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974B1 -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974B1
KR0129974B1 KR1019940013214A KR19940013214A KR0129974B1 KR 0129974 B1 KR0129974 B1 KR 0129974B1 KR 1019940013214 A KR1019940013214 A KR 1019940013214A KR 19940013214 A KR19940013214 A KR 19940013214A KR 0129974 B1 KR0129974 B1 KR 012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line
paper
cut
p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720A (ko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974B1/ko
Publication of KR96000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and in the container body so as to form after rupture a lid hinged to a side edge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외부의 압력 및 충격이 발생했을 경우 그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포장박스가 개시되는 바, 이는 제품을 알리기 위해 문장이나 그림이 도안된 표면지와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이면지 사이에 굴곡형태의 골판지가 구비된 포장박스의 내측면에 다수의 절취선을 형성시켜서 포장박스의 보관 및 폐기시 절취선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단하여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 및 폐기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포장박스는 제품에 구애받지 않고 각종제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제1도는 일반적인 포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포장박스의 사시도. (b)는(a)의“A”부분 확대도.
제2도는 일반적인 포장박스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포장박스의 사시도. (b)는 (a)의“B”부분 확대도.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절단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절단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는 절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6도는 절단된 포장박스의 재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포장박스 21 : 표면지
22 : 제1절취선 23 : 제2절취선
24 : 이면지 25 : 골판지
26 : 공기층 27 : 절단된 포장박스
28 : 모서리 29 : 제3절취선
30 : 테이프
이 발명은 전자기기 제품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 내부에 다수의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서, 사용후 포장박스를 손쉽게 절단하여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 및 폐기할 수 있도록 한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압력 및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져 제품을 알리기 위한 문장이나 그림의 도안이 용이하며 또한,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크기 및 용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크기에 있어서 대형화되고, 용도에 있어서도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포장박스는 사용후 그 보관 및 폐기시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대두되는 바,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는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 제품의 일반적인 포장박스가 도시되어 있는바 (a) 및 (b)를 참조하면, 포장박스(10)는 제품(도시하지 않음)을 알리기 위한 문장이나 그림이 도안된 표면지(11)와 이 표면지(11)와 대응되게 이면지(12)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지(11)와 이면지(12) 사이에는 굴곡형태의 골판지(1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13)의 상,하부 공간에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공기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장박스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포장박스(10)의 내,외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표면지(11)와 이면지(12)사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굴곡형태의 골판지(13), 이 골판지(13)의 상,하부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14)에 의해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제품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는 용이하였으나, 제품으로부터 포장박스를 분리시킨 후 예컨대, 포장용으로서의 기능을 다한 후 보관하거나 폐기할 경우 부피가 대형이라 취급이 용이하지 못했으며, 또한, 여러개의 포장박스를 동시에 묶어서 보관할 경우 중량이 무거워 보관 및 폐기에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용후 처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운반수단에 의해 제품(도시하지 않음)이 사용자에게 도달되게 되면, 제품으로부터 포장박스(10)를 분리시킨 후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포장박스(10)는 대략적으로 접어서 버리거나 아니면 보관장소에 보관하게 되는바, 추후에 다양한 용도로 다시 사용하기 위해 보관하고자 할 때는 포장박스(10)의 상,하부를 개방한 후 절곡된 모서리(15)를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접어서 보관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략적으로 접혀진 채 여러 개로 묶여진 포장박스는 중량이 무거워 어린이나 노약자가 다루기는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접혀진 포장박스의 부피가 대형이라 협소한 보관장소에서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한 넓은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대부분 보관장소가 아닌 다른 곳 예를 들면, 다용도실이나 후미지고 노출된 외부에 보관하게 되는 바, 전자와 같이 다용도실과 같은 곳에 보관하게 되면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소량으로 밖에 보관할 수 없어, 이사와 같이 포장박스가 많이 필요한 경우 슈퍼마켓이나 이와 유사한 곳에서 재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와 같이 후미지고 노출된 곳에 보관하게 되면, 햇볕에 장기간 노출되어 포장박스의 변색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여 재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포장용으로서의 기능을 다한 포장박스를 폐기할 경우 절곡된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접어서 버려야 하므로 쓰레기통 주위가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기 때문에 청소차의 수거가 용이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포장박스 내측에 다수의 절취선을 마련함으로써, 사용후 절취선이 형성된 방향으로 잡아당겨 손쉽게 절단한 후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 및 폐기할 수 있도록 한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특징은, 제품을 알리기 위해 문장이나 그림이 도안된 표면지와, 상기 표면지와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이면지와, 상기 표면지와 이 면지 사이에 굴곡형태의 골판지가 형성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를 손쉽게 절단하기 위해 포장박스의 상부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절취선과, 상기의 제1절취선과 직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절취선이 상기 포장박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점에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제1절취선은 포장박스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절취선은, 상기 제1절취선의 직각방향인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있어서,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이 이루는 모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다른 특징은, 포장박스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절취선과, 상기 제1절취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서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3절취선을 구비한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는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가 도시되어 있는 바,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장박스(20)는 제품을 알리기 위한 문장이나 그림이 도안된 표면지(21)와, 이 표면지(21)와 대응되되 종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취선(22)과 이 제1절취선(22)의 직각방향인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취선(23)을 포함하는, 이면지(24)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지(21)와 이면지(24) 사이에 굴곡형태의 골판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형태의 골판지(25) 상,하부 공간에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공기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는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박스(2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포장박스(20)의 내,외측에 마련된 이면지(24)와 표면지(21) 사이에 형성된 골판지(25)와 이 골판지(25) 상,하부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26)에 의해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제품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포장용으로 사용이 끝난 포장박스는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으로부터 분리된 포장박스(20)를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20)의 상부를 제1절취선(22)이 형성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즉 포장박스(20)의 상부를 화살표 (A)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손쉽게 절단된다.
