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282B1 -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282B1
KR100450282B1 KR10-2001-0055594A KR20010055594A KR100450282B1 KR 100450282 B1 KR100450282 B1 KR 100450282B1 KR 20010055594 A KR20010055594 A KR 20010055594A KR 100450282 B1 KR100450282 B1 KR 10045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tower
pipe
drying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485A (ko
Inventor
희 철 장
Original Assignee
희 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 철 장 filed Critical 희 철 장
Priority to KR10-2001-005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2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건조기의 건조타워의 재생을 외기 및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부공기를 건조타워로 주입하여 건조타워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가열에 의해 건조타워의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고, 이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수분배출이 끝난 후에 가열된 건조타워를 냉각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공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없이 외기에 의해 건조타워가 재생되어, 압축공기의 손실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이 해소되고 그에 따라 압축공기의 생산능력이 극대화되면서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공기압축기의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저압의 공기부터 고압의 공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lower regenerating non-purge absorption air drier}
본 발명은 공기건조기의 건조타워의 재생을 외기 및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타워의 냉각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손실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이 해소되고 공기압축기의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저압의 공기부터 고압의 공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압축공기의 생산능력이 극대화되는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착식 공기건조기는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 외기에 포화된 수증기가 공기압축기를 통하여 흡입하여 압축된 후 이 압축공기를 쿨러로 냉각하여 응축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하고,
응축되지 않은 포화수증기를 함유한 습공기의 습기를 건조제의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각각 건조제를 함유하는 동일한 두개의 건조타워를 사용하여 한쪽의 건조타워는 압축공기를 내부의 건조제에 통과시키면서 건조과정을 수행하고, 동시에 다른 쪽의 건조타워는 상기 건조과정에서 나오는 건조공기의 일부를 공급받아 내부의 건조타워의 내부의 건조제에 통과시키면서 재생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결국 두개의 건조타워가 일정한 시간의 간격으로 건조과정과 재생과정을 상호 전환하여 반복함으로서 건조된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건조기에 대한 종래의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공기건조기를 자세히 살펴보면,
공기건조기(100)에서 건조제가 충진되는 한 쌍의 건조타워(101)(102)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타워(101)(102)의 하부측에 압축공기유입관(103)이 연결되며, 그 상부측에는 건조공기배출관(104)이 연결되고, 외부공기를 송풍기(105)로 흡입하여 히터(106)로 가열한 다음 상기 건조타워(101)(102)로 보내어 상기 건조타워(101)(102)를 가열하며, 생산된 건조공기의 일부를 냉각용공기관(107)을 통해 상기 건조타워(101)(102)로 이동시켜 상기 건조타워(101)(102)를 냉각함으로서 상기 건조타워(101)(102)가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조타워의 재생과정에 있어서, 냉각 및 재생 시 공기건조기에 의해 생산되는 압축공기의 일부를 사용함으로서, 생산된 압축공기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공기의 손실이 발생함으로서, 건조공기 자체의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건조공기의 손실은 건조공기의 생산효율을 감소시면서 에너지의 효율 또한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공기의 사용으로 인해 공기건조기에 사용되는 공기압축기의 부하변동이 매우 커 공기압축기의 고장의 원인이 되고 운전상 및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그 결과 건조공기의 생산 및 운전에 많은 차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된 건조공기의 일부가 사용됨으로서, 고압의 공기건조기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저압의 공기건조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공기건조기의 활용범위나 사용범위가 위축되고 건조공기의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기로 건조타워를 가열하는 단계와 건조타워의 증발된 수분을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배출이 끝난 건조타워 및 재생관로상의 내부공기의 순환으로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서, 공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없이 외기 및 내부공기의 순화에 의해 건조타워가 재생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건조기의 건조타워를 외부공기 및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재생시키도록 전환밸브와 냉각기, 히터, 송풍기로 구성됨으로서, 