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46Y1 -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 Google Patents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46Y1
KR0130146Y1 KR2019950037092U KR19950037092U KR0130146Y1 KR 0130146 Y1 KR0130146 Y1 KR 0130146Y1 KR 2019950037092 U KR2019950037092 U KR 2019950037092U KR 19950037092 U KR19950037092 U KR 19950037092U KR 0130146 Y1 KR0130146 Y1 KR 0130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lamp
fixed
auxiliary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274U (ko
Inventor
백광수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7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146Y1/ko
Publication of KR970022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트부(3a)와 하우징부(3b)가 일체 성형되어진 열경화성수지재질의 램프스테이(3)와, 렌스(4), 벌브(6) 및, 커버(5)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사용부재의 수와 조립공수가 절감되고, 주행시 이음발생이 억제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제동등이 설치되어진 헤치백형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보조제동등의 요부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 기술로서, 제3도에 대한 대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도어판넬 1a : 백도어아웃터판넬
1b ; 백도어인너판넬 2 : 백도어글라스
3 : 램프스테이 3a : 브라켓트부
3b : 하우징부 3b1: 체결부
3c : 리브부 4 : 렌스
4a : 체결부
본 고안은 헤치백형 자동차의 백도어에 설치되어지는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으로, 사용부재의 수와 조립공수가 절감되고, 주행시 이음발생이 억제되어 지도록 된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리어콤비네이션램프가 설치되어지는 차량의 리어양측부에는 제동등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게 되면 제동등이 작동되어짐으로써, 후방차량이 전방차량의 운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차량이 앞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전방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돌발사태가 발생되어지더라도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동등은 설치위치상 차량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있어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항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시야에 잘 보여지지 못하여,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접촉사고나 추돌사고에 의해 운전자와 탑승자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제동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 헤치백형 자동차에 설치되어지는 보조제동등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백도어인너판넬에 고정되는 스틸재질의 브라켓트(11)와, 이 브라켓트(11)에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하우징(12), 이 하우징(12)에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렌스(4)와,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에 돌출되게 삽입·고정되는 벌브(6) 및, 상기 브라켓트(11)와 하우징(12), 렌스(4) 및 벌브(6)가 삽입되어 클립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브라켓트(11)에 고정되는 커버(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브라켓트(11)의 체결부(11a)에 하우징(12)의 체결부(12a)를 맞대어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하고, 이 하우징(12)의 양측 체결부(12b)에 렌스(4)의 양측 체결부(4a)를 맞대어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체결하며, 상기 하우징(12)의 저면에 형성되어진 홈에 벌브(6)를 삽입고정한 후, 일체화되어진 상기 브라켓트(11)와 하우징(12), 렌스(4) 및 벌브(6)를 커버(5)에 삽입하고, 클립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브라켓트(11)에 상기 커버(5)를 고정하며,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백도어인너판넬에 상기 브라켓트(11)를 고정하는 것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보조제동등은 사용부재의 수가 많아서 조립이 번거롭고 난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주행시 차체가 유동되어지면 상기 브라켓트(11)에 고정되어진 하우징(12)이 브라켓트(11)와의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커버(5)와 간섭되어짐으로써 이음이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부재의 수와 조립공수가 절감되고, 주행시 이음발생이 억제되어지도록 하는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라켓트부와 하우징부가 일체 성형되어진 열경화성수지재질의 램프스테이와, 렌스, 벌브 및, 커버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제동등의 설치되어진 헤치백형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제동등의 요부분해사시도인 바,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4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브라켓트부(3a)와 하우징부(3b)로 이루어져 벌브(6)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백도어인너판넬(1b)에 고정되는 열경화성수지재질의 램프스테이(3)와, 이 램프스테이(3)의 하우징부(3b) 양측에 형성되어진 체결부(3b1)에 스크류(도시안됨)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렌스(4), 이 램프스테이(3)의 하우징부(3b)의 저면에 형성되어진 홈에 삽입·고정되는 벌브(6) 및, 상기 일체화된 램프스테이(3)와 렌스(4) 및 벌브(6)가 삽입되고 클립(7)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램프스테이(3)의 브라켓트부(3a)에 고정되는 커버(5)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백도어글라스(2)가 설치되어진 백도어판넬(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트부(3a)와 하우징부(3b)가 열경화성수지로 일체성형되어짐으로써, 사용부재의 수가 감소되어 조립공정수가 절감되어지고, 주행으로 인하여 차체가 유동되어지더라도 램프스테이(3)의 하우징부(3b)가 유동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이음발생이 방지되어진다.
한편, 상기 램프스테이(3)는 열경화성수지로 성형되어지는데, 열경화성수지의 일종인 페놀(Phenol)로 성형되어질 경우 내열성과 성형성이 향상되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램프스테이(3)의 하우징부(3b)쪽 브라켓트부(3a)의 양측에 각각 리브(3c)가 형성되어 하우징부(3b)의 유동억제가 한층 향상되어진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의하면, 브라켓트와 하우징부가 열경화성수지로 일체성형되어짐으로써, 사용부재의 수와 조립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주행시 이음발생이 억제되어 탑승자의 안락감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정부재를 매개로 백도어인너판넬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1)와, 이 브라켓트(11)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하우징(12), 이 하우징(12)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렌스(4),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에 돌출되게 삽입고정되는 벌브(6) 및, 상기 일체화된 브라켓트(11)와 하우징(12), 렌스(4) 및 벌브(6)가 삽입되고 고정부재를 매개로 브라켓트(11)에 고정되는 커버(5)로 이루어진 보조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1)와 하우징(12)이 열경화성수지를 재질로 일체성형되어 브라켓트부(3a)와 하우징부(3b)가 구비된 램프스테이(3)로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스테이(3)의 하우징부(3b)쪽 브라켓트부(3a)의 양측에 각각 리브(3c)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스테이(3)가 페놀을 재질로 하여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스테이(3)가 페놀을 재질로 하여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2019950037092U 1995-11-30 1995-11-30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0130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92U KR0130146Y1 (ko) 1995-11-30 1995-11-30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92U KR0130146Y1 (ko) 1995-11-30 1995-11-30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274U KR970022274U (ko) 1997-06-18
KR0130146Y1 true KR0130146Y1 (ko) 1998-12-01

Family

ID=1943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092U KR0130146Y1 (ko) 1995-11-30 1995-11-30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1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274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146Y1 (ko) 헤치백형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940007888Y1 (ko) 자동차의 범퍼사이드 지지구조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100281625B1 (ko) 자동차 임팩트 바의 장착구조
KR200176427Y1 (ko) 자동차 보조 브레이크 등의 마운팅 브래킷
JP2976660B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の取付構造
KR0173626B1 (ko) 자동차의 카울
KR100388202B1 (ko) 자동차의 리어 필라 내부 패널과 휠 가드 조립 구조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970001266Y1 (ko) 차량용 엔진의 소음 및 주행소음의 차단구조
JPS6144329Y2 (ko)
KR200144106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패널 보강구조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KR100203414B1 (ko) 전동밀러 취부구조
KR200181788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힌지부 취부구조
KR100324378B1 (ko) 자동차용 루프몰딩의 후단부 고정구조
KR0133781Y1 (ko) 자동차 후면기둥의 보강구조
JPH0410118Y2 (ko)
KR0133422Y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도어 장착구조
KR19980021218U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흡수구조
KR970041209A (ko) 자동차 사이드 리어 도어와 차체 휠 하우스의 취부구조
KR19980049607A (ko) 자동차의 후사경
KR980007546U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970006064A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970015099A (ko) 방향지시등이 부설된 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