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94B1 -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 Google Patents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94B1
KR0130194B1 KR1019920006350A KR920006350A KR0130194B1 KR 0130194 B1 KR0130194 B1 KR 0130194B1 KR 1019920006350 A KR1019920006350 A KR 1019920006350A KR 920006350 A KR920006350 A KR 920006350A KR 0130194 B1 KR0130194 B1 KR 013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input shaft
pinion
b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05A (ko
Inventor
반 덴버그 어빈
Original Assignee
잭 알. 브레이스
조스트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685,836 external-priority patent/US5199738A/en
Application filed by 잭 알. 브레이스, 조스트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잭 알. 브레이스
Publication of KR92001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60S9/0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the screw axis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93Longitudinally slidable
    • Y10T74/19298Multiple spur gears
    • Y10T74/19307Sele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93Longitudinally slidable
    • Y10T74/19298Multiple spur gears
    • Y10T74/19307Selective
    • Y10T74/19312Direct clutch and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부품의 수가 적고, 그 크기가 작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2중 감속기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세미트레일러용 랜딩기어를 제공함으로써, 속도 변환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특수한 클러치 이동기구를 가지며 소형의 저렴한 2중 감소기어 조립체를 얻을 수가 있다. 2중 감속기어 조립체는 출력축 및 입력축상에 정렬되어 배치됨으로써,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의 표준비를 얻을 수 있는 랜딩 기어의 크랭크 회전 및 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2중 감속기어 조립체의 전체 크기 및 복잡성을 증대시키지 않고서도, 제조시에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저속비를 변경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랜딩기어는 자유자재로 장착될 수가 있고, 내구성이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제1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 바깥쪽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의 크랭크형(cranking)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제1a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 안쪽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의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제1b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 안쪽이나 바깥쪽 어느 한곳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기어의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서 취해진, 저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단면도.
제2a도는 안쪽으로 이동되어서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분리하여 일점쇄선으로 그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저속 기어 상태로 결합 시킨 분해 부분 사시도.
제4a도는 제2a도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시킨 제4도와 유사한 부분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랜딩 기어가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트럭 트랙터와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세미트레일러의 측면도.
제5a도는 제5도를 화살표 5A 방향으로 본 도면.
제5b도는 세미트레일러 프레임의 안쪽으로 장착된 제1a도의 랜딩 기어를 도시한 제5a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6a도는 기어가 맞물린 상태로 도시된, 제6도의 대향면 다리부의 랜딩 기어 조립체의 분해 부분 사시도.
제7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 바깥쪽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의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제8도는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제7도의 기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제9도는 저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제8도와 유사한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 바깥쪽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의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분해 부분 사시도.
제11도는 저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제10도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종단면도.
제11a도는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제11도와 유사한 종단면도.
제12도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의 다리부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분해 부분 사시도.
제13도는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된 제12도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종단면도.
제13a도는 저속 기어 상태로 결합되고 내향으로 변위된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제13도와 유사한 종단면도.
제14도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제12도의 부분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화살표 15-15 방향으로 도시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제일 윗쪽의 기어축의 위치 및 다른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30,150,220 : 랜딩 기어 11,12 : 다리부
13 : 하부관 14 : 상부관
16,123,205,305 : 플랜지판 20,122 : 프레임
21:세미트레일러 24,224 : 하부축
26,121,226 : 스크르(screw)축 27,227 : 상부축
29,229 : 칼라(collar) 34,120,234 : 베벨 기어
40,117,172,256 : 베벨 피니언 41,157,240 : 상부 격실
42,200,242 : 출력축 50,119 : 스페이서 관
55 : 기어 박스 56 : 격실
65,171,257,297 : 기어 68,140,167 : 스플라인 홈
70,245,269 : 슬리이브 75,175,265 : 입력축
80 : 스플라인 83,184,283 : 정지 스프링
84,185,284 : 멈춤 보울 89 : 크랭크 핸들
95 : 고정축 100 : 중간 기어
106 : 연결축 131:출력부
132 : 입력 전달부, 134 : 유성 피니언
165:클러스터(cluster) 기어, 173,251 : (기다란) 축
180 : 복합 기어, 181,196,298 : 피니언 기어
182 : 스플라인 기어, 190,290 : 중간축
250 : 복합 기어 부재
본 발명은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가지는 랜딩 기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표준비를 얻을 수 있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랜딩 시어에 관한 것이며, 상기 2중 감속 기어 조립체가 그러한 표준비를 얻을 수 있도록 부품의 수를 줄이고 소형화시키고 간단하게 구성되어서, 단일의 변위 클러치 기구를 갖추고 있는 비교적 소형이고 저렴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갖추고 있는 랜딩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전체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러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고속 또는 저속으로의 변위를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는 지금까지 많은 양이 생산되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전망을 가지는 상품인데, 이는 미국에서 매년 3십만대 이상이 팔리고 있으며, 그 수입은 약 5백만불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은 랜딩 기어에 대한 수요는 미국의 경우에 상품을 운반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트럭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세미트레일러를 사용하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종래의 2중 감속 랜징 기어는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는 다리부들을 갖추고 있는 한쌍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다리부들은 트럭 트랙터와 결합되는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랜딩 기어, 특히 2중 감속 기어를 갖춘 랜딩 기어는 하기의 방법으로 세미트레일러와 함께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세미트레일러에 화물 등을 선적하거나 출하시키는 독크(dock)와 같은 장소에서 운전자는 먼저 트럭 트랙터로부터 세미트레일러를 분리시킨다. 선적이나 출하가 완료된 후에는 세미트레일러를 다른 트랙터와 다시 결합시킨다. 세미트레일러를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키고 나서 트랙터로부터 분리시킬 때, 트럭 운전자는 크랭크 핸들을 손으로 회전시켜서 다리부들을 지면에 닿을 때까지 연장시킨다. 랜딩 기어의 다리부들을 그 수축된 상태로부터 지면과 접촉하는 연장된 상태로 빠른 속도 연장시키기 위해서 운전자들은 흔히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고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킨다. 랜딩 기어를 고속 기어 상태로 결합시키면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가 낮아서 다리부들의 수직 방향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비는 사용되는 장치에 따라서 약 2 내지 5정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속 기어 상태에서 얻어지는 낮은 비에 대한 작동상의 이익은 저속 기어 상태에서 얻어지는 작동상의 이익에 비해서 작은 것이다. 실제적인 사용의 측면에서, 이는 트럭 운전자가 고속 기어 상태로는 세미트레일러의 부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저속 기어 상태에서는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가 증가하여 약 15내지 50정도가 되는데, 이에 따라서 작동상의 이익도 커진다. 이는 트럭 운전자가 고속 기어 상태에서는 이동시킬 수 없는 부하를 저속 기어 상태에서 그 속도는 느리지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고정된 세미트레일러로부터 트럭 트랙터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운동자는 제5휘일의 죠오(jaws)를 떼어냄으로써 트럭 트랙터의 제5위일로보부터 세미트레일러의 킹핀(kingpin)을 분리시켜야만 한다. 트랙턱가 윗쪽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밀리도록 힘을 받기 때문에, 트랙터를 세미트레일러 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부하의 일부를 완화시키도록 세미트레일러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세미트레일러의 부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제5휘일로부터 분리시켜 윗쪽으로 상승시키고, 랜딩 기어의 다리부들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기어 조립체를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킨다. 제5휘일의 가동 죠오를 떼어내고 난 뒤에는 트랙터가 세미트레일러로부터 분리된다.
물품이 선적되거나 출하되는 세미트레일러에서 작업을 마친 후에, 운전자는 세미트레일러 밑에 트럭 트랙터의 제5휘일을 다시 제자리로 위치 시키고 킹핀을 연결해야 한다. 세미트레일러가 콘크리이트와 같은 안정된 표면상에 놓여져 있고 트랙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지면과 킹핀 사이에는 결합을 위한 틈새가 존재할 것이고, 운전자는 단지 세미트레일러를 킹핀으로 연결시키고 트럭 트랙터를 후진시키면 된다. 운전자는 랜딩 기어를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켜서 트랙터상에 세미트레일러의 부하를 내려놓은 후에, 다음에는 랜딩 기어를 고속 기어 상태로 이동시켜서 다리부들을 빠르게 수축시켜 차량의 작동에 필요한 틈새를 제공한다. 특히, 다리부들이 지면과 거의 1피이트(약 0.305m) 정도 떨어져 있으면 도로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틈새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세미트레일러가 단단치 못한 지면이나 아스팔트 등과 같은 비교적 불안정한 표면상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세미트레일러의 다리부들이 이러한 세미트레일러의 부하로 인해서 지면으로 가라앉게 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또는 높이가 높은 트럭 트랙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운전자는 트럭 트랙터를 세미트레일러 밑으로 후진시키기 전에 지면과 킹핀 사이의 충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세미트레일러를 상승시키도록 다리부들을 더 연장시켜야만 한다. 이는 세미트레일러를 상승시키는데 있어서 작동상의 이익을 얻기 위하여 운전자가 랜딩 기어를 다시 저속 기어상태로 변위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저속 기어 상태에서 트럭트랙터를 결합시키고 세미트레일러의 부하를 트럭 트랙터상에 내려놓은 후에, 운전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부를 위치설정시키기 위해 고속 기어 상태에서 다리부들을 수축시킬 것이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랜딩 기어의 보다 많은 판매를 위해서 이러한 랜딩 기어 시장에서의 보다 많은 판매율을 얻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개선된 성능을 가지는 랜딩 기어의 생산에 계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조립체의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그 크기가 소형화되며 구조가 보다 단순화되어서, 그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소형화될 수 있으며, 랜딩 기어의 다리부의 작은 기어 박스 안에 또는 다리부의 전체에 수용될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므로서 전체 랜딩 기어의 제조 가격이 저렴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갖춘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크랭크 회전 및 변위가 보다 용이하고 세미트레일러상에 자유자재로 장착될 수 있는 랜딩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의 수직 방향 이동거리의 표준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전체 칫수 및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제조시에 넓은 범위에 걸쳐서 일정한 저속비를 유지할 수 있는 랜딩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있으며 사용이 간단한 랜딩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트레일러용 2중 감속 랜딩기어 조립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랜딩 기어 조립체는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 근처에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레그와, 입력축 및 출력축 그리고 이동 기구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기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각의 다리부는 이들 다리부를 연장 및 수축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다리부상에는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 축방향으로 향해 있는 입력축 및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2다리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과 작동적으로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이 고속 기어 상태 또는 저속 기어 상태에서 제1다리부의 이동 기구 및 기어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변위가능하게 되므로서, 제1 다리부의입력축을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 제1 다리부 입력축의 회전수 대 다리부 들의 수직방행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 15 내지 50으로 얻어지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을 고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는 그러한 비가 약 2내지 5 정도로 얻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랍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10)의 제1실시예가 제5도 및 제5a도에 도시되어 있다. 랜딩 기어(10)는 양쪽으로 평행하게 크랭크 핸들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뻗은 한쌍의 다리부(11 및 12)를 포함하고 있다. 제5도 및 제5a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크랭크 핸들(89)에 연결된 다리부(11)가 왼쪽, 즉 세미트레일러의 운전자쪽으로 배열되어 있고, 반대쪽 다리부(12)는 오른쪽, 즉, 세미트레일러의 도로쪽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크랭크 핸들(89)에 연결된 다리부(11)가 세미트레일러의 도로쪽으로, 그리고 반대쪽 다리부(12)가 운전자 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후로는 왼쪽 혹은 운전자쪽의 다리부를 크랭크 연결 다리부(11)로, 오른쪽 혹은 도로쪽의 다리부는 반대쪽 다리부(12)로 각각 부른다. 각각의 다리부(11,12)는 공지 기술 민 문헌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14) 안으로 신축 축이음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하부관(13)을 포함하고 있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하부관(13)의 하단부에는 받침대(15)가 공지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관(14)의 상부 안쪽에는 예를 들면 용접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플랜지판(16)이 부착되어 있다(제1도 참조). 플랜지판(16)의 양쪽 돌출 단부에는 다수의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은 다리부(11,12)를 세미트레일러(21)의 프레임(20)의 외부면(19)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18)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제5도 및 제5a도 참조).
