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611B1 -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11B1
KR0129611B1 KR1019940035762A KR19940035762A KR0129611B1 KR 0129611 B1 KR0129611 B1 KR 0129611B1 KR 1019940035762 A KR1019940035762 A KR 1019940035762A KR 19940035762 A KR19940035762 A KR 19940035762A KR 0129611 B1 KR0129611 B1 KR 012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sdn
data
interfac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68A (ko
Inventor
최진상
황대환
김선자
신현식
이종형
이의택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11B1/ko
Publication of KR96002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 H04B14/04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B14/046Systems or methods for reducing noise or bandwidth
    • H04B14/048Non linear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주 시스템의 외부 또은 내부 미디어 입력장치로 부터 받은 미디어중 음성/오디오를 부호화/복호화하여 문자데이타와 함께 다중화/역다중화를 하여 망으로 송/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음성/오디오 입출력부(1)와, 데이타 입출력부(2)와, 오디오/음성 코덱부(3)와,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4)와, ISDN S 인터페이스부(5), 및 장치제어부(7)를 포함하여, 기본적인 탁상형 고품질 전화기, 오디오 그래픽회의(Audiographic Conference), 음성메일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품으로써 효과적으로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방(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 내부 하드웨어 장치중 ISDN S 인터페이스 및 7㎑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기능을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SDN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이외에 데이타(문자데이타, PC 화일등) 및 영상(동영상, 정지영상)등의 전송을 동시에(하나의 호 내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각의 미디어별 처리장치 및 망접속 처리장치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주 시스템의 한정적인 자원(인터럽트, DMA등)을 사용함으로써 부하를 많이 주고, 전체시스템 제어 또한 어려움이 많았다.
그리고 ISDN의 고정적인 채널폭(64Kbit/s)을 사용하므로 여러 미디어들의 동시전송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ISDN 망접속 기능과 7㎑ 오디오 코덱기능,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개의 영상관련 하드웨어 장치와의 신호정합 기능을 제공하여 영상회의/전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종합정보통신방(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주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오디오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후 장치 내부로 전달하며, 장치내부에서 복원된 오디오/음성 데이타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후 주 시스템의 해당 포트로 전달하는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과, 외부의 주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데이타의 입력절차를 제어하며 모드선택에 따라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경로로 데이타를 전달하고, 외부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출력절차를 제어하는 데이타 입출력수단과, 상기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으로 부터 받은 데이타를 부호화 하여 장치 내부로 전달하며, 장치내부에서 받은 부호화 된 데이타는 복호화하여 상기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오디오/음성 코덱 수단과,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 수단과 데이타 입출력수단을 통과한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정열해 넣어 미디어 다중화하고, ISDN으로 부터 전달된 프레임을 정렬하여 각 미디어와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역다중화하는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수단과 ISDN 간에 설치되어 ITU-TS 권고안 1.430에 따른 믈리계층처리, Q.921에 따른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 channrl) 처리, Q.931 프로토콜 처리, B채널 데이타 통신제어, 주 시스템과의 제어신호 교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수단, 데이타 입출력 수단 및 영상 신호정합과 주 시스템버스간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I/O 디코딩, 장치내 각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정합을 수행하고, 모드절환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이와 유사한 단말기의 하드웨어 장치의 일부분을 차지하여, 음성/오디오와 데이타의 입출력제어, 미디어처리, ISDN S 인터페이스 처리를 담당하며 주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오디오 입출력부(1), 데이타 입출력부(2), 오디오/음성 부호화/복호화(3)(이하, 오디오/음성 코덱부라 한다),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부(5), 영상신호 정합부(6), 장치 제어부(7)를 구비한다.
음성/오디오 입출력부(1)에서는 외부의주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오디오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후 오디오/음성 코덱부(3)로 신호를 전달하며, 오디오/음성 코덱부(3)에서 복원된 오디오/음성 데이타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후 주 시스템의 해당출력 포트로 전달한다. 또한 부수적으로 주 시스템 명령에 의해 입력 및 출력음량 조절기능을 가진다.
데이타 입출력부(2)는 외부의 주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데이타의 입력절차를 제어하며 모드선택에 따라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로 데이타를 전달하고, 외부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출력절차를 제어하며, 이러한 송/수신 절차는 표준화된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프로토콜을 따르도록 하였다.
