부를 가진 감압관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탱크(9)는 저수량이 일정량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배수하는 오토드레인기구(9b)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오토드레인기구(9b)의 관구를 냉각용송풍기에서 발생한 냉각풍의 유로 도중에 면하게 해서 그 관구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그 냉각풍에 섞어서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요부는 에어젯트직기(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KR1019940037645A 1993-12-24 1994-12-24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KR0130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28703A JPH07180663A (ja) 1993-12-24 1993-12-24 乾燥圧縮空気供給装置
JP93-328703 199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04A KR950019204A (ko) 1995-07-22
KR0130848B1 true KR0130848B1 (ko) 1998-04-28

Family

ID=182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645A KR0130848B1 (ko) 1993-12-24 1994-12-24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99673A (ko)
JP (1) JPH07180663A (ko)
KR (1) KR0130848B1 (ko)
BE (1) BE1010000A3 (ko)
DE (1) DE4445972C2 (ko)
TW (1) TW2848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297B1 (ko) * 2005-08-23 2007-03-02 주식회사 한국에어브레이크 차량의 압축공기 전처리 장치
KR100905609B1 (ko) * 2002-11-20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송풍기의 방풍공기를 이용한 용광로의 압축공기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7885A1 (de) * 1998-10-20 2000-05-04 Werner Will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ichten eines gasförmigen Mediums
DE19942763C2 (de) * 1999-09-08 2003-10-30 Schneider Druckluft Gmbh Einrichtung zum Filtern und Trocknen von Druckluft
US6511525B2 (en) 1999-11-12 2003-01-28 San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from air using a desiccant
US6230503B1 (en) * 1999-11-12 2001-05-15 San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from air
US6412291B1 (en) * 2000-09-05 2002-07-02 Donald C. Erickson Air compression improvement
US6641633B2 (en) 2001-04-23 2003-11-04 Julian L. Witengier Gas/liquid separator for a pneumatic line
US20080135495A1 (en) * 2004-08-31 2008-06-12 Aqua Scien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Water
DE102004051435B3 (de) * 2004-10-20 2006-06-22 Siemens Ag Anlage zur Erzeugung von trockener Druckluft, insbesondere für Schienenfahrzeuge
JP5599565B2 (ja) * 2005-03-25 2014-10-01 ディーユークール リミテッド 流体の含水量を管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305838B2 (en) * 2005-04-05 2007-12-1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ooling compressor intake air
CN101365846B (zh) * 2005-12-07 2010-09-29 阿迪尔西格尔有限公司 用于管理流体中水含量的系统和方法
TWI404897B (zh) * 2006-08-25 2013-08-11 Ducool Ltd 用以管理流體中之水含量的系統及方法
CN101825080A (zh) * 2009-03-06 2010-09-08 郑亚蓉 电冰箱节能压缩机
CN102667350B (zh) 2010-11-23 2015-03-25 杜酷尔有限公司 空气调节系统
US9546574B2 (en) * 2010-12-28 2017-01-17 Rolls-Royce Corporation Engine liquid injection
KR101226019B1 (ko) * 2011-03-10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 압축기용 배수 시스템
CN102430324A (zh) * 2011-11-11 2012-05-02 上海阿普达实业有限公司 蒸发型冷冻式压缩空气干燥器
JP6008568B2 (ja) * 2012-05-07 2016-10-1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DE102012208158B3 (de) * 2012-05-15 2013-09-05 Lindauer Dornier Gmbh Luftdüsenweb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r Druckluftversorgung
US20170082098A1 (en) * 2015-09-21 2017-03-23 Clark Equipment Company Condensate vaporization system
US10920760B2 (en) * 2015-12-25 2021-02-16 Hitachi, Ltd. Air compressor having an oil separator, an oil cooler, first and second evaporators, and wherein intake air and the oil are simultaneously cooled in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ors
US10207807B2 (en) * 2016-04-13 2019-02-19 The Boeing Company Condensate removal system of an aircraft cooling system
US20180119696A1 (en) * 2016-10-28 2018-05-03 Ingersoll-Rand Company Tank control and pump protection for air compressor system including a condensate harvester
US20180119966A1 (en) * 2016-10-28 2018-05-03 Ingersoll-Rand Company Condensate harvester with liquid level sensing and control for air compressor system including a refrigerated dryer
US20180119967A1 (en) * 2016-10-28 2018-05-03 Ingersoll-Rand Company Condenser liquid delivery regulator for a refrigerated dryer having condensate harvester
US10443898B2 (en) * 2016-10-28 2019-10-15 Ingersoll-Rand Company Air compressor system including a refrigerated dryer and a condensate harvester and water supply
US10279299B2 (en) * 2016-11-01 2019-05-07 Ingersoll-Rand Company Air compressor dryer filter
US11029063B2 (en) * 2017-09-14 2021-06-08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Compressor system having a refrigerated dryer