한쌍의 횡방향 지지대(22)(제5a도 참조)가 각각의 다리부(11,12)에 대한 트러스트 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는데, 지지대(22)의 한 단부는 세미트레일러 프레임(20)에, 그리고 그 다른 단부는 각각의 다리부(11,12)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종방향 지지대(23)(제5도 참조)는 그 한 단부가 각각의 다리부(11,12)의 상부관(14)에, 그리고 다른 단부는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20)의 단부들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세미트레일러의 왼쪽, 즉, 운전자쪽 다리부(11)의 각각의 구성부품들을 고려하면, 하부관(13)의 상단부에는 너트(25)가 고정되어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스크루축(2b)(제2도 및 제4도 참조)을 수용하고 있는 데, 이 스크루축(26)은 나사산이 제공된 하부축(24) 및 직경이 작고 나사산이 없으며 일체로 형성된 상부축(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부축(27 및 24)의 중간에는 어깨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28)상에는 환형 칼라(collar)(29)가 지지되어 있으며, 이 칼라(29)상에는 상부축(27)의 둘레로 트러스트 베어링(30)이 설치되어 있다. 트러스트 베어링(30)상에는 상부축(27)의 둘레로 기부(floor base, 31)가 설치되어 있는데, 기부(31)에는 상부축(27)이 관통하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기부(31)는 상부관(14)의 내부면에 용접 연결되어 있다. 상부축(27)에 위치된 경화 트러스트 와셔(33)가 기부(31)의 상부면상에 놓여져 있다. 상부축(27)상에는 베벨 기어(34)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베벨 기어(34)는 베벨 피니언 기어(40)에 의해서 와셔(33)와 접촉하며 상부축(27)상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벨 기어(3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베벨 피니언(40)의 측방향의 나선부(teeth)들이 베벨 기어(34)의 수직방향의 나선부들과 맞물리는 것이다. 결합핀(35)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상부축(27)으로 전달되는데, 이 결합핀(35)은 베벨 기어(34)를 공지된 방법으로 상부축(27)과 결합시킨다. 경화된 트로스트 와셔(33)가 베벨 기어(34)와 결합핀(35)에의한 접촉용으로 마모면을 제공한다. 트러스트 와셔(33), 베벨 기어(34), 결합핀(35) 및 베벨 피니언(40)은 모두가 기부(31)의 윗쪽에 설치된 상부관(14)의 상부 격실(41)에 수용되어 있다. 베벨 피니언(40)은 공지된 방법으로 핀(43)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출력축(42)상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출력축(42)은 제1및 제2단부(44 및 45)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제1및 제2단부(44 및 45)는 각각 부싱(46 및 47)을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다리부(11)의 상부관(14)의 바깥쪽 및 안쪽 벽들에 각각 형성된 구멍(48, 및 49) 안으로 끼워져 있다. 출력축(42)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 관(50)이 각각의 부싱(46,47) 및 베벨 피니언(40)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금속제 기어박스(55) 및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이 함께 전체 격실(56)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격실(56) 안으로 출력축(42)의 제1단부(44)가 연장되어 있다(제1도, 2도, 3도 및 제5a도 참조). 종래의 기어 박스가 그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부품들의 수가 많고 칫수가 크며 다수 덜 소형화된 이유로 인해 제조비가 많이 드는 금속 정밀 단조 가공(metal stamping processes)에 의해서 형성될 수 밖에 없었던 것에 비하여, 기어 박수(55)는 내부의 부품의 수가 적고 칫수가 작으며 소형화됨으로써 금속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어 박스(55)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랜딩 기어(10)의 2단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은 상부관(14)의 바깥쪽 벽 부근에 위치하며, 특히 이 바깥쪽 벽의 폭을 초과해서 연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히 금속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기어 박스(55)가 상부관(14)의 바깥쪽 벽과 결합하여 그 내부의 부품들을 적절히 보호한다. 반면에, 종래의 랜딩 기어 조립체들은 인접한 상부관의 폭 이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내부에 포함된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적절히 보호하도록 함께 결합되는 2개의 기어 박스가 금속 정밀 단조 등의 가공에 의해서 제작되어야 만한다. 기어 박수(550는 비이드 용접부(57) 등에 의해서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 부착되어 있다. 상부관(14) 및 기어 박수(55)의 상부 개방 단부들의 윗쪽에는 고무 등으로 제조된 가스켓(58)이 제공되어서 상부 개방 단부들에 고정되며 덮개(59)에 의해서 보호되어 있는데, 이 덮개(59)는 기어 박수(55)내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구멍(61)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나사(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스켓(58) 및 덮개(59)는 기어 박스(55)와 결합하여, 상부관(14)의 상부 격실(41)과 다리부(11)의 격실(56)내에 포함되어 있는 랜딩 기어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먼지나 습기 등과 같이, 이들 기어 조립체의 효율적인 작동을 방해 할 수도 있는 외부 요소들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축(42)의 제1단부(44)상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기어(65)가 핀(66)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65)는 와셔(67)에 의해 상부관(14)의 바깥쪽 벽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제2도, 3도 및 제4도 참조). 또한, 스페이서 관(50)은 부싱(46,47) 및 베벨 피니언 (40)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켜서 출력축(42)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기어(65)를 격실(56)내의 적절한 측방향 위치에 유지시킨다. 기어(65)의 바깥쪽 중앙부에는 스플라인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55) 내에는 이 스플라인 홈(68)과 정렬된 구멍(6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몽(69) 안으로 제1및 제2단부(73 및 74)를 가지는 슬리이브(70)가 제공되어 있으며, 슬리이브(70)의 제2단부(74)는 기어 박스(55)에 용접 연결되어 있다. 슬리이브(70)의 제1및 제2단부(73 및 74)내에는 각각 한쌍의 부싱(71 및 72)이 끼워져 있으며, 이들 부싱(71 및 72)은 출력축(42)과 정렬되어 있다. 제1및 제2단부(76 및 77)를 가지는 입력축(75)이 슬리이브(70)의 부싱(71 및 72)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출력축과(42)과 정렬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제2단부(77)애는 통상의 방법으로 핀(81)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 혹은 스플라인(80)이 제공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중앙부에는 횡방향으로 뻗은 원통형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에 멈춤 보올(84)이 배열되어 있는 정지 스프링(83)이 구멍(82) 안으로 끼워져서, 슬리이브(70)의 제1단부(73)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및 제2환형 홈(85 및 86)과 결합되어 있다. 입력축(75)의 제1단부(76)에는 횡방향으로 뻗은 원통형 구멍(8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87) 안으로 볼트(88)(제1도 참조)등의 수단을 수용하여서 크랭크 핸들(89)을 입력축(75)에 고정시킨다. 격실(56)내에는 기어(65)및 스플라인(80)의 아랫쪽으로 고정축(95)이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축(95)은 기어 박스(55) 및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멍(96, 및 97)안으로 끼워져 있다. 이 고정축(95)은 용접에 의해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 상태로 기어박수(55)안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축(95)상에는 부상(99)이 배열되어 있으며, 기어(65)및 스플라인(80)과 각각 맞물리는 기어 나선부(101과 102)를 포함하고 있는 중간 기어(100)가 부싱(99)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106)은 그 양단부가 볼트 등과 같은 피스터(107 및 108)에 의해서 다리부(11)의 출력축(42)의 제2단부(45) 및 다리부(12)의 입력축(109)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랜딩 기어(10)의 오른쪽 혹은 도로쪽 다리부(12) 내에 포함되어 있는 내부 부품들은 왼쪽 혹은 운전자쪽 다리부(11)의 상하부관(13과 14)내에 포함되어 있는 내부 부품들과 유사하며, 이는 제6도 및 6a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입력축(109)이 각각 제1및 제2단부(111 및 1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단부(111 및 112)는 부싱(113 및 114)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부싱(113 및 114)은 상부관(14)의 안쪽 및 바깥쪽 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멍(115 및 116) 안으로 끼워져서 정렬되어 있다. 출력축(109)의 제2단부(112) 상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핀(118)에 의해서 베벨 피니언(117)이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입력축(109)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관(119)이 부상(113,114) 및 베벨 피니언(117)을 일정한 위치에 유지시킨다. 베벨 피니언(117)은 베벨 기어(120)와 맞물리는데, 이 베벨 기어(120)는 운전 자쪽 다리부(11)에서의 베벨 기어(34)와 마찬가지로 상하 이동하는 스크루축(121)상에 배열되어 있다. 도로쪽 다리부(12) 안으로 스크루측(121)을 설치하는 방법 및 그 구조는 운전자쪽 다리부(11)안에 설치된 스크루축(26)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는 종래 기술 및 참조 문헌들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세미트레일러 플임(122)(제5b도 참조)의 내부면에 다리부(11 및 12)를 설치하려면, 플랜지판(123)을용접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기어 박스(55)의 외부면상에 부착시키면 되는데(제1a도 참조), 이 플랜지판(123)도 기어 박수의 일부로서 작용한다. 플랜지판(123)의 각각의 돌출 단부에는 다리부(11,12)를 세미트레일러 프레임(122)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125)을 수용하는 다수의 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다리부(11 및 12)에 각각 플랜지판(16 및 123)을 부착시켜서(제1b도 참조) 이들다리부(11 및 12)를 세미트레일러의 외부면이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기어(10)는 저속이 요구될 때 다음과 같이 작동하는데, 크랭크 핸들(89)의 회전수 대 다리부(11,12)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가 크며, 랜딩 기어를 작동시키는 운전자에게 주어지는 작동상의 잇점도 많다. 