공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없이 외기 및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건조타워가 재생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전환밸브와 외기배출관의 사이에 압력저하관이 구비됨으로서, 가열된 외기에 의해 건조타워가 가열되기 전에 건조타워의 내부의 압력이 서서히 떨어지도록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기의 일측에 응축수분리기가 구비됨으로서, 내부 공기의 순환 시 냉각기의 가동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타워와 연결되는 가열 및 냉각공기의 유입 및 유출관에 개폐밸브가 구비됨으로서, 저압부와 고압부가 구분되고 운전의 안전성이 확보되며 한 쌍의 건조타워가 건조와 재생과정의 교환 시에 서로 균일한 압력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부공기를 건조타워로 주입하여 건조타워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가열에 의해 건조타워의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고, 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수분배출이 끝난 후에 가열된 건조타워를 냉각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타워와 압축공기유입관의 사이에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외기배출관이 구비되며, 그 타측에는 압축공기유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건조타워에 상기 압축공기유입관과 외기배출관을 교번하여 연결하는 제1전환밸브와; 상기 외기배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외기배출관이 연결되며, 그 타측에는 외기흡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외기배출관과 외기흡입관을 교번하여 연결하는 제2전환밸브와; 상기 제2전환밸브의 일측에 상기 외기배출관과 대응되도록 관으로 연결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관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건조타워의 상부측의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에 관으로 연결되는 히터와; 상기 제2전환밸브와 히터의 사이에 구비되는 송풍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환밸브는 그 하부측의 상기 외기배출관의 사이에 압력저하관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기는 그 일측의 관에 응축수분리기가 구비되며,상기 히터와 건조타워를 연결하는 관에 제1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개폐밸브와 상기 건조타워의 사이의 관과 상기 건조공기배출관의 사이에 제2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관이 연결되며, 상기 외기배출관에 제3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타워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타워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재생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공기건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건조기
10 : 유입부
11 : 공기압축기 12 : 쿨러 13 : 습공기저장탱크
14 : 제1필터 15 : 압축공기유입관
20 : 건조부
21 : 제1건조타워 22 : 제2건조타워
30 : 재생부
31 : 제1전환밸브
311 : 외기배출관 312 : 압력저하관
32 : 제2전환밸브
321 : 외기흡입관 322 : 외기흡입필터
33 : 냉각기
331 : 응축수분리기
34 : 히터 35 : 송풍기 36 : 제1개폐밸브
37 : 제2개폐밸브 38 : 제3개폐밸브
40 : 건조공기건조공기배출부
41 : 건조공기배출관 42 : 제2필터
50 : 제어부
51 : 컨트롤박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공기건조기의 재생에 있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부공기를 건조타워로 주입하여 건조타워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의 가열에 의해 건조타워의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고, 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의 수분배출이 끝난 후에 냉각기를 가동하여 가열된 건조타워를 냉각시키는 제3단계(S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계(S1)와 제2단계(S2)에서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상기 제3단계(S3)에서는 외부배출관을 차단하고 내부관로의 공기를 내부순환에 의해 냉각시켜 그 냉각된 내부공기를 건조타워에 주입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공기건조기의 건조타워를 재생하기 위해, 외부공기를 흡입(S10)한 다음 그 외기를 히터의 가동(S11)에 의해 가열하여 건조타워의 내부로 이동시켜 건조타워를 가열(S12)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서 가열단계(S1)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증발된 수분을 건조타워의 외부로 배출(S20)하여 그 배출단계(S2)가 끝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배출(S2)이 끝난 다음에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관로 내부의 공기가 순환(S30)되고, 내부공기가 순환(S30)된 상태에서 냉각기를 가동(S31)하여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 냉각된 내부공기의 순환시켜 건조타워의 내부로이송시킴으로서 건조타워의 냉각(S32)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각단계(S3)가 마무리되면서 건조타워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조타워의 가열(S1), 배출(S2), 냉각(S3)으로 그 재생이 마무리된 다음에 건조타워의 교체단계(S4)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처음에 두개의 건조타워를 적절한 관의 개폐에 의해 서로 균압(S40)이 되도록 한 다음, 건조타워의 교환(S41)이 이루어지고, 교환된 건조타워의 재생과정이 다시 시작하고, 가열된 외기를 투입(S10)하기 위해 건조타워의 압력저하(S42)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조타워의 교체(S4)가 이루어지고 건조타워의 압력저하(S40)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처음의 