오디오/음성 코덱부(3)는 음성/오디오를 국제 전기통신 연합, 전기통신 표준화분야(이하 ITUTS라 칭함)의 권고안 G.72에 의해 부호화/복호화한다. 음성/오디오 입출력부(1)로 부터 받아 부호화한 데이타는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부(5)에서 제공하는 클럭에 따라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로 보내지며,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로부터 받은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음성/오디오 입출력부(1)로 전해준다. 압축하는 대역폭은 7㎑이며, 전송속도는 48, 56, 64bit/s이다.
여기서 오디오/음성 코덱부(3)은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가 내장된 범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였으며, 코딩 프로세스에 필요한 기능을 DSP 자체내에서 처리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주 시스템과의 모드설정 명령, 데이타 송수신 명령은 DSP내의 레지스터를 통해 상호 교환하며,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부(5)에서 제공하는 클럭에 따라 ITU-TS의 권고안 G.725 포멧과 일치하는 데이타를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로 입출력한다.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는 ITU-TS의 권고안 H.221에 따라 ISDN의 2B 채널내에 음성/오디오, 데이타 및 제어신호(FAS : Frame Alignmont Signal, BAS : Bit-Rate Allocation Signal)들 및 영상을 선택적으로 정열해 넣는 미디어 다중화 기능과 전달된 프레임을 정렬하여 각 비디오와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다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는 내부에 주 시스템과 접속하기 위한 CPU 인터페이스 모듈, ISDN BRI(Basic Rate Interface)를 위한 S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통신망 처리모듈, 음성/오디오코텍 및 데이타 제어부와 시리얼 통신을 위한 미디어 처리모듈 및 3개의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가진다.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부(5)는 ITU-TS 권고안 1.430에 따른 믈리계층처리, Q.921에 따른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 channrl) 처리, Q.931 프로토콜 처리, B채널 데이타 통신제어, 주 시스템과의 제어신호 교환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로칼 프로세서(8)는 ISDN 계층 1 및 D채널 계층 2, 3을 제어하며, S 인터페이스 제어부(5)는 ISDN BRI의 계층 1 및 D채널 계층 2의일부를 지원한다. 또한 양방향 메모리(9)(DPRAM : Dual Port RAM)는 주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과 필요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신호 정합부(6)는 본 장치와 독립적인 외부의 영상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로 부터 받은 부호화/복호화된 영상 신호열을 음성/오디오, 데이타와 함께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부(4)에서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하여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부(5)를 통해 ISDN 망으로 전송하도록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가 영상회의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기능을 제공하게 한다. 이와같은 기능은 장치제어부(7)의 모드절환에 의해 그 기능이 활성화/비활성화되며, 영상신호 정합부(6)는 내부에 시리얼 통신 콘트롤러, 메모리와 FEC(Forward Error Correction)부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내부의 구성품을 이용하여 영상응답기능과 같은 부가서비스의 구현(하드웨어적인 구현)을 가능케 하였다.
장치제어부(7)는 본 장치가 동작하기 위한 주 시스템의 I/O 디코딩, 장치내 각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정합 기능등의 장치제어 기능을 가진다. 또한 주 시스템의 리소스(인터럽트)를 다르게 배정함으로써, 모드절환기능을 제공하여 본 장치가 음성/오디오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과 영상회의/전화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의 기능을 구분하여 제공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ISDN용 단말기(ISDN 전화기, 영상전화/회의 단말기, 비디오 텍스 단말기등)들에 있어서미디어의 입출력제어, ISDN 프레임내의 미디어 처리(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및 ISDN S 인터페이스 제어에 관련된 장치는 부분적으로 그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장치가 있었으나, 그러한 장치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장치의 구현 및 제어, 여러가지 응용프로그램의 수용등에 있어, 둘 이상의 미디어를 사용하는 ISDN용 단말기에는 적용 자체에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독립적인 장치들이 각각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하여 주 시스템에 많은 부하를 줌으로써 다른 하드웨어 장치의 수용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따라 기존의 관련장치들을 조합하여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독립적이고 부분적인 ISDN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들의 기능들에서 ISDN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가져야 하는 필수기능만을 선택,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하여 둘 이상의 미디어를 사용하는 ISDN 단말기의 한 구성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들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하여, 주 시스템의 부담을 최소화하였으며, 본 장치의 제어 또한 주 시스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오디오 관련부는 기존의 3.4㎑ 음성코덱 기능 이외에 고품질의 음성/오디오 서비스에 적용이 되는 7㎑ 오디오 코딩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음성/오디오의 품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채널사용폭도 변하게 되어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나의 ISDN 1B 채널내에 음성/오디오 및 데이타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청력이 좋지못한 노인층에게 명료한 음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장치만으로도 고품질 ISDN 전화기, 일반 PC를 이용한 음성 메일 시스템, 고속데이타 전송장치, 음성 그래픽회의 단말의 필수구성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장치 및 표준화된 영상처리 관련 하드웨어 장치를 가지고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영상회의/전화 서비스 제공단말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외부의 