특히, 이러한 비가 인치(약 2.54cm)당 회전수로 약 15 내지 50까지, 원한다면 약 25 내지 50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35까지이며, 이는 대체로 표준비이다. 제2도 및 제4도에는 랜딩 기어(10)의 저속 기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저속시에, 운전쪽 다리부(11) 및 도로쪽 다리부(12)의 각각의 하부관(13)에 대해서 상부관(14)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크랭크 핸들(89)을 손으로 잡아당기면, 입력축(75)이 그 제일 바깥쪽 위치로 미끄럼 이동하여서 멈춤 보울(84)이 제1환형 홈(85)과 정확하게 결합된다. 그리고나서, 손으로 크랭크 핸들(89)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75)을 제4도에 화살표로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플라인(80)이 중간 기어(100)의 제1나선부(101)와 맞물려서 중간 기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입력축(75)의 회전 운동이 스플라인(80)으로부터 중간 기어(100)의 제1나선부(101)로 전달되는 동안에 약 2.75 정도의 제1감속이 얻어진다.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감속은 중간 기어(100)가 압력축(75)보다 약 2.75배 정도로 느리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약 2.75 정도의 작동상의 잇점이 랜딩 기어(10)의 운전자에게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플라인(80)으로부터 중간 기어(100)의 제1나선부(101)로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중에 제공되는 감속으로 인하여, 운전자는 이러한 감속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크랭크 핸들(89)을 회전시키기가 약 2.75배 정도 더 용이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제1나선부(101)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기어(100)의 제2나선부(102)는 기어(65)와 맞물려서 이 기어(6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기어(65)는 다시 출력축(4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중간 기어(100)의제2나선부(102)로부터 기어(65)로 회전 운동이 전달되는 중에도 약 2.75 정도의 감속이 제공되며, 이러한 감속도 바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제공되는 전체의 비는 제1감속비와 제2감속비의 곱, 즉 2.75 × 2.75=7.56이다. 따라서, 기어(65) 및 이에 부착된 출력축(42)이 입력축(75)보다 7.56배 정도 더 느리게 회전하지만, 작동자는 약 7.56배의 작동상의 편리함을 제공받는 것이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40)은 베벨 기어(34) 및 부착된 스크루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베벨 피니언(40)으로부터 베벨 기어(34)로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동안에 약 2.0 정도의 제3감속이 얻어지며, 따라서 전체의 감속은 약 2.0×7.56, 즉, 약 15 정도가 되고, 이는 저속시 스크루축(26)이 입력축(75)보다 약 15배 정도 더 느리게 회전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기술분야 및 참조 문헌들에서 2번의 감속이 기어 박스(55)내에서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통상적으로 2중감속 조립체라 명명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랜딩 기어(10)를 2중 감속 조립체라 칭하겠다. 대부분 종래의 랜딩 기어는 기어 박스내에 단일 또는 2중 감속부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축과 상하이동 스크루축의 연결부에 또다른 감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랜딩 기어는 기어 박스내에서만 발생하는 감속의 수에 근거하여 단일 감속 또는 2중 감속으로 정해진 것이다. 따라서, 전체의 감속 15를 상하이동 스크루축(26)의 나사산이 제공된 하부축(24)의 나사이동 피치(screw lead pitch)인 2.25와 곱하면, 크랭크 핸들 회전수 대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저속 기어비는 약 2.25×15, 즉, 인치 당 회전수가 약 34 정도가 된다. 이는 저속 기어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89)이 34번 회전할 때마다 스크루축(26)이 수직방향으로 1인치(약 2.54cm)씩 이동함을 의미한다. 스크루축(26)이 입력축(75)보다 약 15배 정도 더 느리게 회전하지만, 운전자는 약 15배 정도의 작동상의 잇점을 제공받는 것이며, 다시 말해서 이러한 감속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크랭크 핸들(89)은 약 15배 정도 더 용이하게 회전하는 것이다. 너트(25)내에서 스크루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너트(25)내에서의 스크루축(26)의 하향 이동으로 인하여 하부관(13)이 상부관(14)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출력축(42)이 연결축(106)을 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서 다리부(12)의 입력축(109)이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입력축(109)에 부착되어 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117)이 베벨 기어(120) 및 이에 부착된 스크루축(121)을 운전자쪽 다리부(11)의 스크루축(26)의 회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하부관(13)을 상부관(14) 안으로 밀어넣는다. 물론, 크랭크 핸들(89)을 반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랜딩 기어(10)의 상술한 모든 부품들의 이동은 반대 방향이 되며, 이에따라서 양쪽 다리부(11,12)에 있는 하부관(13)이 상부관(14)으로부터 길게 빠져나온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랜딩기어(10)를 고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크랭크 핸들(89)의 회전수에 대한 다리부(11,12)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의 비가 작고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작동상의 잇점도 역시 감소되는데, 랜딩 기어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의 비는 인치당 회전수로 약 2내지 5까지, 필요하다면 3내지 4.5 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4.5 까지이며, 이들 비는 대체로 표준비이다. 제2a도 및 제4a도에는 랜딩 기어(10)가 고속 기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속 작동시에, 운전자쪽 다리부(11)와 도로쪽 다리부(12)의 각각의 상부관(14)을 하부관(13)에 대해서 하강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핸들(89)을 손으로 밀어젖히면, 입력축(75)이 그 제일 안쪽 위치로 미끄럼 이동하며 멈춤 보올(84)아 제1환형홈(85)에서 분리되어 제2환형홈(86)과 정확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입력축(75)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제일 바깥쪽 위치로부터 제2a도 및 제4a도에 도시된 제일 안쪽 위치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스플라인(80)이 미끄럼 이동하여 기어(65)의 스플라인 홈(68)과 맞물린다. 이들 기어(80 및 65) 사이의 변위에 있어서, 격실(56)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윤활용 그리이스(heavy lubricating grease)를 통과해야만 하는 스팔라인(80)의 크기가 비교적 작으면, 그러한 변위가 상당히 용이하게 수행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그라이스의 점도가 크면 클수록 이를 통과하는 스플라인 또는 피니언 기어(80)의 이동에 방해가 되며, 냉랭한 기후 조건에서는 그러한 이동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윤할 그리이스를 통해 이동되어야 만 하는 스플라인(80)의 크기가 종래의 기어들 보다 작으므로, 그러한 그리이스의 저항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게다가, 제1및 제2환형 홈(85와 86)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가 약5/8인치(약 1.59cm)로 비교적 짧은데, 이는 종래의 장치들에서 어떤 하나의 기어 속도로 부터 다른 기어 속도로 전환하기 위해서 약 1 1/4인지(약 3.18cm)만큼 안쪽 방향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기어들에 비하면 다소 줄어든 길이이며, 이렇게 짧은 거리는 본 발명의 장치가 용이하게 변위하는데 또한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플라인 변위 혹은 클러치 변위 장치는 일정한 기어의 맞물림 형상과 함께 많은 종래의 랜딩 기어 변위 장치보다 효율적인 것이다.
그리고나서, 손으로 크랭크 핸들(89)을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75)이 바로 이 입력축에 부착된 스플라인(8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플라인(80)은 다시 기어(65) 및 여기에 부착된 출력축(4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출력축(42)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베벨 기어(34)와 맞물리고, 이 베벨 기어(34) 및 여기에 부착된 스크루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벨 피니언(40)으로부터 베벨 기어(34)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에 생기는 감속은 약 2.0 정도인데, 이 감속은 고속 기어에서 발생되는 유일한 감속이며,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루축(26)의 나사산이 제공되어 있는 하부축(24)의 나사이동 피치 2.25를 곱하면 크랭크 회전수 대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고속 기어비는 인치당 회전수로 약 2.25×2.0, 즉, 약 4.5 정도가 된다. 다시 말해서, 고속 기어 상태에서는 크랭크 핸들(89)이 4.5 회전할 때마다 스크루축(26)이 수직방향으로 약 1인치(2.54cm)씩 이동하는 것이며, 이는 저속 기어 상태일 때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속시에 운전자가 약 15 정도의 작동상의 이익을 얻은 것에 비하면 랜딩 기어(10)가 고속 기어 상태, 즉, 고속일 경우에는 반대로 운전자가 입력축(75)보다 약 2배 정도 더 느리게 회전하는 스크루축(26)에 약 2.0 정도의 작동상의 이익만을 제공하면 된다는 것이다. 스크루축(26)이 너트(25) 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루축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서 결국 하부관(13)이 상부관(14)안으로 밀려들어간다. 동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로쪽 다리부(12)는 랜딩 기어(10)의 저속시의 작동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작동한다. 물론 쿠랭크 핸들(89)이 반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랜딩 기어(10)의 모든 부품들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서 양쪽 다리부(11,12)의 하부관(13)이 상부관(14)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연장된다.
스크루축(26) 및 너트(25)가 오른방향 나사산을 가지는가 또는 왼방향 나사산을 가지는가에 따라서, 크랭크 핸들(89)의 주어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하부관(13)이 상부관(14) 안으로 밀려들어가든지 또는 상부관(14)으로부터 빠져나오든지 할 것이다.