공정인 외기의 흡입(S10)이 시작되면서 다시 모든 공정이 반복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공기건조기의 재생공정에 의해 건조타워가 교번되면서 재생되고, 아울러 건조된 압축공기가 연속적으로 생산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전체 구성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공기건조기(1)는 외기를 압축시켜서 그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부(10)와, 상기 유입부(10)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20)와, 상기 건조부(20)에서 압축공기의 건조과정에 사용되는 건조타워(21)(22)를 재생시키는 재생부(30)와, 상기 건조부(20)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공기배출부(40)와, 상기 유입부(10), 건조부(20), 재생부(30), 그리고 건조공기배출부(40)의 원활한 작동을 이루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부(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압축공기를 만드는 공기압축기(11)와, 그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쿨러(12)와, 냉각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습공기저장탱크(13)와, 압축공기의 유입 시 함께 유입되는 응축수와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14)와, 압축공기를 상기 건조타워(21)(22)로 유입시키는 압축공기유입관(1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쿨러(13)는 외부공기의 압축 시 발생하는 압축열에 의해 고온이 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부(20)는 상기 압축공기유입관(15)에 의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건조타워(21)와 제2건조타워(22)가 구비되어, 상기 제1건조타워(21)가 압축공기의 건조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제2건조타워(22)는 재생과정을 수행하고, 재생이 끝난 건조타워(21)(22)는 다시 교환되어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그 교번에 의해 연속적인 압축공기의 건조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타워(21)(22)의 건조과정은 상기 제1필터(14)에서 완전하게 걸러지지 못한 포화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생부(30)는 외기배출관(311)과 압력저하관(312)이 구비되는 제1전환밸브(31)와, 외기흡입관(321)과 외기흡입필터(322)가 구비되는 제2전환밸브(32)와, 응축수분리기(331)가 구비되는 냉각기(33)와, 흡입된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34)와, 외기를 흡입하고 그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하는 송풍기(35)와, 상기 건조타워(21)(22)의 균압을 이루도록 하는 개폐밸브(36)(37)(38)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전환밸브(31)는 상기 건조타워(21)(22) 중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쪽에는 상기 압축공기유입관(15)과 연결시키고, 재생과정을 수행하는 쪽에는 외기배출관(311)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전환밸브(32)는 한쪽은 외기배출관(311)의 끝단이 구비되어 외기를 배출시키고, 다른 한쪽은 외기흡입관(321)이 구비되어 흡입된 외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분리기(331)는 상기 냉각기(33)의 가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공기배출부(40)는 건조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공기배출관(41)과, 건조된 압축공기의 배출과정에서 발생된 건조제의 분진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필터(42)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컨트롤박스(51)가 구비되어 가동 및 개폐가 이루어지는 각각의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건조기의 재생부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제1건조타워(21)가 건조과정이 수행되고 제2건조타워(22)가 재생과정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건조타워(21)(22)의 재생과정을 보면,
제1전환밸브(31)에 의해 상기 제1건조타워(21)에 압축공기유입관(15)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1건조타워(21)에서 압축공기가 건조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제2건조타워(22)는 외기배출관(311)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전환밸브(32)의 외기흡입관(321)에서 외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과정에 외기흡입필터(322)가 구비되어 외부의 불순물을 걸러준 상태에서 외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흡입된 외기는 히터(34)에 의해 가열되고 그 가열된 외기는 송풍기(35)에 의해 제2건조타워(22)의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타워(21)(22)의 내부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건조제를 가열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은 상기 제2건조타워(22)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상기 외기배출관(31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건조타워(22)의 건조재의 수분제거과정이 끝나면, 상기 제2건조타워(22)를 냉각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제2전환밸브(32)의 밸브전환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관과 외기배출관(311)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외기배출관(311)과 냉각기(33)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기의 외부로의 배출은 차단하고 공기의 내부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공기의 