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61Y1 -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61Y1
KR0130461Y1 KR2019950051340U KR19950051340U KR0130461Y1 KR 0130461 Y1 KR0130461 Y1 KR 0130461Y1 KR 2019950051340 U KR2019950051340 U KR 2019950051340U KR 19950051340 U KR19950051340 U KR 19950051340U KR 0130461 Y1 KR0130461 Y1 KR 0130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le screw
coupled
vehicle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169U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51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61Y1/ko
Publication of KR970042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일측 선단에 숫나사(2)가 형성된 제1파이프(10)와, 상기 숫나사(2)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 걸림홈(40)과, 상기 숫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6)를 외주연부(22)에 구비한 제2파이프(20)와,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결합된 고무링(8)과,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반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어 상기 걸림홈(40)에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0)를 구비함으로써 공구의 회전되는 위치가 비틀리더라도 차량의 다른 부품에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음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
제1도는 종래의 기술구성을 보인 결합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보인 결합상태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숫나사 6 : 고정너트
8 : 고무링 10 : 제1파이프
20 : 제2파이프 22 : 외주연부
30 : 걸림돌기 40 : 걸림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결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전장품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파이프는 액체라든가 기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를 차량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파이프를 차량의 부품들 위치와 상호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구부린다든지 또는 절단을 한후에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의 일례를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숫나사(2)를 갖는 제1파이프(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파이프(10)와 결합하게 되는 제2파이프(20)의 일측 외주연부(22)에는 걸림턱(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에 걸리면서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를 회전하는 고정너트(6)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설치된 고정너트(6)는 제1파이프(10)의 선단에 형성된 숫나사(2)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걸림턱(4)과 밀착되는 제1파이프(10)의 숫나사(2) 사이에는 파이프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링(8)이 개재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1파이프(10)의 내측으로 제2파이프(20)를 삽입하다 보면, 상기 제2파이프(2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너트(6)를 제1파이프(1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2)로 나사결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예를들면 스패너)를 사용하여 강한 힘으로 회전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6)가 설치되어 있는 제2파이프(20)의 선단부위에 형성된 외주연부(22)는 제1파이프(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6)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해 상기 고정너트(6)를 회전시키고 있던 공구의 위치가 틀어지면서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부품에 손상을 주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결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전장품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일측 선단에 숫나사가 형성괸 제1파이프와, 상기 숫나사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 걸림홈과, 상기 숫나사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를 외주연부에 구비한 제2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연부에 결합된 고무링과,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연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한다).
제2도 내지 제3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1파이프(10)의 일측 선단에는 숫나사(2)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2) 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걸림홈(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6)는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설치되고, 상기 제1파이프(1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2파이프(2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외주연부(22)에는 고무링(8)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이프(10)의 숫나사(2)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40)으로는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0)가 결합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결합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파이프(1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숫나사(2)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걸림홈(40)으로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파이프(10)의 내측으로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를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파이프(1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는 고무링(8)이 결합되어 파이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너트(6)를 제1파이프(1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어있는 숫나사(2)로 나사결합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예를 들면 스패너)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너트(6)를 강한 힘으로 정,역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제2파이프(20)는 제1파이프(10)의 숫나사(2)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걸림홈(40)으로 걸림돌기(3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너트(6)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상기 제1.제2파이프(10,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공구의 회전되는 위치가 비틀리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다른 부품에 손상을 주었던 것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는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 걸림홈을 갖는 일측 선단에 숫나사가 형성된 제1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제2파이프의 외주연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함으로써 공구의 회전되는 위치가 비틀리더라도 차량의 다른 부품에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음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 기기 등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일측 선단에 숫나사(2)가 형성된 제1프이프(10)와, 상기 숫나사(2) 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 걸림홈(40)과, 상기 숫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6)를 외주연부(22)에 구비한 제2파이프(20)와,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결합된 고무링(8)과, 상기 제2파이프(20)의 외주연부(22)에 반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어 상기 걸림홈(40)에 결합 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이프고정구조.
KR2019950051340U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KR0130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340U KR0130461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340U KR0130461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69U KR970042169U (ko) 1997-07-29
KR0130461Y1 true KR0130461Y1 (ko) 1999-01-15

Family

ID=1944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340U KR0130461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169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0889B1 (en) Cable clamp
JPH07335193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H0742889A (ja) 管継手及び付属ナット
US20050095080A1 (en) Structure for coupling bolt and clamp for automobile
US2828662A (en) Quick disconnect fastener means having circumferentially movable thread segments
JPS6041782Y2 (ja) ケ−ブル保持装置
BR9803460A (pt) Porca de travamento não deformada com fenda.
KR0130461Y1 (ko)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구조
JPH0160714B2 (ko)
US20030021651A1 (en) Nut disengagement prevention structure and battery terminal incorporating same
JPH06193151A (ja) 拡開アンカー
KR200337739Y1 (ko) 파이프의 결합 구조
JP3023822B2 (ja) バッテリー電極用端子金具
KR19990068311A (ko) 콘넥터
JP2002357295A (ja) 管継手
JP2606959Y2 (ja) 電線管接続具
KR900000959Y1 (ko) 관 연결구
KR200319225Y1 (ko) 관연결구조
JPH10205668A (ja) 管体等の接続具
JPH021588Y2 (ko)
KR200169396Y1 (ko) 밴드 클램프
JPH04212112A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KR900000958Y1 (ko) 관 연결구
RU173300U1 (ru) Хомут червячный
JPH11182755A (ja) 管接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