주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오디오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후 장치 내부로 전달하며, 장치내부에서 복원된 오디오/음성 데이타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후 주 시스템의 해당 포트로 전달하는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과, 외부의 주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데이타의 입력절차를 제어하며 모드선택에 따라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경로로 데이타를 전달하고, 외부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출력절차를 제어하는 데이타 압출력수단과, 상기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으로 부터 받은 데이타를 부호화 하여 장치 내부로 전달하며, 장치내부에서 받은 부호화 된 데이타는 복호화하여 상기 음성/오디오 입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오디오/음성 코덱 수단과,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 수단과 데이타 입출력수단을 통과한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정열해 넣어 미디어 다중화하고, ISDN으로 부터 전달된 프레임을 정렬하여 각 미디어와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역다중화하는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수단과 ISDN 간에 설치되어 ITU-TS 권고안 1.430에 따른 믈리계층처리, Q.921에 따른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 channrl) 처리, Q.931 프로토콜 처리, B채널 데이타 통신제어, 주 시스템과의 제어신호 교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수단, 데이타 입출력 수단 및 영상 신호정합과 주 시스템버스간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I/O 디코딩, 장치내 각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정합을 수행하고, 모드절환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영상처리 장치로 부터 받은 부호화/복호화된 영상 신호열을 음성/오디오, 데이타와 함께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되도록 상기 미디어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정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출력수단의 송/수신 절차는 표준화된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수단은 전달받은 음성/오디오를 국제 전기통신 연합, 전기통신 표준화분야(ITUTS)의 권고안 G.72에 의해 부호화/복호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5.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수단은 부호하여 압축하는 대역폭은 7㎑이며, 전송속도은 48, 56, 64bit/s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6.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음성 코덱 수단은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가 내장된 범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코딩 프로세스에 필요한 기능을 상기 DSP 자체내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수단은 ITU-TS의 권고안 H.221에 따라 ISDN의 2B 채널내에 음성/오디오, 데이타 및 제어신호(FAS : Frame Alignmont Signal, BAS : Bit-Rate Allocation Signal) 및 영상을 선택적으로 정열해 넣어 미디어 다중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8.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주 시스템의 리소스(인터럽트)를 다르게 배정함으로써, 모드절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DN 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KR1019940035762A 1994-12-21 1994-12-21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KR012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762A KR0129611B1 (ko) 1994-12-21 1994-12-21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762A KR0129611B1 (ko) 1994-12-21 1994-12-21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68A KR960027668A (ko) 1996-07-22
KR0129611B1 true KR0129611B1 (ko) 1998-04-14

Family

ID=1940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762A KR0129611B1 (ko) 1994-12-21 1994-12-21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6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1763A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KR0129611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에스(s)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JPS61198941A (ja) 転送速度可変形音声デ−タ多重方式
JPH01241959A (ja) 多地点間通信方式
JPH05300510A (ja) 画像通信端末装置
KR0137556B1 (ko) 종합정보통신망 비알아이(bri) 고속 영상회의 단말장치
KR100251590B1 (ko) 통신채널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킨 광 catv 시스템
KR100239345B1 (ko) 다자간 화상회의 제어장치
KR0150035B1 (ko) 종합정보 통신망용 단말기의 미디어 다중화 장치
KR0185645B1 (ko) 영상전화기의 화면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22017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음성 신호 전송 방법
JP3030019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KR0168923B1 (ko)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KR970056409A (ko) 에이티엠(ATM) 정합 계층중 타입(Type) 5 경로를 통해 오디오/비쥬얼 다중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12076B1 (ko) 영상전화기의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950001510B1 (ko) 프레임 프로세싱 모듈
JPH0965016A (ja) テレビ電話装置
Chen et al. Low-delay center-bridged and distributed combining schemes for multipoint videoconferencing
KR0178765B1 (ko) 통신 프로토콜 구현 방법
KR100216775B1 (ko) Nisdn용 영상단말기의 영상 코덱 시스템
JPH05207445A (ja) テレビ電話機
JPH069021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
KR100216576B1 (ko) 비대칭형 멀티미디어 신호 다중화/역다중화 방법
JP3013432B2 (ja) 音声信号入出力回路
Langi A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elephone channels based on H. 32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