제7도 내지 제9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랜딩 기어(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30)는 2중 감속의 작동상의 이익을 얻는데 사용되는 기어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을 제외하면, 특히 출력축(42)상에 배열된 기어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유사하다. 랜딩 기어(130)의 그 밖의 다른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랜딩 기어(130)에 있어서는 베벨 피니언(40)의 외부면에 출력부(131)가 용접 연결되어 있으며, 베벨 기어(40)는 통상의 방법으로 핀(43)에 의해 출력축(42)의 제1단부(44)상에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42)의 제2단부는 부싱(47)을 관통하고 있으며, 이 부싱(47)은 다리부(11)의 상부관(14)의 안쪽벽에 형성된 구멍(49) 안으로 끼워져 있다.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는 직경이 큰 구멍이(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141)의 안쪽 벽에 제공된 구멍(49)과 정렬되어 있다. 구멍(14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는 판(138)이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 용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141 과 142)은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들 구멍(141과 142)의 둘레에는 서로 결합하는 제1및 제2셋트의 기어 나선부(143 및 1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 홈(140)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전달부(132)가 격실(56) 안에 배열되어 있는데, 입력 전달부(132)는 다수의 핀(133)에 의해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출력부(131)에 고정되어 있으며, 핀(133)은 출력부(131)와 입력 전달부(132) 사이로 뻗어 있고, 이출력부(131) 및 입력 전달부(132)에 부착되어 있다. 제1셋트의 기어 나선부(135) 및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셋트의 기어 나선부(136)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유성 피니언(134)이 각각의 핀(133)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출력부(131)와 입력 전달부(132)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30)에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이 제1실시예에 다른 랜딩 기어(10)와 다르지만,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크랭크 핸들(89)의 회전수 대 다리부(11,12)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 및 이에 따라서 얻어지는 작동상의 이익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개념은 이들 실시예에 대해서 동일하며, 앞서 언급했던 종래 기술 및 참조 문헌들에는 랜딩 기어(130)에서의 그러한 비 및 그 크기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랜딩 기어(130)를 고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으로 크랭크 핸들(89)을 잡아당기면, 입력축(75)이 그 제일 바깥쪽 위치로 미끄럼 이동하여서 멈춤 보올(84)이 제1환형 홈(85)과 정확하게 결합된다. 입력축(75)이 제일 바깥쪽 위치로 이동하면, 스플라인 또는 피니언 기어(80)가 미끄럼 이동하여 입력 전달부(132)의 스플라인 홈(140)과 맞물린다. 그리고나서, 크랭크 핸들(89)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75)을 원하는 방향, 즉, 랜딩 기어(130)의 운전자쪽 다리부(11)와 도로쪽 다리부(12)의 각각의 상부관(14)을 하부관(13)에 대해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상부관(14)에 대해서 하부관(13)을 밀어넣거나 빼내는 방향으로 크랭크 핸들(89)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75)을 회전시키면, 스플라인(80) 및 이와 맞물려 있는 입력 전달부(132)가 따라서 회전한다. 입력 전달부(132)는 출력부(131) 및 이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40)을 회전시키며, 베벨피니언(40)은 베벨 기어(34)와 맞물리고 유성 피니언(134)의 제2셋트의 기어 나선부(136)는 기어 나선부(143,144)와 각각 맞물려서 이들 회전 조립체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랜딩 기어(130)의 나머지 구성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앞서 설명한 랜딩 기어(10)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종래기술 및 참조문헌들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랜딩 기어(130)를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핸들(89)을 손으로 밀어내면 입력축(75)이 그 제일 안쪽의 위치로 이동하며, 멈춤보올(84)이 제1환형 홈(85)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환형 홈(86)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입력축(75)이 제일 안쪽 위치로 이동하면, 스플라인(80)이 입력 전달부(132)의 스폴라인 홈(140)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성 피니언(134)(제9도 참조)의 제1셋트의 기어 나선부(135)와 맞물리며, 이에 따라서 스플라인(80)으로부터 유성 피니언(134)의 제1기어 나선부(135)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중에 제1감속이 발생된다. 유성 피니언(134)의 제2기어 나선부(136)는 상부관(14)의 내부의 기어(143,144) 및 이에 부착된 판(138)과 각각 맞물려서 제2감속이 얻어진다. 내부의 기어(143,144) 내에서의 유성 피니언(134)의 주전 회전운동(epicyclic rotation)에 따라서 그 바깥쪽의 출력부(131) 및 이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40)이 상응한 회전운동을 하며, 베벨 피니언(40)은 베벨 기어(34)와 맞물린다. 랜딩 기어(130)의 나머지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도 역시 앞서 설명한 랜딩 기어(10)와 동일하다.
제10도, 11도 및 제11a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150)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도 2중 감속의 작동상의 이익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 조립체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을 제외하고는 많은 면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유사하다. 랜딩 기어(150)의 다른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것과 동일하며, 이는 종래 기술 및 참조문헌들에 잘 설명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에서의 한가지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좌측 혹은 운전자쪽 다리부(11)는 별도의 기어 박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 대신에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상부관(14)내에 전부 포함되어 있다(제11도 참조). 상부관(14)의 안쪽 벽의 상단부에는 상단부에는 상당히 큰 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152)가 구멍(151)을 덮어주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스크루(153)에 의해서 제거가능하게 정착되며, 이들 스크루(153)는 덮개(152) 및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서 쌍을 이루며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154 및 155)을 각각 관통하며, 이들 각각의 구멍(154 및 155)과 각각 결합되어 있다. 구멍(151)은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의 감속 기어 조립체의 각 부품들의 상태를 관찰하는데 유용한 덮개(152)와 함께, 이들 감속 기어 조립체의 각 부품들을 필요할 때마다 조립하고 수리하는데 편리하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각각의 기어의 간격 등을 유지시켜 준다. 금속제 덮개(156)(제11도 및 제11a도 참조)가 상부관(14)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어주는데, 이 덮개(156)는 탭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도시안됨)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상부관(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덮개(156)가 기부(31) 및 상부관(14)의 벽들과 함께 상부관(14)의 상부 격실(157)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부 격실(157)내에는 랜딩 기어(150)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수용되어 있다.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것과 같은 적절한 형태의 가스켓(159)이 통상의 방법으로 덮개(156)와 상부관(14)의 접촉면에 제공된다. 덮개(156)와 가스켓(159)은 상부 격실(157)내에 포함되어 있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이들 조립체의 작동을 방해할지도 모르는 먼지나 습기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상부관(14)의 접촉면에 제공된다. 덮개(156)와 가스켓(159)은 상부 격실(157)내에 포함되어 있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이들 조립체의 작동을 방해할지도 모르는 먼지나 습기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상부관(14)내에 포함되어 있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은 많은 종래의 랜딩 기어 조립체에서처럼 상부관에 별도의 기어 박스를 부착시켜야 힐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152)에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상하부 구멍(160과 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160과 161)은 상부관(14)의 외부벽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상하부 구멍(162와 163)과 각각 정렬되어 있다. 덮개(152)의 하부 구멍(161) 안으로 부싱(164)이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다. 클러스터 기어(cluster gear)(165)는 바깥쪽 단부(168)에 스플라인 홈(167)이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축(173)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플라인 홈(167)은 직경이 감소된 원통형의 종방향 구멍(169)과 연결되며, 이 구멍(169)은 다시 축(173)의 안쪽 단부(166)에 형성되어 있고 직경이 더 감소된 원통형의 종방향 구멍(170)과 연결된다. 축(173)의 안쪽 단부(166)는 부싱(164)을 관통하여 상부 격실(157)의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축(173)의 안쪽 단부(166)의 둘레로 스냅 링(158)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스냅링(158)은 덮개(152)의 안쪽면과 접촉하여서 클러스터 기어(165)를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지 못하게 방지한다. 출력축(200)은 제1단부(201) 및 제2단부(도시안됨)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1단부(201)는 다리부(11)의 집합 기어(165)의 기다란 축(173)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단부는 연결축(도시안됨)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축이 다시 도로쪽 다리부(도시안됨)의 입력축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다란 추(173)의 안쪽 단부(166)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203) 및 출력축(200)의 제1단부(201)에 형성된 횡방향 원통형 구멍(204) 안으로 핀(202)이 마찰을 갖고 각각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의 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클러스터 기어(165)는 기다란 축(173)의 중앙부에 이 축(17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어(171)를 포함하고, 베벨 피니언(172)은 역시 축(173)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기어(171) 안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벨 피니언(172)이 기어(71) 안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기어 조립체가 상당히 소형화될 수 있어서, 기어 조립체를 상부관(14)의 상부 격실(157) 안에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의 또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바깥쪽 및 안쪽 단부(176 및 177)를 가지는 입력축(175)이 출력축(200)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로 상부관(14)상에 회전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축(175)의 중앙부는 부싱(178) 안에서 회전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부싱(178)은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의 하부 구멍(163) 안으로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다. 입력축(175)의 바깥쪽 단부는 부싱(178)을 관통하여 상부 격실(157)의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입력축(175)의 안쪽 단부(177)는 한쌍의 부싱(179a와 179b) 안에 회전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부싱(179a와 179b)은 기다란 축(173)의 원통형 구멍(169) 안으로 마찰에 의해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입력축(175)을 클러스터기어(165)의 축(173) 안에 신축 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랜딩기어(150)의 기어 조립체가 보다 소형화될 수 있으며, 이들 기어 조립체를 상부관(14)의 상부 격실(157) 안으로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입력축(175)과 클러스터 기어(165)의 상호 결합은 양쪽 기어 조립체의 부품들을 안정화 시킨다. 상부 격실(175) 안에 설치된 입력축(175)의 중앙부상에는 이 입력축(175)과 일체로 복합 기어(combination gear)(180)가 형성되어 있다. 복합 기어(180)는 피니언 기어(181) 및 이 피니언 기어(181)의 안쪽 단부 부근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보조 기어의 역할을 하는 스플라인 기어(182)로 이루어져있다. 입력축(175)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181)의 바깥쪽 단부 근처에 횡방향 원통형 구멍(183)이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에 멈춤 보올(185)을 가지는 정지 스프링(184)이 구멍(183) 안으로 끼워져 있으며, 정지 스프링(184)은 부싱(178)의 안쪽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및 제2환형 홈(186 및 187)과 결합된다. 입력축(175)의 바깥쪽 단부(176)에는 횡방향 원통형 구멍(188)이 형성되어서, 볼트 등을 수용하여 크랭크 핸들(도시안됨)을 입력축(175)에 고정시킨다.