CN109958597B (zh) * 2019-03-12 2021-04-23 复盛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空气压缩设备及其热交换系统
JP7272695B2 (ja) * 2021-10-07 2023-05-12 株式会社フクハラ 空気圧縮機
DE102022112936A1 (de) 2022-05-23 2023-11-23 Zf Cv Systems Global Gmbh Drucklufterzeu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02022112934A1 (de) 2022-05-23 2023-11-23 Zf Cv Systems Global Gmbh Drucklufterzeu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02022112935A1 (de) 2022-05-23 2023-11-23 Zf Cv Systems Global Gmbh Drucklufterzeu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CN114801092A (zh) * 2022-05-30 2022-07-29 广东文穗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注塑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5343C (de) * 1934-07-10 1936-02-07 Sulzer Akt Ges Geb Einrichtung zum Rueckfuehren von Schmiermittel in den Saugraum eines Verdichters
US3785755A (en) * 1971-11-22 1974-01-15 Rogers Machinery Co Inc Air compressor system
FR2181469A1 (en) * 1972-04-25 1973-12-07 Trepaud Pierre Compressed air dehumidifier - having preliminary cooler coupled to reheater
US3967466A (en) * 1974-05-01 1976-07-06 The Rova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uper-saturation for reduced driving requirement
SE388463B (sv) * 1975-01-24 1976-10-04 Atlas Copco Ab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drenering av vetska fran en vetskeavskiljare
GB1557296A (en) * 1976-04-26 1979-12-05 Cooper Ind Inc Liquid injected compressors
US4088426A (en) * 1976-05-17 1978-05-09 The Rovac Corporation Sliding vane type of compressor-expander having differential eccentricity feature
US4242110A (en) * 1979-07-26 1980-12-30 Miller Fluid Power Corporation Compressed gas drying apparatus
DE2935145A1 (de) * 1979-08-30 1981-03-19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zum verdichten trockener gase
DE3118967A1 (de) * 1981-05-13 1982-12-09 Karsten 7148 Remseck Laing Wassergeschmierter luftkompressor
DE3304722A1 (de) * 1983-01-12 1984-07-1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nlage zum trocknen von komprimierter luft
US4505128A (en) * 1983-08-08 1985-03-19 Bio-Care Incorporated Compressor system for discharging dry air
JPS6035195A (ja) * 1983-08-08 1985-02-22 Iwata Tosouki Kogyo Kk 油冷式回転圧縮機の給油方法
JPS6136798A (ja) * 1984-07-30 1986-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セグメンテ−シヨン法
DE68900099D1 (de) * 1988-02-23 1991-07-11 Bernard Zimmern Luftverdichtungseinrichtung mit oelfreiem verdichter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US4905476A (en) * 1988-03-07 1990-03-06 Osmi S.R.L. Device for low temperature refrigerative drying of compressed air (and/) or other gases
JP2530765B2 (ja) * 1990-08-31 1996-09-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冷式圧縮機の運転方法
US5199271A (en) * 1991-01-24 1993-04-06 Zee System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imed oil drain separator
GB2265320A (en) * 1992-03-17 1993-09-29 Process Scient Innovations Removing liquids from compressed gas
JP3203778B2 (ja) * 1992-07-16 2001-08-27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
JPH06136798A (ja) * 1992-10-26 1994-05-17 Sekisui Chem Co Ltd 浴室防水パ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609B1 (ko) * 2002-11-20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송풍기의 방풍공기를 이용한 용광로의 압축공기 생성장치
KR100689297B1 (ko) * 2005-08-23 2007-03-02 주식회사 한국에어브레이크 차량의 압축공기 전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5972C2 (de) 1998-04-02
JPH07180663A (ja) 1995-07-18
KR950019204A (ko) 1995-07-22
DE4445972A1 (de) 1995-06-29
BE1010000A3 (nl) 1997-11-04
US5699673A (en) 1997-12-23
TW284830B (ko) 199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848B1 (ko)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US5791157A (en) Heat pump device and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KR930002429B1 (ko) 냉동싸이클 장치
CN106714937B (zh) 用于被压缩空气的冷却干燥器和对应的方法
JP2009228953A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装置
KR101117773B1 (ko) 저노점 저온 제습기
CN102764569A (zh) 蓄能型冷冻式干燥机
JP4445105B2 (ja) 低着霜式環境試験装置
KR100450282B1 (ko)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KR102373185B1 (ko) 에너지 절약형 듀플렉스 에어드라이어
KR200258699Y1 (ko)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CN108072234A (zh) 空气分离装置的控制方法
JP3266989B2 (ja) 乾燥圧縮空気供給装置
JP2502313B2 (ja) 冷凍式圧縮空気除湿装置
CN206709434U (zh) 冷冻式干燥机制冷系统
JPH06173855A (ja) エアードライヤ
KR100529215B1 (ko) 에어컴프레서용 무전원 제습장치
JP2974869B2 (ja) 除湿装置
KR200336292Y1 (ko) 에어컴프레서용 무전원 제습장치
JPH05308943A (ja) 冷凍装置
CN217206806U (zh) 空气压缩机用除湿节能系统
JP4307642B2 (ja) 除湿装置
JPH0420761A (ja) 冷媒回収機
KR102538185B1 (ko) 냉각 제습기
RU2200680C2 (ru) Система воздухоснаб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