또한, 이렇게 절단된 포장박스(27)를 다시 제2절취선이 형성된 방향으로 접게 되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27)를 동일한 크기로 저로 겹쳐 쌓여지게 되는 바, 이 경우 끈이나 이와 유사한 부재로 간편하게 묶어서 보관 및 폐기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포장박스(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취선이 포장박스(20)의 모서리(28)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절취선(22)과, 이 제1절취선(22)에 대해 소정각도로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제3절취선(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는 제1절취선(22)이 형성된 방향으로 포장박스를 절단한 후 제3절취선(29)이 형성된 방향으로 다시 절단하거나 접게 되면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 및 폐기할 수 있으며, 또한, 제3절취선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단한 후 제1절취선이 형성된 방향으로 다시 절단하여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 및 폐기하게 된다.
제6도는 절단된 포장박스의 재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표면지(21)와 이면지(24) 사이에 굴곡형태로 형성된 골판지(25)와, 이 골판지(25) 상,하부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26)를 포함하는 절단된 포장박스(27)와 이 절단된 포장박스(27)를 접착하기 위한 일반적인 테이프(3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단된 포장박스는 절단된 포장박스(27) 일측면을 서로 맞대어 밀착시킨 후 일반적인 테이프(30)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문제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내부에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에 의하면, 종래의 절곡된 부분으로 대략적으로 접어서 보관하거나 찢어서 처분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포장박스의 내측면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포장박스를 보관하거나 처분할 경우 절취선을 따라 손쉽게 절단한 후 소부피로 묶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보관이 가능하며, 폐기할 경우에도 소부피로 묶어서 폐기함으로써, 폐기가 간편함은 물론 쓰레기통 주위가 청결하여 환경오염문제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이 발명에 따른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가 첨부된 도면 및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포장박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이 이루는 모양이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제품을 알리기 위해 문장이나 그림이 도안된 표면지와, 상기 표면지와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이면지와, 상기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에 굴곡형태의 골판지가 형성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를 손쉽게 절단하기 위해 포장박스의 상부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절취선과; 상기의 제1절취선과 직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절취선이 상기 포장박스의 내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이 이루는 모양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선과 제2절취선이 이루는 모양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4. 포장박스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절취선과; 상기 제1절취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3절취선을 구비한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취선과 3절취선이 이루는 모양이 마름모 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KR1019940013214A 1994-06-13 1994-06-13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KR012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214A KR0129974B1 (ko) 1994-06-13 1994-06-13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214A KR0129974B1 (ko) 1994-06-13 1994-06-13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20A KR960000720A (ko) 1996-01-25
KR0129974B1 true KR0129974B1 (ko) 1998-04-10

Family

ID=193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214A KR0129974B1 (ko) 1994-06-13 1994-06-13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004B1 (ko) * 2020-11-11 2021-04-29 권광희 착화 기능을 구비하는 고형연료 포장상자
KR20220064513A (ko) * 2020-11-12 2022-05-19 권욱동 포장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004B1 (ko) * 2020-11-11 2021-04-29 권광희 착화 기능을 구비하는 고형연료 포장상자
KR20220064513A (ko) * 2020-11-12 2022-05-19 권욱동 포장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20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2244A1 (en) Flexible package having main compartment and ancillary compartment
JP3291052B2 (ja) 紙ハンカチの収容パック、および、そのブランク
EP2944459B1 (en) Shelf ready packaging having structural integrity, and processes for making them
HU211807B (en) Opening device for bags made of flexible material for packing compressible products
US5251819A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ease of disposal
KR0129974B1 (ko) 절취선을 갖는 포장박스
JP3200580B2 (ja) ロール状物の梱包輸送用通函
US5718369A (en) Carrier Box
EP0647565A1 (en) Packaging for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s consisting of one or more articles
US7614501B2 (en) Utility and protective packaging system
JPH0230933B2 (ko)
JPH0140867Y2 (ko)
JP4307145B2 (ja) 引越用梱包具
JP3338623B2 (ja) チューブ容器収納箱
JP3196407B2 (ja) 電子機器の保護袋
KR102409045B1 (ko) 종이 포장재
JPH0737916U (ja) 梱包資材
JPH10287324A (ja) 電子部品の梱包
JPS6034604Y2 (ja) 電池および電池応用商品の包装箱
JPS638622Y2 (ko)
JPS582788Y2 (ja) ホ−ス等の巻取リ−ル兼用包装函
JP4099855B2 (ja) 緩衝包装装置
JP5604381B2 (ja) 製品梱包具
JPH0551025A (ja) 帯ケース
CA2193148C (en) Carri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