바깥쪽 단부(191) 및 안쪽 단부(192)를 가지는 중간축(190)이 상부관(14)의 상부 격실(157) 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데, 이 중간축(190)은 입력축(175) 및 출력축(200) 바로 윗쪽에 위치하며, 이들 축과 각각 정렬되어 있다. 특히, 바깥쪽 및 안쪽 단부(191 및 192)는 각각 부싱(193 및 194) 안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부싱(193 및 194)은 상부관(14)의 바깥쪽 벽 및 덮개(15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부 구멍(162 및160)안으로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다. 중간축(190)의 바깥쪽 단부(191)상에는 기어(19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 단부(192)상에는 피니언 기어(19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관(14)의 안쪽 부분의 상부에는 용접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한쌍의 플랜지판(205)이 서로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판(205)의 각각의 돌출 단부에는 다수의 구멍(206)이 형성되어서, 다리부(11)를 세미트레일러(도시안됨)의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볼트 등의 적절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고 있다. 랜딩 기어 조립체의 도로쪽 다리부(도시안됨)가 동일한 방법으로 세미트레일러에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쪽 다리부(11)와 도로쪽 다리부를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의 안쪽면에 설치하려면, 동일한 방법으로 플랜지판(205)을 사부관(14)의 바깥쪽 면의 상부에 부착시키면 된다. 또한, 각각의 다리부(11과 12)가 이들 다리부의 안쪽 및 바깥쪽 부분들의 상부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플랜지판(205)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에에 따라서 랜딩 기어(150)의 각각의 다리부는 자유자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세미트레일러의 바깥쪽 면이나 안쪽면 어느 곳에도 부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다르지만,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 및 이에 따라서 얻어지는 작동상의 이익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개념은 이들 실시예에 대해서 동일하며, 앞서 언급했던 종래 기술 및 참조문헌들에는 랜딩 기어(130)에서의 그러한 비 및 그 크기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랜딩 기어(150)를 고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으로 크랭크 핸들을 밀어 젖히면, 입력축(175)이 그 제일 안쪽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하며 멈춤 보올(185)이 부싱(178)의 제2환형 홈(187)과 정확히 결합한다(제11a도 참조). 이와 같이 입력축(175)이 안쪽으로 이동하면 복합 기어(180)의 스플라인 기어(182)가 미끄럼 이동하여 클러스터 기어(165)의 기다란 축(173)의 스플라인 홈(167)과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랜딩 기어 조립체의 운전자쪽 다리부(11)와 도로 쪽 다리부의 각각의 하부관(13)에 대해서 상부관(1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핸들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17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크랭크 핸들 및 입력축(175)이 이러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다란 축(173)과 이에 부착된 출력축(200) 및 베벨 피니언(172)이 회전하며, 베벨 피니언(172)은 베벨 기어(34)와 맞물린다. 베벨 기어(34)의 나선부는 기어(171)의 홈안으로 수용되어서 베벨 피니언(172)과 맞물리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어 조립체의 구성부품들을 소형화시켜서 이들 부품들이 상부관(14)의 상부 격실(157) 안으로 전체적으로 수용하는데 중요하다. 랜딩 기어(150)의 나머지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앞서 설명한 랜딩 기어(10)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랜딩 기어(150)를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제11도 참조), 크랭크 핸들을 손으로 잡아 당기면 입력축(175)이 그 제일 바깥쪽 위치로 미끄럼 아동하며, 멈춤 보올(185)이 제2환형 홈(187)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환형 홈(186)과 결합된다. 입력축(175)이 그 제일 바깥쪽 위치에 오면, 이에 부착된 스플라인 기어(182)가 기다란 축(173)의 스플라인 홈(167)으로 부터 분리되고, 피니언 기어(181)가 중간축(190)의 기어(195)와 맞물리게 되며, 피니언 기어(181)로부터 기어(195)로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1감속이 이루어진다. 중간축(190)의 피니언 기어(196)는 클러스터 기어(165)의 기어(171)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서 제2감속이 제공된다. 기어(171)가 회전함으로써, 이에 상응하여 기다란 축(173), 출력축(200) 및 이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172)이 회전하며, 베벨 피니언(172)은 베벨 기어(34)와 맞물린다. 랜딩 기어(150)의 나머지 부품들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마찬가지로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역시 생략한다. 또한, 랜딩 기어(150)도 종래의 랜딩 기어 조립체들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특히 기어 조립체가 고속 기어 상태로 이동될 때 기어(195)로부터 피니언 기어(181)가 분리되어서 전체 기어조립체의 마찰 등을 감소시키도록 일정한 기어 맞물림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예를 들면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멈춤 보올 대신에 다른 결합 장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2도 내지 제15도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22)가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는, 2중 감속의 작동상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 조립체의 구성, 배열 및 작동을 제외하고는 많은 면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유사하다. 랜딩 기어(220)의 그밖의 다른 부품들은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것과 동일하며, 종래기술 및 참조문헌들에는 이러한 랜딩 기어(220)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먼저, 운전자쪽 다리부(11)의 내부 부품들을 설명하면, 상하로 작동하는 스크루축(226)(제13도 및 13a도 참조)을 나선부에 의해 수용하도록 하부관(13)의 상단부에 너트(225)가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루축(226)은 나사산이 제공된 하부축(224) 및 이 하부축(224)가 일체로 형성되며 직경이 감소된 상부축(227)으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225)는 다리부(11)의 종축과 평행하게 스크루축(226)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이 다리부(11)의 종축과 전후 방향 뿐만 아니라 바깥쪽 방향으로도 편향되어 있다(제13도 및 제14도 참조). 이렇게 너트(225)와 스크루축(226)을 설치함으로써,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기어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다리부(11) 안에 수용시킬 수 있다. 편향된 스크루축이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5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리부(11)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개념과는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하부축(227와 224)의 접촉면에는 어깨부(2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환형 칼라(229)가 어깨부(228)상에 지지되어 있고, 환형 트러스터 베어링(230)이 상부축(227)에 대하여 칼라(229)상에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30)상에는 기부(231)가 지지되어 있는데, 기부(231)는 상부축(227)의 둘레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축(227)은 기부(231)에 형성된 구멍(232)을 관통한다. 기부(231)는 상부관(14)의 내부면상에 용접 연결되어 있다. 상부축(227)상에는 경화 트러스트 와셔(233)가 배열되는데, 이 와셔(233)는 기부(231)의 상부 면상에 지지되어 있다. 베벨 기어(234)가 상부축(227)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와셔(233)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도동을 스크루축(226)에 전달하기 위해서 핀(235)이 통상의 공지된 방법으로 베벨 기어(234)를 상부축(227)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중요한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운전자쪽 다리부(11)에는 별도의 기어 박스가 필요 없으며, 그 대신에 랜딩 기어(220)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전체적으로 상부관(14)안에 수용되어 있다(제13도, 13a도 및 14도 참조). 덮개(241)가 상부관(14)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어주는데, 이 덮개(241)는 탭이 형성된 스크루(도시안됨) 등에 의해 상부관(14)에 고정된다. 덮개(241), 기부(231) 및 상부관(14)의 벽들이 상부관(14)의 상부 격실(24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격실(240) 안으로 제 4 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수용되어 있다.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것과 같은 적절한 형태의 가스켓(239)이 통상의 방법으로 덮개(241)와 상부관(14)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켓(239) 및 덮개(241)는 상부 격실(240)내에 포함되어 있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을, 이들 부품의 효율적인 작동을 방해할지도 모르는 먼지나 습기 등의 외부 물질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특히, 상부관(14)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부품들은 종래의 랜딩 기어에서와 같이 상부관에 부착되는 별도의 기어 박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깥쪽 및 안쪽 단부(243 및 244)를 가지는 출력축(242)이 상부관(14)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관(14)의 안쪽 벽의 외부면에는 그러한 안쪽 벽에 형성된 구멍(246)과 정렬된 슬리이브(245)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이브(245)내에는 한쌍의 부싱(247a 및 247b)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열되어 있으며, 출력축(242)이 이들 부싱(247a 및 247b)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출력축(242)의 바깥쪽 단부(243)가 상부 격실(240) 안쪽으로 뻗어 있고, 그 안쪽 단부(244)는 격실(240)및 슬리이브(245)의 바깥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다른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복합 기어 부재(250)가 상부관(14)의 격실(240)내에서 출력축(242)의 바깥쪽 단부(243)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합 기어 부재(250)는 바깥쪽 및 안쪽 단부(248 및 249)를 가지는 기다란 축(251)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원통형 구멍(2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252)은 기다란 축(251)의 바깥쪽 단부(248)에 형성되고 그 직경이 감소된 사각형 공동(253)과 이어져 있다. 기다란 축(251)의 안쪽 단부(249)에는 베벨 피니언(256) 및 기어(2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기어(257)는 베벨 피니언(256)의 안쪽 단부 근처에 배열되어 있다. 베벨 피니언(256)은 스크루축(226)의 베벨 기어(234)와 맞물린다. 복합 기어 부재(250)는 핀(258)에 의해서 출력축(242)의 바깥쪽 단부(243)상에 설치되는데, 핀(258)은 기다란 축(251)의 중앙부 및 출력축(24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구멍(259 및 260)에 끼워져서 정렬되어 있다. 출력축(242)이 기다란 축(251)의 원통형 구멍(252) 안에 끼워져 있어서 복합 기어 부재(250)를 출력축(242)상에 고정시켜주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원통형 구멍(252)의 바깥쪽 단부와 사각형 공동(253)은 출력축(242)에 의해서 작동상의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있으며, 이후 설명되는 것처럼 제 4 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복합 기어 부재(250)의 작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깥쪽 및 안쪽 단부(266 및 267)를 가지는 입력축(265)이 출력축(242)과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부관(14)상에서 회전운동 및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에는 구멍(268)이 형성되어서 복합 기어 부재(250)의 사각형 공동(253)과 정렬되어 있다. 바깥쪽 및 안쪽 단부(270 및 271)를 가지는 슬리이브(269)가 상부관(14)의 바깥쪽 벽의 외부면에 용접 연결되어서 구멍(268)과 정렬되어 있다. 그 내부면상에 제 1 및 제 2 환형 홈(273 및 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부싱(272)이 슬리이브(269)의 바깥쪽 단부(270)에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으며, 제 2 부싱(275)이 슬리이브(269)의 안쪽 단부(271)에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다. 입력축(265)이 부싱(272 및 275)내에서 회전운동 및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265)의 바깥쪽 단부(266)에는 제 2 부싱(275)에 형성된 원통형 구멍(277) 안으로 수용되도록 직경이 증가된 보스(276)가 형성되어서 입력축(265)을 안정화시키며, 입력축(265)이 바깥쪽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제 2 부싱(275)과 결합하여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피니언 기어(278)가 보스(276)의 안쪽 부근에 근접하여 입력축(265)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265)은 그 직경이 감소된 핀(279)으로 종결되어 있는데, 이핀(279)은 복합 기어 부재(250)의 사각형 공동(253)과 칫수 및 형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265)의 중앙부에는 횡방향 원통형 구멍(282)이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에 멈춤 보올(284)이 배열되어 있는 정지 스프링(283)이 구멍(282) 안으로 끼워져서, 슬리이브(269) 안에 배열된 제 1 부싱(272)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환형 홈(273 및 274)과 정확하게 결합한다. 입력축(265)의 바깥쪽 단부(266)에는 횡방향 원통형 구멍(287)이 형성되어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수용하여 크랭크 핸들(도시안됨)을 입력축(265)에 고정시킨다.
