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21Y1 -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 Google Patents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21Y1
KR0130721Y1 KR2019950023942U KR19950023942U KR0130721Y1 KR 0130721 Y1 KR0130721 Y1 KR 0130721Y1 KR 2019950023942 U KR2019950023942 U KR 2019950023942U KR 19950023942 U KR19950023942 U KR 19950023942U KR 0130721 Y1 KR0130721 Y1 KR 0130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ope
copper plate
cover
hang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99U (ko
Inventor
홍성기
Original Assignee
홍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기 filed Critical 홍성기
Priority to KR2019950023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21Y1/ko
Publication of KR970013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붕의 동판후레싱 보호용 로프걸이 카바에 과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의 도장공사, 그라우팅, 간판, 코킹작업, 미다시등의 각종 수리, 보수 공사시 지붕의 처마 테두리에 건축선을 살리기 위해 기설치된 지붕부재인 동판후레싱의 소정부위에 로프걸이 카바를 덮어 씌워 고정하여 주므로서 지붕상단으로 부터 고정되어 바닥으로 내려지는 로프가 상기 로프걸이 카바에 안내 지지되어 작업자가 로프를 타고 작업하는 과정에서 동판후레싱 뿐 아니라, 지붕의 아스팔트싱글이 변형되는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처마부에 기설치된 동판후레싱과 지붕의 아스팔트싱글의 미려한 건축선을 그대로 보호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프걸이 카바
제1도 (a)는 본 고안의 로프걸이 카바의 사시도.
(b)는 로프걸이 카바의 설치상태 측단면 예시도.
제2도 (a)(b)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로프걸이 카바의 사시도와 이의 설치상태 측단면 예시도.
제3도는 또 다른 타실시예의 측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결착부 1-1 : 수평결착부
2 : 결착공 3 : 중공부
4 : 경사면 5 : 수직면
6 : 로프안내부 7 : 절곡면
8,8' : 이탈방지편 9 : 절곡지지부
10,10-1 : 로프걸이카바
본 고안은 지붕의 동판후레싱 보호용 로프걸이 카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의 도장공사, 그라우팅, 간판, 코킹작업, 미다시등의 각종 수리, 보수 공사시 지붕의 처마 테두리에 건축선을 살리기 위해 기설치된 지붕부재인 동판후레싱의 소정부위에 로프걸이 카바를 덮어 씌워 고정하여 주므로서 지붕상단으로 부터 고정되어 바닥으로 내려지는 로프가 상기 로프걸이 카바에 안내 지지되어 작업자가 로프를 타고 작업하는 과정에서 동판후레싱 뿐 아니라, 지붕의 아스팔트싱글이 변형되는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처마부에 기설치된 동판후레싱과 지붕의 아스팔트싱글의 미려한 건축선을 그대로 보호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등의 경사지붕과 평탄한 슬라브형의 건물외벽의 각종 보수 공사시 지붕의 상단 또는 옥상으로 부터 벽체 하방으로 로프를 걸어 매달려서 건물의 외벽에서 도장공사, 그라우팅, 간판달기, 코킹작업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로프에 의해 건물의 처마에 기설치된 동판후레싱 및 아스팔트 싱글의 접촉부위가 눌려서 손상되거나 이탈되어 이들을 재시공해야 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마져 우려되었으며, 이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로프가 걸려지는 부위인 동판후레싱의 외측 모서리부에 헝겊이나 종이 또는 나무판등을 대고 이에 로프를 걸어 작업자가 매달려 작업을 하였는 바 이 역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하여 로프에 걸려 지지되는 동판 후레싱이 눌려서 찌그러지거나 손상됨은 여전하였고, 이로 인하여 지붕의 물매가 불균일하게 변형되고 건물지붕의 건축선 미관을 해치게 되며, 동판후레싱 뿐 아니라 지붕부재인 아스팔트 싱글까지도 교체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외벽의 도장공사, 미다시, 그라운딩 및 글자쓰기, 코킹작업 등의 각종 보수작어시 경사진 지붕처마의 평판상의 슬라브 구조의 지붕처마에 설치되는 동판후레싱에 로프가 현가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매달려 작업하는 과정에서 동판후레싱과 지붕을 형성하는 아스팔트싱글이 이탈리되거나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지붕의 동판후레싱에 본 고안의 로프걸이 카바를 씌워 고정한 후 이에 로프를 현가 지지되게 하여 작업을 수행하므로서 동판후레싱과 아스팔트 싱글 지붕부재를 최초 시공형상의 미려함과 건축선을 그대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붕의 동판 후레싱을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일정폭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로프걸이 카바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으로 경사지붕과 밀착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결착공을 갖는 평판상의 결착부를 형성하고, 결착부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절곡된 로프안내부를 연장 형성하며, 로프안내부의 양변에 각각 로프 이탈 방지편을 수직으로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로프안내부의 하단으로는 절곡된 지지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로프걸이 카바를 지붕의 처마에 설치된 동판후레싱의 소정부위에 씌워지는 상태로 설치 보호하여 주므로서 로프를 타고 건물의 벽체 작업시 동판후레싱 및 아스팔트싱글의 지붕부재에 전혀 손상없이 이들의 미려한 건축선을 그대로 보존시켜 주면서도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의 (a)는 본 고안의 로프걸이카바의 사시도, (b)는 로프걸이 카바의 설치상태 측단면 예시도, 제2도의 (a)(b)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로프걸이 카바의 사시도와 이의 설치상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제3도는 또 다른 타실시예의 측단면 예시도이다.
