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91Y1 - 전원 스위칭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스위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91Y1
KR0129491Y1 KR2019930025769U KR930025769U KR0129491Y1 KR 0129491 Y1 KR0129491 Y1 KR 0129491Y1 KR 2019930025769 U KR2019930025769 U KR 2019930025769U KR 930025769 U KR930025769 U KR 930025769U KR 0129491 Y1 KR0129491 Y1 KR 0129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circuit
switching
transisto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980U (ko
Inventor
원태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5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91Y1/ko
Publication of KR950015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전원 스위칭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장치가 세트로 구성된 경우 파워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가 특정 두 단자사이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두 단자사이의 도통 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스위칭 회로에 파워 라인을 통하여 파워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대기전압이 미분됨에 따라 세트에 제공되는 파워를 스위칭하는 오토 파워 제어부와 오토 파워 제어부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가 구성됨으로써 파워 라인을 콘센트에 접속함과 동시에 모든 세트의 파워 온 동작이 가능하여 다수의 기기로 세트 구성시 이들의 파워 제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다수개의 장치가 세트로 구성된 경우의 파워 제어에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원 스위칭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스위칭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스위칭 회로도.
제3도는 (a) 내지 (c)는 제3도의 동작에 따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마이크로 컴퓨터 40 : 오토 파워 제어부
60 :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 SW1 : 스위칭부
이 고안은 전원 스위칭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대의 모니터가 세트로 구성된 경우 온/오프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여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스위칭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와 같은 기기들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전원회로이다. 이 전원회로는 각 기기들에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전원회로에는 또 파워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스위칭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들 전원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거나 아니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종래에는 이들의 전원을 스위칭 하는 방법으로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 스위치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게적인 스위치, 푸시 스위치, 택트(Tack) 스위치가 그 예이다. 그리고 최근에 있어서는 데이터 송수신 기술의 발달로 원거리에서 무선 조정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가 파워의 온/오프에 이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 제1도이다. 여기에는 택트 스위치나 혹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SW1)의 일측은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OUT1)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입력단(IN)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0)의출력단(OUT2)으로부터는 파워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내부 구성 요소들로 출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0)는 항상 출력단 (OUT1)과 입력단 (IN)의 도통상태를 체크하여, 도통상태에 따라 파워 온 또는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단(OUT2)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파워를 온 시켰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OUT1)과 입력단(IN)이 도통되어 그의 출력단( OUT1)으로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단(IN)으로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이를 인식한 후 출력단(OUT2)으로 파워 온 제어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내부 구성 요소들로 출력한다.
그리고 파워가 오프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OUT1)과 입력단(IN)이 도통되지 않아서, 이로 인하여 그의 출력단(OUT1)으로 출력되는 펄스가 입력단(IN)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이를 인식한 후 출력단(OUT2)으로 파워 오프 제어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내부 구성요소들로 출력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는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와 같은 기기들의 내부 구성요소들은 마이크로 컴퓨터(20)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상태를 인식하여 동작을 시작하거나 정지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멀티비젼(Multi-Vision)이나 마스터 기록 재생장치에 여러대의 모니터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노래방 또는 전시장에 설치된 세트의 경우에는 이들 기기들을 노래방 또는 전시장에 설치된 세트의 경우에는 이들 기기들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이 세트마다 파워를 제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멀티비젼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전원 콘센트에 항상 파워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면, 전원회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파워 온 또는 오프시 파워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모니터들을 일일이 파워 온 또는 오프시켜야 한다. 그리고 파워 라인이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파워 라인을 연결하여야 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이는 구성수가 적을 때는 큰 문제가 없으나, 세트의 구성수가 상당히 많은 경우에는 아주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장치가 세트로 구성된 경우 파워 라인의 콘센트에 접속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파워 온 또는 오프하는 전원 스위칭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스위칭 회로는 1. 대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가 파워 인/아웃 단자사이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상기 파워 인/아웃 단자사이의 도통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파워 출력 제어 단자에서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장치가 세트로 구성된 전자기기의 전원 스위칭 회로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미분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분수단, 상기 미분 펄스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파워 인/아웃 단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제1스위칭 수단 및 상기 파워 출력 제어 단자와 상기 미분수단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온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미분수단의 출력신호를 접지로 도통시키기 위한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위의 제1스위칭수단은 제2도에 도시된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고, 미분수단은 저항(R3), 콘덴서(C2)로 구성되고, 제2스위칭수단은 트랜지스터(Q2), 저항 (R4, R5)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스위칭 회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실시예이고, 제3도는 실시예의 동작에 따른 파형도로서, 제1도와 동일 부품은 동일 인용 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스위치(SW1)에 병렬로 오토 파워 제어부(4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오토 파워 제어부(40)은 파워라인을 통하여 파워가 인가되면 발생되는 대기전압에 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0)의 두단자(OUT1), (IN) 사이를 도통시키는 것이다.
대기전압이 일측에 인가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의 다른 일측에 평활용 접지 콘덴서(C1)와 분압용 저항(R2)과 분압용 접지저항(R1)이 별렬로 연결되고 저항(R2)의 다른 일측에는 미분용 콘덴서(C2)과 분압용 접지저항(R3)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콘덴서의 다른 일측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입력단(IN)에 연결되어 있고 그의 콜렉터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OUT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60)는 택트키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온시에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것은 마이크로 컴퓨터(20)의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분압하는 저항(R4)과 접지저항(R5)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으며 그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우선, 파워라인이 콘센트에 접속됨으로써 파워가 인가되면, 전력변환회로의 대기전원 라인에는 기종 따라 다르지만 거의 16V 정도의 전압이 발생된다. 이것은 전원 스위칭 회로의 온 또는 오프에 관계없이 항상 발생되는 것이다.