바깥쪽 및 안쪽 단부(291 및 292)를 가지는 중간축(290)이 상부관(14)의 상부 격실(240) 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중간축(29)은 서로 정렬되어 있는 입력축(265) 및 출력축(242)과 각각 편향된 상태로 이들축의 부근에 배열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간축(290)의 바깥쪽 및 안쪽 단부(291 및 292)는 부싱(293 및 294) 안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부싱(293 및 294)은 상부관(14)의 바깥쪽 및 안쪽 벽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정렬된 상부 구명(295 및 296) 안으로 마찰을 갖고 끼워져 있다. 중간측(290)의 바깥쪽 단부(291)에는 기어(29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쪽 단부(292)에는 피니언 기어(29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도시안됨)이 다리부(11)의 출력축(242)을 도로쪽 다리부(도시안됨)의입력축(도시안됨)에 작동적으로 연결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구멍들 및 출력축(242)의 안쪽 단부(244)에 형성된 회방향 원통형 구멍(300) 안으로 각각 끼워지는 볼트(도시안됨)에 의해서 연결축이 출력축(242)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플랜지판(305)이 용접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부관(14)의 안쪽 부분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판(305)의 돌출 단부에는 다수의 구멍(306)이 형성되어서 볼트 등의 적절한 채결 수단을 수용하여 다리부(11)를 세미트레일러(도시안됨)의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부착시킨다. 랜딩 기어 조립체의 도로쪽 다리부(도시안됨)를 동일한 방법으로 세미트레일러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운전자쪽 다리부(11) 및 도로쪽 다리부를 세미트레일러의 프레임의 내부면상에 설치하려면 동일한 방법으로 플랜지판(305)을 상부관(14)의 바깥쪽 부분의 상부에 부착시키면 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각각의 다리부들의 안쪽 및 바깥쪽 부분들의 상부에 부착되는 힌쌍의 플랜지판(305)를 각각의 다리부에 제공함으로써 이들 각각의 다리부를 자유자재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이들 다리부가 세미트레일러의 바깥쪽면이나 안쪽 면 어느 곳에도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구조, 배열 및 작동은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다르지만, 랜딩 기어(10)에 대해서 앞서 설명했던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비 및 이에 따라서 얻어지는 작동상의 이익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개념은 이들 실시예에 대해서 동일하며, 앞서 언급했던 종래 기술 및 참조문헌들에는 랜딩 기어(220)에서의 그러한 비 및 그 크기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랜딩 기어(220)를 고속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핸들을 앞으로 당기면 입력축(265)이 그 제일 바깥쪽 위치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되고, 멈춤 보올(284)이 부싱(272)의 제1환형 홈(273)과 정확히 결합한다. 입력축(265)이 이와 같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피니언 기어(278)와 슬라이브(269)의 제2부싱(275)의 원통형 구멍(277)안으로 밀려들어가고, 핀(279)은 복합 기어 부재(250)의 공동 (253)과 칫수 및 형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나서, 운전자쪽 다리부(11) 및 도로쪽 다리부(11)의 각각의 하부관(13)에 대해서 상부관(1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크랭크 핸들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26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크랭크 핸들 및 이에 부착된 입력축(265)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279) 및 복합 기어 부재(250)의 기다란 축(251)이 회전된다. 기다란 축(251)은 이에 일체로 형성된 베벨 피니언(256)을 회전시키며, 베벨 피니언(256)이 베벨 기어(234)와 맞물린다.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니머지 구성부품들의 구성, 배열 및 작동은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에 대해 앞서 설명했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랜딩 기어(220)를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핸들을 밀어젖히면, 입력축(265)이 그 제일 안쪽 위치로 이동하고 멈춤 보올(284)은 부싱(272)의 제1환형 홈(273)에서 분리되어 제2환형 홈(274)과 결합한다. 입력축(276)이 이와 같이 안쪽으로 이동하면, 핀(279)은 기다란 축(251)의 공동(253)에서 분리되어 구멍(252)안에서 자유롭개 회전한다. 핀(279)이 공동(253)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278)는 슬리이브(269)의 제2부싱(275)으로 부터 분리되어 상부 격실(297) 안으로 이동하는데, 피니언 기어(278)가 기어(297)와 맞물림으로써, 이 피니언 기어(278)로부터 기어(297)를 통하여 중간축(290)으로 입력축(265)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는 중에 제1감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축(290)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298)가 복합 기어 부재(250)의 기어(257)와 맞물린 상태로유지됨으로써 제2감속을 얻을 수 있다. 기어(257)가 회전함에 따라서 이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256)이 회전하며, 이 베벨 피니언(256)은 베벨 기어(234)와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220)의 나머지 구성 부품들의 구성, 배열 및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랜딩 기어(10)와 동일하며,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앤딩 기어(220)도 종래의 기어 조립체들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특히 기어 조립체가 고속 기어 상태로 이동할 때 기어(297)로부터 피니언 기어(278)가 분리되어서 전체 기어 조립체의 마찰 등을 감소시키도록 일정한 기어 맞물림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을 넘어서지 않은 범위내에서, 예를 들면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멈춤 보올 대신에 다른 결합 장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중간축(290) 및 이에 부착된 기어(297 및 298)는 제15도에 A로 표시되고, 제12도, 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양호한 위치로부터 배열되므로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제15도에는 도시된 위치C로 교번되며, 특히 종래의 랜딩 기어 조립체들에서와 같이 별도의 기어 박스 등을 사용치 않고서도 다리부(11)내에 전체 기어 조립체를 수용할 수가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갖춘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는 부품의 수가 적고 소형화되어 있으며 입력축 및 출력축상에 제공된 부품들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그 조립, 소형화 및 생산비의 감소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랜딩 기어의 다리부 안에 2중 감속 기어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기어 박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부품들의 수, 그 크기 및 부품들의 복잡성을 모두 감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단일의 변위 클러치 기구를 갖춘 크랭크 및 이동 장치가 제공되는 데, 이러한 장치에서는 크랭크 핸들의 회전수 대 다리부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의 표준비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2중 감속 기어 조립체의 제조시에 그 전체적인 칫수나 그 복잡성을 증대시키지 않고서도 넓은 범위내에 걸쳐서 저속도비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기어는 내구성이 있고, 사용이 간단하며, 자유자재로 장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최선의 실시양태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한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10)

  1.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1)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 근처에 측방향으로 서로 간격을두고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및 제2 다리부(11,12)들과, (2) 출력축(42)이 상기 제2 다리부(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109)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11)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입력축(75) 및 출력축(42)과, 그리고 (3) 상기 제1다리부 각각의 입력축 및 출력축의 기어 수단을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회전수 대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인치)의 비가 약 15내지 50정도이고, 상기 제1다리부의 기어 수단을 고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는 상기 비가 약 2내지 5정도가 되도록 구성되기 위해, 랜딩 기어를 고속 기어 상태 또는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 근처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기어 수단(80,100,65,40,132,134,143,144,3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이 1)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75)의 안쪽 단부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80)와, 2) 상기 제1다리부의출력축(42)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바깥쪽 부분에 부착된 출력부(131)를 구비하는 제1베벨 피니언(40)과, 3)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칫수 및 형상에서 일체되는 중앙의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140)이 형성되며, 그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출력부 및 입력 전달부에 부착된 다수의 핀(133)에 의해 출력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된 입력 전달부(132)와, 4) 상기 출력부 및 입력 전달부 사이의 각 핀에 장착되고, 그 위에 형성된 제1셋트 기어 나선부(135)를 구비한 바깥부와, 그위에 형성된 제2셋트 기어 나선부(136)를 갖춘 일체형 작은 직경의 안쪽부를 구비한 유성 피니언(134)과, 5) 상기 제1다리부(11)의 바깥벽에 형성된 구멍(142)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기어의 나선부(143,144)와, 6) 상기 제1다리부내에 장착된 수직 방향 이동 제1스크루축(26)의 상단부에 장착된 제1베벨 기어(34)와, 7) 상기 제2다리부의 입력축(109)상에 장착된 제2베벨 피니언(117)과, 8) 상기 제2다리부(12)내에 장착된 수직 방향 이동 제2스크루축(12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베벨 기어(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랜딩 기어 조립체가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될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75) 및 상기피니언 기어(80)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유성 피니언(134)의 제1셋트의 기어 나선부(135)와 맞물려 유성 피니언 및 이에 부착된 작은 직경의 제2셋트의 기어 나선부(136)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유성 피니언의 제2셋트의 기어 나선부는 일체형 기어 나선부(143,144)와 맞물려 상기 출력부(131) 및 이에 부착된 제1베벨 피니언(4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1베벨 피니언은 제1베벨 기어(34)와 맞물려 제1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1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상기 출력축(42)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다리부 입력축(109) 및 이에 부착된 제2베벨 피니언(117)을 동시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2 베벨 피니언은 제2베벨 기어(120)와 맞물려 제2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2수직 이동 스크루축(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각각의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20 내지 40 정돔이며, 상기 기어 수단이 고속 기어 상태로 변위될 때, 상기 피니언 기어(80)는 입력 전달부(132)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140)과 결합하여 입력 전달부 및 이에 부착된 출력부(131), 제1베벨 피니언(40) 및 출력축(4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1베벨 피니언은 제1 베벨 기어(34)와 맞물려 제1베벨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1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상기 출력축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 다리부의 입력축(109) 및 이에 부착된 제2베벨 피니언(117)을 동시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2베벨 피니언은 제2베벨 기어(120)와 맞물려 제2 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2수직 이동 스크루축(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각각의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거리 (인치)의 비가 약3 내지 4.5 정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조립체.
  3.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조립체에 있어서, (1)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 근처에 측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및 제2다리부(11,12)들과, (2) 출력축(42)이 상기 제2 다리부(12)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109)과 작동적으로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11)상에 회전가능하게설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입력축(75) 및 출력축(42)과, 그리고, (3) 상기 제1다리부 각각의 입력축 및 출력축의 기어 수단을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회전수 대 다리부들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 15 내지 50 정도이고, 상기 출력축의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68,140)과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스플라인(8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다리부의 기어 수단을 고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는 상기 비가 약 2내지 5정도가 되도록 구성되기 위해서, 앤딩 기어를 고속 기어 상태 또는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 근처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기어 수단(80,100,65,40,132,134,143,144,3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이 1)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75)의 안쪽 단부에 설치된 스플라인(80) 또는 피니언 기어와, 2) 바깥부에 형성된 제1셋트 기어 나선부(101)를 갖춘 바깥부와, 안쪽부에 형성된 제2셋트 기어 나선부(102)를 갖춘 작은 직경의 일체형 안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에 인접한 고정축(95)에 장착된 중간 기어(100)와, 3)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칫수 및 형상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스플라인 슬롯인 스폴라인 홈(68)이 바깥쪽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를 따라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축(42)의바깥쪽 단부에 설치된 기어(65)와, 4) 상기 기어로부터 안쪽에 있는 출력축상에 장착된 제1베벨 피니언(40)과, 5) 상기 제1다리부(11)내에 장착된 제1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의 상단부에 장착된 제1베벨 기어(34)와, 6) 상기 제[2다리부의 입력축(109)에 장착된 재2베벨 피니언(117)과, 7) 상기 제2다리부내에 장착된 제2수직 방향 이동 스크루축(121)의 상단부에 장착된 제2베벨 기어(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랜딩 기어 조립체가 저속 기어 상태로 작동될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75) 및 이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80)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중간 기어(100)의 제1셋트 기어 나선부(101)와 맞물려 중간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2셋트 기어 나선부(102)가 기어(65)의 나선부와 맞물려 기어(65) 및 이에 부착된 출력축(42), 제1베벨 피니언(4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1베벨 피니안이 제1베벨 기어(34)와 맞물려 제1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1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작동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다리부의 입력축(109) 및 이에 부착된 제2베벨 피니언(117)이 상기 출력축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2베벨 피니언이 제2베벨 기어(120)와 맞물려 제2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2수직 이동 스크루축(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각각의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 20 내지 40 정도이며, 상기 기어 수단이 고속 기어 상태로변위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80)가 기어(65)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68)과 맞물려 기어(65) 및 이에 부착된 출력축(42), 제1베벨 피니언(4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1베벨 피니언이 제1베벨 기어(34)와 맞물려 제1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1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상기 출력축이 작동적으로 연결된 상기제2다리부의 입력축(109) 및 이에 부착된 제2 베벨 피니언(117)을 동시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제2베벨 피니언이 제2베벨 기어(120)와 맞물려 제2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제2 수직 이동 스크루축(1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측의 회전수 대 상기 각각의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 3내지 4.5 정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조립체