첨부도면 제1도 (a)(b)와 같이, 로프걸이카바(10)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으로 경사진 지붕면(20)에 밀착되도록 한 경사결착부(1)가 형성되고 이 경사 결착부(1)에는 삼방향으로 수개의 결착공(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경사 결착부(1)와 연장된 하방으로 동판후레싱(21)을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 절곡되어 내측으로 중공부(3)와 외측으로 경사면(4) 및 수직면(5)을 갖는 로프안내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로프안내부(6)의 경사면(4) 양단부에는 로프(22)가 좌우 유동되어 로프걸이 카바(1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곡면(7)을 갖는 이탈방지편(8)(8')이 수직의 기립된 상태가 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프걸이카바(10)의 하단부인 로프안내부(6)의 수직면(5') 직하부에는 지붕의 처마(23)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지지부(9)가 형성되어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건축물 지붕의 형태 즉, 상기와 같은 경사진 지붕의 형태에 따른 제1도 (a)(b)의 로프걸이카바(10)의 형상 구조외에 평판상의 슬라브 구조의 건축물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타실시예인 제2도 (a)(b)와 같이 로프걸이 카바(10-1)를 돌출 절곡된 로프안내부(6)로 부터 평판상의 슬래브(20')에 수평상태로 밀착되도록 수평체결부(1-1)를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인 제3도와 같이, 경사지붕의 처마(23) 폭이 좁거나 짧은 경우 동판후레싱(21)은 물론 처마(23) 전체를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로프안내부(6)의 수직면(5)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4는 상단에 나사부(24')를 갖는 체결앙카볼트이고, 25는 너트이며, 26은 아스팔트 싱글의 지붕부재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로프걸이카바(10)(10-1)는 기존 건축물의 경사 지붕 또는 평판상의 슬라브 형태의 지붕 처마(23)에 건축미 또는 물받이용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동판 후레싱(21)의 상면 소정부위에 일정간격(약 6m)을 두고 필요에 따라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작업에 따라 착탈식으로도 설치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로프 걸이카바(10) 설치시에는 제1도 (b)와같이 경사지붕의 처마(23)에 기설치된 동판후레싱(21)에 로프안내부(6)의 중공부(3)가 완전히 덮어 씌워 보호되도록 한 후 경사체결부(1)를 경사진 지붕면(20) 즉, 아스팔트 싱글(26)상에 밀착시켜서 경사체결부(1)의 결착공(2)을 통해 앙카볼트(24)를 박아 너트(25)로 체결하므로서 동판후레싱(21)을 보호하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며, 이때 로프안내부(6)의 수직면(5) 하부의 절곡지지부(9)는 처마(23)의 측면부에 밀착지지되어 로프안내부(6)로 무리한 힘이 가중되더라도 그 형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내구력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로프걸이카바(10)를 설치하여 건물벽체의 도장공사, 그라우팅, 간판설치, 코킹작업, 미다시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할 경우 지붕의 상측 소정 부위에 로프(22)를 고정하고, 이 로프(22)를 건물의 외벽체 하방으로 늘어지게 한 후 이 로프(22)에 매달려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바, 이때 로프(22)는 로프걸이카바(10)의 로프안내부(6)인 경사면(4)과 수직면(5)에 절곡된 상태로 지지되며, 로프(22)에 매달려 외벽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좌우 이동에 따라 로프(22)가 로프걸이카바(10)의 로프안내부(6)에서 좌우 이동될 시 양측의 로프이탈방지편(8)(8')이 가드 역할을 하게 되어 로프(22)가 로프걸이카바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로프(22)는 지붕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경사진 지붕면(20)과 나란히 현가되는데, 이때 로프걸이카바(10)의 로프안내부(6)가 경사결착부(1) 보다 높게 돌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22)가 경사결착부(1)에 결착된 앙카볼트(24)의 너트(25)에 걸리거나 접촉되지 않아 로프(22)의 손상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로프(22)에 의하여 지붕부재인 아스팔트 싱글(26) 역시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아스팔트 싱글(26)이 