내부순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냉각기(33)를 가동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제2건조타워(22)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응축수분리기(331)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어 순환되는 냉각공기의 수분함유율을 극소화시키고 수분에 의한 재생부(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건조타워(22)의 냉각이 끝난 다음에 개폐밸브(36)(37)(38)가 작동되어 상기 건조타워(21)(22)의 균압이 이루어진 후 건조타워(21)(22)의 교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건조타워(21)의 건조과정의 수행이 끝나고 상기 제2건조타워(22)의 건조과정이 시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균압을 할 때에는 제1개폐밸브(36)와 제3개폐밸브(38)를 폐쇄하고, 제2개폐밸브(37)를 개방함으로서, 상기 제1건조타워(21)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가 상기 제2건조타워(22)로 주입되어 상기 제1건조타워(21)와 상기 제2건조타워(22)가 균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밸브(36)(37)(38)의 개폐에 의해 상기 건조타워(21)(22)의 균압이 이루어진 다음에, 상기 제1전환밸브(31)의 밸브전환에 의해 상기 제2건조타워(2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공기유입관(15)을 연결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건조타워(21)에는 상기 외기배출관(311)을 연결하여 상기의 제2건조타워(22)의 재생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건조타워(21)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건조타워(21)와 외기배출관(311)을 연결할 때 상기 외기배출관(311)에 구비되는 압력저하관(312)을 개방하여 상기 제1건조타워(21)의 압력을 하강시킨 후에 상기 외기배출관(311)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제1건조타워(21)의 압력과 상기 외기배출관(311)의 압력차에 의한 배관이나 재생부(30)의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력이 저하된 후에 상기 개폐밸브(36)(38)가 개방되고 제1건조타워(21)와 제2건조타워(22)의 건조와 재생의 수행이 다시 반복됨으로서, 연속적으로 건조된 압축공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기로 건조타워를 가열하는 단계와 건조타워의 증발된 수분을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배출이 끝난 다음에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건조타워를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공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없이 외기에 의해 공기건조기가 재생되어, 압축공기의 손실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이 해소되고 공기압축기의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저압의 공기부터 고압의 공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압축공기의 생산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건조기의 건조타워를 외부공기에 의해 재생시키도록 전환밸브와 냉각기, 히터, 송풍기로 구성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공기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없이 외기 및 내부공기의 순환에 의해 공기건조기가 재생되어, 압축공기의 손실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이 해소되고 그에 따라 압축공기의 생산능력이 극대화되면서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공기압축기의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저압의 공기부터 고압의 공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면서 장치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전환밸브와 외기배출관의 사이에 압력저하관이 구비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가열된 외기에 의해 건조타워가 가열되기 전에 건조타워의 내부의 압력이 서서히 떨어지도록 하여, 재생부와 건조부의 내부의 공기의 압력차에 의한 배관의 파손이나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기의 일측에 응축수분리기가 구비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내부 공기의 순환 시 냉각기의 가동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여, 건조타워의 재생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아울러 습기에 의한 재생부의 기기의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부와 건조부가 연결되는 관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한 쌍의 건조타워가 건조와 재생과정의 교환 시에 서로 균일한 압력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재생부와 건조부의 압력차에 의해 건조타워에 연결되는 관이나 재생부의 기기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쉽게 저압부와 고압부를 구분하며 그에 따라 운전상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하고, 이 가열된 외부공기를 건조타워(21)(22)로 주입하여 건조타워(21)(22)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의 가열에 의해 건조타워(21)(22)의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고, 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의 수분배출이 끝난 후에 냉각된 내부공기를 순환하여 가열된 건조타워(21)(22)에 냉각시키는 제3단계(S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2. 건조재가 충진되는 한 쌍의 건조타워(21)(22)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타워(21)(22)의 하부측에 압축공기유입관(15)이 구비되며, 그 상부측에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건조공기배출관(41)이 구비되어 건조타워(21)(22)의 연속적인 교번에 의해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흡착식 공기건조기(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타워(21)(22)와 압축공기유입관(15)의 사이에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외기배출관(311)이 구비되며, 그 타측에는 압축공기유입관(15)이 구비되어 상기 건조타워(21)(22)에 상기 압축공기유입관(15)과 외기배출관(311)을 교번하여 연결하는 제1전환밸브(31)와;