초기에 파워라인을 통하여 파워가 인가되면 제3도의 (a)와 같은 대지전압이 OV에서 일정치의 전압으로 상승한다. 이때 이 대기전압은 다이오드(D)와 콘덴서(C)에 의하여 파형이 정형되고 저항(R2)와 저항 (R1)에 의하여 분압되다. 그리고 이 분압된 전압이 콘덴서(C2)와 저항(R3)에 의하여 미분되어 제3도의(b)와 같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미분치 하이레벨 전압이 인가되면 턴온되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두 단자(OUT1), (IN)를 도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Q1)는 파워 라인을 통하여 파워가 인가됨을 감지하여 단자(OUT2)로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는 제3도의 (b)와 같이 파워 온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후 도시되지 않은 내부 구성요소들로 출력됨과 동시에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60)로 인가되어 저항(R4)과 저항(R5)에 의하여 분압된 후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방전된다. 그러면 제3도의 (b)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전압이 방전된다. 그러면, 제3도의 (b)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 레벨이 순간적으로 거의 OV로 감소되어 결국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시점 이후는 트랜지스터(Q1)가 턴온프된다.
따라서 파워 라인이 계속 연결된 상태라도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 레벨을 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Q1)는 계속 턴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파워 라인이 콘센트에 접속되어 파워 온된 이 후부터는 택트 스위치나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하여 스위치(SW1)를 스위칭하여 개별적으로 기기를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파워 오프상태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파워 라인을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면 파워가 세트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세트는 일제히 턴오프상태가 된다.
즉, 파워 라인을 콘센트에 접속하면, 파워 라인을 통하여 인가되는 파워가 전력변환회로에 인가되어 전력변환회로에서 대기전압을 발생하게 되므로, 이 대기 전압이 미분되어 마이크로 컴퓨터(20)에 병렬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20)는 파워 인가를 인식하여 파워 온 제어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각 구성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택트 스위치나 리모크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모니터별로 파워를 제어할 경우의 에러를 제어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스위치(SW1)의 스위칭에 따라 파워 온 또는 오프 제어신호가 인가되도록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60)가 동작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동시에 파워를 오프하기 위해서는 파워 라인을 콘세트와 분리하면, 세트에 제공되는 전원이 없기 때문에 모든 동작이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원 스위칭 회로에 의하면, 파워 라인을 통하여 파워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대기전압이 미분됨에 따라 세트에 제공되는 파워를 스위칭하는 오토 파워 제어부와 오토 파워 제어부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러 방지용 스위칭부가 구성됨으로써 파워 라인을 콘센트에 접속함과 동시에 모든 세트의 파워 동작이 가능하여 다수의 기기로 세트 구성시 이들의 파워 제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기 정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가 파워 인/아웃 단자사이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상기 파워 인/아웃 단자사이의 도통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파워 출력 제어 단자에서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장치가 세트로 구성된 전자기기의 전원 스위칭 회로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미분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분수단; 상기 미분 펄스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파워 인/아웃 단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제1스위칭 수단; 및 상기 파워 출력 제어 단자와 상기 미분수단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온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미분수단의 출력신호를 접지로 도통시키기 위한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칭 회로.
KR2019930025769U 1993-11-30 1993-11-30 전원 스위칭 회로 KR0129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769U KR0129491Y1 (ko) 1993-11-30 1993-11-30 전원 스위칭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769U KR0129491Y1 (ko) 1993-11-30 1993-11-30 전원 스위칭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80U KR950015980U (ko) 1995-06-19
KR0129491Y1 true KR0129491Y1 (ko) 1998-12-15

Family

ID=1936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769U KR0129491Y1 (ko) 1993-11-30 1993-11-30 전원 스위칭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980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9767B2 (en) Wake-up circuit
KR0171857B1 (ko)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방법
US5692203A (en) Power up/power down for electronic hardware which conserves electric power
KR0129491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US5787293A (en) Computer incorporat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therein
US6327161B1 (en) Power-saving circuit
KR19990025979A (ko) 스위칭을 이용한 리셋장치
JP3284742B2 (ja) スイッチ付レギュレータ電源の起動制御回路および方法
JPH0212546A (ja) メモリ保持システム
JPH0378708B2 (ko)
JP2503299Y2 (ja) 電源盤起動制御回路
KR100196842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방법
JPS5910820Y2 (ja) タイマ−信号入出力回路
KR100461635B1 (ko) 리셋회로
JP3098480B2 (ja) 電源回路
JPH069553Y2 (ja) 電源回路
JP2589612Y2 (ja) 多機能電源回路
KR890007666Y1 (ko)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KR100314711B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30005929Y1 (ko) 자동모드 절환회로
KR20000015480A (ko) 리모트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
KR10021082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전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940002781Y1 (ko) 스위칭 파우어 콘트롤 회로
JPH0549166A (ja) 直流電源投入装置
KR100496030B1 (ko) 기동회로, 상기 기동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