  5. 여러속도로 변화할 수 있는 트레일러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1) 상부관(14), 하부관(13), 및 상부관에 대해 하부관을 연장시키는 수직 이동 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트레일러를 지지하는 다리부(11,12)인 다리부 수단과, (2) 입구축이 속도의 변화를 위해 축선으로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이동 기구를 구동시키는 축선에 정렬되어 회전가능한 입력축(175,265) 및 출력축(200,242)과, (3) 기어 수단 및 수직 이동 기구가 상기 다리부 수단내에 일반적으로 포함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임의의 속도로 상기 지지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축이 임의의 위치로 축선 이동할 때 입력축, 출력축 및 수직 이동 기구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기어 수단(195,196,165,171,172,278,297,298,250,257,256,34,234)과, (4) 입력축이 임의의 또 다른 위치로 이동될 때 기어수단을 통해 수직 이동 기구가 출력축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임의의 또 다른 속도로 상기 지지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축이 또 다른 임의의 위치로 축선 이동할 때 입력축 및 출력축을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는 클러치 수단(182,167,253,2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지지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이 1) 상기 입력축(175)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81)와, 2) 그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제1기어(195) 및 그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96)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증간축(190)과 3) 중앙부에 형성된 제1기어(171)를 가지는 기다란 축(173) 및 이 기다란 축상에 형성되어 기다란 축의 제1기어 안으로 수용되는 베벨 피니언(172)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안쪽 단부에 장착된 클러스터 기어(165)와, 4) 상기 수직 이동 기구의 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벨 기어(34)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수단이, 5)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181)에 인접한 입력축(175)의 안쪽에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182)와, 6) 상기 클러스터 기어의 기다란 축(173)의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일체형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167)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인 슬롯은 상기 기다란 축에 형성된 종축의 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69)과 연통되고, 상기 원통형 구멍은 기다란 축의 안쪽 단부에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종축의 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70)에 이어져 있으므로서, 상기 입력축(175)의 안쪽 단부가 기다란 축의 종축의 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69)에 자유자재로 회전 및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출력축의 바깥쪽 단부가 기다란 축의 작은 직경인 종방향 원통향 구멍 안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일러 지지 조립체가 저속으로 장동될 때, 상기 입력축(175) 및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181)가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회전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가 중간축의 제1기어(195)와 맞물려 중간축(19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축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196)가 상기 클러스터 기어의 기다란 축의 제1기어(171)와 맞물려 상기 기다란 축(173), 작동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00) 및 요홈된 베벨 피니언(17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은 베벨 기어(34)와 맞물려 베벨 기어(34) 및 이에 부착된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이 베벨 기어가 상기 기다란 축의 제1기어 안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다리 수단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인치)의 비가 약 20 내지 40정도이며, 상기 기어수단이 고속으로 변위될 때, 상기 입력축(175)이 안쪽 방향으로 변위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181)가 상기 중간축의 제1기어(195)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182)가 상기 기다란 축의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167)과 결합하여 상기 기다란 축(173), 작동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00) 및 베벨 피니언(17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이 상기 베벨 기어(34)와 맞물려 베벨 기어(34) 및 이에 부착된 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고, 이 베벨 기어가 상기 기다란 축의 제1기어 안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다리 수단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인체)의 비가 약 3 내지 4.5 정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지지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이 1) 상기 입력축(265)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78)와, 2)_ 바깥쪽 단부에형성된 제1기어(297) 및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98)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간축(290)과, 3) 상기 기다란 축의 제1기어에 인접한 안쪽 단부에 형성된 베벨 피니언(256) 및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제1기어(257)를 구비한 기다란 축(251)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축(242)의바깥쪽 단부에 장착된 복합 기어 부재(250)와, 4) 상기 수직 이동 매카니즘의 수직 이동 스크루축(227)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벨 기어(234)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수단이, 5)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278)로부터 안쪽의 입력축(265)에 형성된 확대형 핀(279)과, 6) 상기 복합 기어 부재의 기다란 축(251)의 단부에 형성되고 입력축의 핀과 칫수 및 형상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공동(253)을 포함하며, 상기 랜딩 기어 조립체가 저속으로 작동될 때, 상기 입력축(265) 및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278)가 제1위치로 변위되고 회전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가 상기 중간축(290)의 제1기어(297)와 맞물려 중간축을 회전시키며, 입력축의 확대형 핀(279)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축의 피니언 기어(298)가 상기 복합 기어 부재의 제1기어(257)와 맞물려 기어 부재의 기다란 축(251), 작동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42) 및 베벨 피니언(256)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은 베벨 기어(234)와 맞물려 이 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수직 이동 스크루축(226)을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수단이 고속으로 변위될 때, 상기 입력축(265)이 제2위치로 변위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278)가 상기 중간축의 제1기어(297)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입력축의 확대형 핀(279)이 복합 기어 부재의 기다란 축의 공동(253)과 결합하여 상기 기다란 축(251), 작동적으로연결된 출력축(242) 및 베벨 피니언(256)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이 상기 베벨 기어(234)와 맞물려 이 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지지 조립체.
  8. 세미트레일러용 2중 감속 랜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1) 세미트레일러의 선단부 근처에 측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및 제2다리부(11,12)들로서, 이들 다리부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제1및 제2다리부(11,12)들과, (2) 상기 제1다리부(1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선방향 및 측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입력축(175,265) 및 출력축(200, 242)으로서, 상기 출력축이 상기 제2다리부(12)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109)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입력축(175,265) 및 출력축(200,242)과, (3)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그리고 상기 이동 기구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다리부안에 수용되어 있는 기어 수단으로서, 고속 기어 상태 또는 저속 기어 상태에서 상기 기어 수단 및 상기 제1다리부의 이동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이 변위가능하므로,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을 저속 기어 상태로 변위시킬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상기 입력축의 회전수 대 상기 다리부들의 수직방향 이동 거리(인치)의 비가 약 15 내지 50정도이고, 상기 제1다리부의 상기 입력축을 고속 기어 상태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비가 약2 내지 5정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어수단(195,196,165,171,172,278,297,298,250,257,256,34,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2종 감속 랜딩 기어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이 1) 상기 제1다리부 입력축(175)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81)와, 2)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인접하게 안쪽에 있는 제1다리부의 입력축상에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182)와 3) 그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제1기어(195) 및 그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96)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간축(190)과, 4) 기다란 축(173)의 바깥 단부에 형성된 일체형의 스플라인 슬롯인 스플라인 홈(167)을 갖춘 기다란 축(17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안쪽 단부에 장착된 클러스터 기어(165)와, 5) 상기 제1다리부의 수직 상승 기구의 수직 상승 스크루축(26)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벨 기어(34)와 6) 상기 제2다리부의 입력축(109)상에 장착된 베벨 피니언(117)과 7) 상기 제2다리부의 수직 상승 기구의 수직 상승 스크루축(121)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벨 기어(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슬롯이 기다란 축(173)에 형성된 종축의 연속 원통형 구멍과(169)과 연통하고, 상기 원통형 구멍(169)은 기다란 축(173)의 안쪽 단부에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갖는 종축의 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700에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175)의 안쪽 단부가 상기 기다란 축의 종축의 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69)에 자유자재로 회전 및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출력축(200)의 바깥쪽 단부가 기다란 축의 작은 직경인 종방향의연속적인 원통형 구멍(170)안에 장착되고, 상기 기다란 축(173)이 그 중심부상의 제1기어(171) 및 기다란 축상의 베벨 피니언(172)을 또한 구비하고 기다란 축의 제1기어내에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랜딩 기어 조립체가 저속으로 작동될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175) 및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181)가 바깥쪽 방향으로 변위되고 회전되어서 상기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181)가 중간축의 제1기어(195)와 맞물려 중간축(19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중간축의 피니언 기어(196)가 상기 클러스터 기어의 기다란 축의 제1기어(171)와 맞물려 상기 기다란 축(173), 작동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00) 및 기다란 축의 베벨 피니언(17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172)이 제1다리부의 베벨 기어(34)와 맞물려서 제1다리부의 수직 이동 스크루축(26)을 회전시키며, 이 제1다리부의 베벨 기어(34)의 나선부가 상기 기다란 축의 제1기어(171) 안으로 수용되고, 상기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다리 입력축(109) 및 이에 부착된 베벨 피니언(117)이 상기 회전하는 출력축(200)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2중 감속 랜딩 기어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이 1) 상기 제1다리부 입력축(265)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78)와, 2)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로부터 안쪽에 있는 제1다리부의 입력축에 형성된 확대형 핀(279)과, 3) 그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제1기어(297) 및 그 안쪽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98)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간축(290)과, 4) 상기 입력축(242)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된 복합 기어 부재(250)와, 5) 상기제1다리브의 수직 상승 기구의 수직 상승 스크루축(226)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벨 기어(234)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기어 부재가 제1다리부의 입력축 핀과 크기 및 형상에서 일체되는 바깥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253)을 구비하는 기다란 축(251)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253)은 기다란 축(251)에 형성된 종축의 연속 원통형 구멍(252)과 연통하므로서 상기 출력축(242)이 기다란 축(251)의 원통형 구멍에 장착되고, 상기 기다란 축(251)이 그 바깥쪽 단부상에 형성된 제1기어(257) 및 그 안쪽 단부상에 형성된 베벨 피니언(256)을 구비하고, 상기 랜딩 기어 조립체가 저속으로 작동될 때, 상기제1다리브의 입력축(265) 및 피니언 기어(278)가 제1위치로 변위되고 회전되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중간축의 제1기어(297)와 맞물려 중간축(290)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확대형 핀(279)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회전하는 중간축의 피니언 기어(298)가 상기 복합 기어 부재의 제1기어(257)와 맞물려 기어 부재의 기다란 축(251), 작동적으로 연결된 출력축(242) 및 기다란 축의 베벨 피니언(256)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은 제1다리브의 베벨 기어(234)와 맞물려서 제1다리부의 수직 이동 스크루축(226)을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 수단이 고속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265)이 제2위치로 변위되어서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피니언 기어(278)가 상기 중간축의 제1기어(297)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다리부의 입력축의 확대형 핀(2790이 상기 복합 기어 부재의 기다란 축의 공동(253)과 결합하여 상기 기다란 축(251), 작동적으로연결된 출력축(242) 및 상기 기다란 축의 베벨 피니언(256)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하는 베벨 피니언이 상기 제1다리부의 베벨 기어(234)와 맞물려서 이 베벨 기어 및 이에 부착된 수직 이동 스크루축(226)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트레일러용 2중 감속 랜딩 기어 조립체.