    상기 외기배출관(311)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외기배출관(311)이 연결되며, 그 타측에는 외기흡입관(321)이 구비되어 상기 외기배출관(311)과 외기흡입관(321)을 교번하여 연결하는 제2전환밸브(32)와;
    상기 제2전환밸브(32)의 일측에 상기 외기배출관(311)과 대응되도록 관으로 연결되는 냉각기(33)와;
    상기 냉각기(33)에 관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건조타워(21)(22)의 상부측의 상기 건조공기배출관(41)에 관으로 연결되는 히터(34)와;
    상기 제2전환밸브(32)와 히터(34)의 사이에 구비되는 송풍기(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밸브(31)는,
    그 하부측의 상기 외기배출관(311)의 사이에 압력저하관(312)이 구비되어 건조타워(21)(22)의 압력이 서서히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33)는,
    그 일측의 관에 응축수분리기(3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34)와 건조타워(21)(22)를 연결하는 관에 제1개폐밸브(36)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개폐밸브(36)와 상기 건조타워(21)(22)의 사이의 관과 상기 건조공기배출관(41)의 사이에 제2개폐밸브(37)가 구비되는 관이 연결되며, 상기 외기배출관(311)에 제3개폐밸브(3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KR10-2001-0055594A 2001-09-10 2001-09-10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45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94A KR100450282B1 (ko) 2001-09-10 2001-09-10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94A KR100450282B1 (ko) 2001-09-10 2001-09-10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45U Division KR200258699Y1 (ko) 2001-09-10 2001-09-10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85A KR20030022485A (ko) 2003-03-17
KR100450282B1 true KR100450282B1 (ko) 2004-10-02

Family

ID=2772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94A KR100450282B1 (ko) 2001-09-10 2001-09-10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152B1 (ko) 2013-02-28 2015-04-07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25B1 (ko) * 2008-02-15 2010-06-23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에어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915152B1 (ko) * 2008-11-03 2009-09-03 주식회사 메가콤 에너지 절감형 컴프레서
CN108816001A (zh) * 2018-07-31 2018-11-16 浙江高成绿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循环干燥系统
CN109364704B (zh) * 2018-11-29 2024-05-07 宁波杭州湾新区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一种基于蒸汽加热再生的压缩空气供气系统
KR102036331B1 (ko) * 2019-06-20 2019-10-24 이상진 에어 드라이어시스템
KR102380877B1 (ko) * 2021-11-23 2022-04-01 미르지엔아이 주식회사 제약 공정용 공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152B1 (ko) 2013-02-28 2015-04-07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85A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1130B1 (en) Method of compressing and drying a gas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KR0130848B1 (ko) 압축건조공기 공급장치
CA2057920C (en) Desiccant gas drying system
KR102155341B1 (ko) 압축공기 공급시스템
CN101899341A (zh) 吸附式高压天然气脱水工艺及装置
KR20120112372A (ko) 기체의 압축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JPH1028832A (ja) コンプレッサにより圧搾されたガス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100793980B1 (ko) 압축열을 이용한 퍼지 방식 및 넌 퍼지 방식 겸용 흡착식제습시스템
KR100450282B1 (ko)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258699Y1 (ko) 외기 흡입 재생식 흡착 공기건조기의 재생장치
CN208626969U (zh) 一种冷冻-微热再生吸附式组合干燥装置
JP2012223684A (ja) 吸着式エアドライヤ
KR102014459B1 (ko) 압축 공기의 수분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220331734A1 (en) Air dryer and method for drying compressed air using same
RU2182513C1 (ru) Способ осушки сжатого газа
KR101466059B1 (ko) 압축기 폐열원을 이용한 대용량 에어 드라이어의 진공재생장치
KR102373185B1 (ko) 에너지 절약형 듀플렉스 에어드라이어
KR102242809B1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건조 방법
CN208642257U (zh) 一种高效热回收组合干燥机
KR100915152B1 (ko) 에너지 절감형 컴프레서
KR101559019B1 (ko) 압축열을 이용한 공기건조장치
CN208653075U (zh) 一种冷冻吸附组合干燥机
CN209406004U (zh) 一种节能吸附式干燥机
CN214469010U (zh) 一种一体式双冷源溶液除湿机
JP2569751Y2 (ja) 1筒2層式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