떨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되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고안의 로프걸이카바(10)는 건축물시공과 보수공사등의 각종 작업시 기설치된 동판후레싱(21) 뿐 아니라 아스팔트싱글(26)의 지붕부재까지는 안전하게 보호 보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제2도 (a)(b)와 같이 지붕이 평판상의 슬라브 구조일 경우 이에 맞게 로프안내부(6)로 부터 수평상태로 절곡되어 수평결착부(1-1)를 갖는 로프걸이카바(10-1)를 결착시키므로서 상기 로프걸이카바(1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며, 제3도와 같이, 지붕처마(23)의 형태(그 폭이 짧거나 좁은 형태)에 따라 로프걸이카바(10)의 로프안내부(6)인 수직면(5)을 길게 형성하여 결착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층건물(아파트 빌라 등)의 경사지붕이나 슬라브상의 지붕의 처마(23)에 물받이용도와 함께 건축선의 미감을 살리기 위해 동판후레싱(21)이 기설치된 건물의 그라우팅, 미다시, 도장(색칠), 코킹작업 및 간판달기 또는 창닦기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할 경우 상기 동판 후레싱(21)이나 아스팔트 싱글(26) 지붕부재를 카바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형상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커다란 실효를 거둘 수 있는 실용적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각종 건물의 지붕처마(23)에 기설치된 동판후레싱(21)을 보호하기 위한 로프걸이카바(10)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으로 다수의 결착공(2)를 갖는 경사 결착부(1)를 형성하고, 이 경사결착부(1)의 하부로 돌출 절곡된 로프안내부(6)를 형성하되 이의 내측으로는 중공부(3)를, 외측으로는 경사면(4)과 수직면(5)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4)의 양단부에는 각각 절곡면(7)을 갖는 이탈방지편(8)(8')을 기립 설치하고, 수직면(5) 하단에는 절곡지지부(9)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프걸이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로프걸이카바(10)의 로프안내부(6)로 부터 직각으로 수평 절곡된 수평결착부(1-1)를 형성한 로프걸이카바(10-1)를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프걸이 카바.
KR2019950023942U 1995-09-04 1995-09-04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KR0130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942U KR0130721Y1 (ko) 1995-09-04 1995-09-04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942U KR0130721Y1 (ko) 1995-09-04 1995-09-04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9U KR970013899U (ko) 1997-04-28
KR0130721Y1 true KR0130721Y1 (ko) 1998-12-15

Family

ID=1942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942U KR0130721Y1 (ko) 1995-09-04 1995-09-04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91B1 (ko) * 2019-12-16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91B1 (ko) * 2019-12-16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9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719A (en) Roof safety anchor
KR0130721Y1 (ko)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JP6980426B2 (ja) 軒先構造
NO166549B (no) Avslutningselement for en takgesimskant.
JP3670136B2 (ja) 手摺りの支持構造
JP2525752Y2 (ja) 建築現場転落防止具
JPH0743324Y2 (ja) 落雪防止具
JPH04302647A (ja) 屋根パネル
KR950008886Y1 (ko) 지붕형성단위체 고정용 브래킷
JPS5915533Y2 (ja) 外囲体
JP2729043B2 (ja) 屋根の軒先縁部の構造
JP3226394B2 (ja) 屋根施工用安全フック装置
JPH0640277Y2 (ja) 構造物壁面の養生装置
JPH0333768Y2 (ko)
JP2530563Y2 (ja) けらば用屋根パネル
JP2510414Y2 (ja) 屋根パネル
JP4059160B2 (ja) 軒樋の配設構造
JPH0645539Y2 (ja) 軒先構造
KR960009159Y1 (ko) 기와를 덮은 지붕구조
JP3400572B2 (ja) 棟部収まり構造
JPH069197Y2 (ja) 軒樋の補強金物
JP2019190041A (ja) 軒先構造
JPS6233843Y2 (ko)
JPH11324314A (ja) 作業床
JP2001059321A (ja) パラペ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