KR1019920006350A 1991-04-16 1992-04-16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KR0130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85.836 1991-04-16
US07/685,836 US5199738A (en) 1991-04-16 1991-04-16 Landing gear for semitrailers
US07/685,836 1991-04-16
US07/714.709 1991-06-13
US07/714,709 1991-06-13
US07/714,709 US5238266A (en) 1991-04-16 1991-06-13 Landing gear for semitrail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05A KR920019605A (ko) 1992-11-19
KR0130194B1 true KR0130194B1 (ko) 1998-04-10

Family

ID=2710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350A KR0130194B1 (ko) 1991-04-16 1992-04-16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238266A (ko)
EP (1) EP0513973B1 (ko)
JP (1) JP2627038B2 (ko)
KR (1) KR0130194B1 (ko)
CN (1) CN1040858C (ko)
AT (1) ATE156074T1 (ko)
CA (1) CA2065190C (ko)
DE (1) DE69221208T2 (ko)
DK (1) DK0513973T3 (ko)
ES (1) ES2107502T3 (ko)
GR (1) GR3025036T3 (ko)
HK (1) HK1001001A1 (ko)
MX (1) MX9201719A (ko)
MY (1) MY1094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225A (en) * 1994-03-31 1996-07-23 Jost International Of Grand Haven Michigan Landing gear for semitrailers
DE19836635C5 (de) * 1998-08-13 2005-07-14 Jost-Werk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stützen eines Aufliegers eines Sattelschleppers
US20010020781A1 (en) * 2000-01-26 2001-09-13 Vandenberg Ervin Trailer landing gear
US6331016B1 (en) * 2000-02-22 2001-12-18 Solid As A Look Rv Stabilizer System, Inc Stabilizer system for trailers
DE10017322B4 (de) 2000-04-10 2010-07-29 Jost-Werke Gmbh Abstützvorrichtung für Sattelschlepperauflieger
US6684726B2 (en) 2000-04-10 2004-02-03 Jost-Werke Gmbh & Co. Kg Support device for articulated vehicle trailer
US7055859B2 (en) * 2002-04-02 2006-06-06 The Holland Group, Inc.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CA2424344C (en) * 2002-04-02 2011-11-29 The Holland Group, Inc.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US6926305B2 (en) * 2002-05-10 2005-08-09 Jeffrey Daniel Air, electric and hydraulic landing gear jack
US6893006B2 (en) * 2003-02-18 2005-05-17 Cequent Trailer Products, Inc. Multi-speed drop leg mechanical jack for use with a trailer
US7325786B2 (en) * 2003-02-18 2008-02-05 Cequent Trailer Products, Inc. Multi-speed drop leg mechanical jack for use with a trailer
DE20305175U1 (de) * 2003-03-31 2003-09-25 Riedl Reinhold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gl.
DE202004001707U1 (de) * 2004-02-05 2004-06-17 Riedl, Reinhold, Dipl.-Ing.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gl.
US7258363B2 (en) * 2004-09-01 2007-08-21 Baxter Properties, L.L.C. Landing gear assembly for a trailer
US7240921B2 (en) * 2004-09-01 2007-07-10 Baxter Properties, L.L.C. Landing gear assembly for a trailer
US20060113453A1 (en) * 2004-11-29 2006-06-01 Actuant Corporation Extendible leg having a rotatable screw
US20060120844A1 (en) * 2004-12-02 2006-06-08 Patriot Lift Co., Llc Apparatus for pneumatic operation of transport container conveyor
US20060119089A1 (en) * 2004-12-02 2006-06-08 Patriot Lift Co., Llc Stabilizing leg apparatus for a trailer
US7111895B2 (en) * 2004-12-02 2006-09-26 Patriot Lift Co., Llc Apparatus for pneumatic operation of transport container sliding door
US7311332B2 (en) * 2005-03-10 2007-12-25 Baxter Properties, L.L.C. Speed crank locking device for trailer landing gear assembly
DE102005034555B4 (de) * 2005-07-23 2008-08-21 Jost-Werke Gmbh Stützwinde
DE102005034554B4 (de) 2005-07-23 2008-07-03 Jost-Werke Gmbh Stützwinde und Montageverfahren
US8051545B2 (en) * 2006-04-27 2011-11-08 SAF Holland, Inc.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DE102006035917C5 (de) 2006-07-31 2009-07-30 Haacon Hebetechnik Gmbh Hubeinrichtung
DE102006035918B3 (de) 2006-07-31 2007-11-22 Haacon Hebetechnik Gmbh Fußeinrichtung zur Abstützung einer Stütz- oder Hubeinrichtung
DE102006035915A1 (de) * 2006-07-31 2008-02-14 Haacon Hebetechnik Gmbh Hubeinrichtung
US8678471B2 (en) 2007-01-19 2014-03-25 Rieco-Titan Products, Inc. In-line jack
BRPI0701201A (pt) * 2007-06-04 2007-10-16 Vitor Hugo Duarte Santos levante mecánico
US20080315570A1 (en) * 2007-06-19 2008-12-25 Baxter Properties, Llc Reduced Cost Master/Slave Trailer Landing Gear Apparatus
ATE543704T1 (de) * 2007-12-11 2012-02-15 Xiamen Austin Westran Machinery Co Ltd Stützvorrichtung
US7922145B2 (en) * 2008-02-06 2011-04-12 Swa Holding Company, Inc. Adjustable support stand for pre-cast concrete wall forms
DE202009000634U1 (de) * 2009-01-20 2009-06-04 Riedl, Reinhold, Dipl.-Ing.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gl.
DE202009002932U1 (de) * 2009-03-02 2009-07-09 Riedl, Reinhold, Dipl.-Ing.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gl.
DE202009006892U1 (de) * 2009-03-16 2009-09-03 Riedl, Reinhold, Dipl.-Ing.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Sattelauflieger o.dgl.
IT1395539B1 (it) * 2009-08-04 2012-09-28 Simol S P A Piede d'appoggio
US8590417B1 (en) * 2010-12-13 2013-11-26 James G. Bono Trailer landing gear apparatus
DE102011078065B4 (de) * 2011-06-24 2014-11-06 Saf-Holland Gmbh Stützvorrichtung für Nutzfahrzeuge
DE102012103698A1 (de) 2012-04-26 2013-10-31 Bpw Bergische Achsen Kg Stützvor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2108451A1 (de) 2012-09-11 2014-03-13 Bpw Bergische Achsen Kg Stützvor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CN102951132B (zh) * 2012-11-09 2015-04-22 广东富华工程机械制造有限公司 半挂车支腿电动齿轮箱
WO2014089220A1 (en) 2012-12-04 2014-06-12 Jost International Corp. Dual-speed auto-shift landing gear
CN103287401A (zh) * 2013-05-08 2013-09-11 蚌埠市齐云汽配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支撑装置
CN103600729B (zh) * 2013-11-27 2016-03-23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支腿及混凝土泵车
DE102013022132A1 (de) 2013-12-24 2015-06-25 Hubert Koschinat Teleskopstütze mit Spindel und deren Antrieb über Tellerrad mit integriertem Axiallager zur Lastabstützung
DE102014200486B3 (de) * 2014-01-14 2015-06-11 Saf-Holland Gmbh Stützwinde
EP3107770B2 (en) 2014-02-12 2023-08-23 Jost International Corp. Powered landing gear
US11059461B2 (en) 2014-02-12 2021-07-13 Jost International Corp. Electrically coupled powered landing gear
CN104523399B (zh) * 2015-01-10 2017-08-11 赵宽学 一种旋转升降健身器
EP3317046A4 (en) 2015-07-01 2019-03-13 Innovative Works, Inc. TRAILER SUSPENSION DEVICE
US20190352155A1 (en) * 2017-01-05 2019-11-21 Phillip James TRUTER A scissor jack
US10343654B2 (en) * 2017-04-27 2019-07-09 Lippert Components, Inc. Convertible tongue jack
KR101944091B1 (ko) 2018-04-19 2019-01-30 주식회사 티엔티원 트럭 탑재형 살포기의 회동-매립형 랜딩장치
BR112021004469A2 (pt) * 2018-09-12 2021-05-25 Saf-Holland, Inc. conjunto de mecanismo de assentamento motorizado
DE102019005385B3 (de) * 2019-07-31 2020-10-22 Jost-Werke Deutschland Gmbh Handkurbel für eine Stützwinde
CN110884469A (zh) * 2019-11-20 2020-03-17 利辛县凯盛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半挂车的分体式支承装置
US11293532B2 (en) * 2020-01-23 2022-04-05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Screw jack assembly for paving machine
US11691857B2 (en) 2020-05-26 2023-07-04 Sos Solutions, Inc. Two speed trailer jack
US11338777B2 (en) 2020-05-26 2022-05-24 Sos Solutions, Inc. Two speed trailer jack
US11390502B2 (en) 2020-05-26 2022-07-19 Sos Solutions, Inc. Two speed trailer jack
CN111547017A (zh) * 2020-05-28 2020-08-18 广东富华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支腿
US20220169486A1 (en) * 2020-11-30 2022-06-02 Lippert Components, Inc. Side wind tongue jack
CN113085951B (zh) * 2021-04-01 2022-11-22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架车装置及架车系统
CN113124277B (zh) * 2021-04-26 2023-04-25 东营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学前教育的智能互动一体设备
CN114148936B (zh) * 2021-11-26 2023-10-20 杭州瑞诺机械有限公司 一种千斤顶装置
USD989688S1 (en) * 2021-12-10 2023-06-20 Jost International Corp. Landing gear foot
CN114607884B (zh) * 2022-03-09 2023-05-30 华北理工大学 一种可移动式宣传展示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8992A (en) * 1970-01-24 1973-09-05 Massey Ferguson Perkins Ltd Power take-off shafts
US3892141A (en) * 1973-11-19 1975-07-01 Dayton Walther Corp Landing gear with shaft detent clip retainer
US4187733A (en) * 1978-05-30 1980-02-12 Dayton-Walther Corporation Speed reduction mechanism for semi-trailer landing gear
US4923175A (en) * 1989-05-19 1990-05-08 Kysor Industrial Corporation Constant mesh gear box landing 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3973A3 (ko) 1994-01-19
CA2065190A1 (en) 1992-10-17
JPH05139264A (ja) 1993-06-08
MY109401A (en) 1997-01-31
EP0513973B1 (en) 1997-07-30
CA2065190C (en) 1998-08-18
US5238266A (en) 1993-08-24
EP0513973A2 (en) 1992-11-19
HK1001001A1 (en) 1998-05-15
JP2627038B2 (ja) 1997-07-02
MX9201719A (es) 1992-10-01
GR3025036T3 (en) 1998-01-30
ES2107502T3 (es) 1997-12-01
DK0513973T3 (da) 1998-01-26
DE69221208T2 (de) 1998-01-15
DE69221208D1 (de) 1997-09-04
ATE156074T1 (de) 1997-08-15
CN1065832A (zh) 1992-11-04
KR920019605A (ko) 1992-11-19
CN1040858C (zh)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194B1 (ko) 세미트레일러용 랜딩 기어
US5538225A (en) Landing gear for semitrailers
US5199738A (en) Landing gear for semitrailers
US6981728B2 (en) Sliding mechanisms and systems
US6266931B1 (en) Screw drive room slideout assembly
US6446937B1 (en) Removable gear drive for mechanical jack
US6846016B2 (en) Trailer landing gear
US7055859B2 (en)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US8051545B2 (en)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US7240921B2 (en) Landing gear assembly for a trailer
CA2578749A1 (en) Landing gear assembly for a trailer
US20080315570A1 (en) Reduced Cost Master/Slave Trailer Landing Gear Apparatus
EP1350701A2 (en) Land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y
EP2233376B1 (en) Supporting device
CN110979268B (zh) 一种半挂车厢与车头连接处底部支撑结构及其使用方法
CN2339428Y (zh) 内藏式双速支承装置
US1752980A (en) Auxiliary transmission
US3073572A (en) Landing gear leg structure
EP2723616B1 (de) Stützvorrichtung für nutzfahrzeu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