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666Y1 -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666Y1
KR890007666Y1 KR2019860016051U KR860016051U KR890007666Y1 KR 890007666 Y1 KR890007666 Y1 KR 890007666Y1 KR 2019860016051 U KR2019860016051 U KR 2019860016051U KR 860016051 U KR860016051 U KR 860016051U KR 890007666 Y1 KR890007666 Y1 KR 890007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signal
re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032U (ko
Inventor
이흥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6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666Y1/ko
Publication of KR880009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격제어 전원공급부 2 : 지연부
3 : 제어신호 발생부 4 : 원격제어수신부
5 : 릴레이구동부 6 : 주전원공급부
본 고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원제어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전자기기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이 많으나 최근들어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원격제어 송, 수신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제품이 많으나 점차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주전원의 온/오프도 원격제어로 조작시키는 것이 많다.
그러나 원격제어에 의한 전원 온/오프회로가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제품이 다기능화됨에 따라 원격제어 수신회로 자체의 용량도 많아졌다.
따라서, 종래의 제품이 다기능화됨에 다라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전원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전원코드를 콘센트에서 잡아 빼었다가 다시 끼울 경우에나 전원의 쇼크노이즈(Shock Noise)등으로 인해서 전원회로가 오동작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의 온/오프 타이밍상태나 쇼크노이즈 등을 방지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입각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주전원스위치(SW1)와 릴레이스위치(SW2)를 통한 교류전원은 주전압공급부(6)를 통해서 부하(LD)에 공급되는데, 주전원스위치(SW1)의 절환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교류전원은 원격제어 전원공급부(1)를 거쳐서 리모콘수신 프리앰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그 신호와 일치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자체로 스위치조작이 가능한 원격제어수신부(4)에 공급됨과 동시에 지연부(2)에 인가된다.
상기한 지연부(2)에 인가된 전원신호는 원격제어수신부(4)에 공급되는 신호부다 늦게 인가되도록 지연시켜서 제어신호 발생부(3)에 인가되게 하고, 이 제어신호 발생부(3)에서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원격제어수신부(4)의 전원제어단자(0N/OFF)에 인가되며, 원격제어수신부(4)에서는 제어신호 또는 원격제어송신기의 송신신호를 반전하여서 출력단자(CP1)을 통해 릴레이구동부(5)와 제어신호 발생부(3)에 인가되게 한다.
그리고, 릴레이구동부(5)는 릴레이(RLY)를 구동시켜서 릴레이스위치(SW2)가 절환됨에 따라 주전원공급부(6)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주전원스위치(SW1)와 릴레이스위치(SW2)를 통한 교류전원은 트랜스(PT1)와 양파 브릿지정류기(RF) 및 평활 콘덴서(C3, C4)를 거쳐서 부하(LD)에 공급되는 데, 주 전원 스위치(SW1)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전원은 원격제어 수신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트랜스(PT2)와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5)를 거쳐 반파 정류되어서 공급된다.
그리고, 원격제어수신부(4)는 원격제어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프리앰프에서 증폭되어 입력됨에 따라 이 입력신호와 반전상태의 신호로 출력단(CP1)을 통해 출력되게 하고, OSC와단자는 발진단자로서 이 단자를 통해 원격제어수신부(4)에 발지펄스신호가 인가되며, 전원제어단자(ON/OFF)는 사이클 출력단자(CP1)의 외부 제어입력단자로서 원격제어송신기와 원격제어수신기 자체에서 제어된다.
먼저, 주전원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전원코드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스위치(SW1)와 퓨우즈를 통해 보조 트랜스(PT2)에 공급된다.
이 트랜스(PT2)에 공급된 전원은 다이오드(D2)와 콘덴서(C5)에 의해 반파정류 되어서 릴레이(RLY)를 구동 시킬 수 있는 전압이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자인 "A"점에 가해진다.
상기한 "A"점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R2)에 의한 전압강하와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서 원격제어수신부(4)의 전원으로 다이오드(D3)와 접지된 콘덴서(C6)를 통해 공급된다.
한편, "A"점에 걸리는 전압은 콘덴서(C7)와 저항(R4) 및 제너다이오드(ZD2)으로 인가되어서 제너다이오드(ZD2)가 "온"도면 접지된 저항(R5)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인 "B"점에 논리 "1"(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어서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된다.
이때,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논리 "0" (로우레벨)신호가 원격제어수신부(4)의 전원제어단자(ON/OFF)에 인가되기 때문에 원격제어수신기(4)의 출력단(CP1)에는 논리 "1"신호가 출력되어서 저항(R7)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도통시킨다.
따라서, "C"점인 원격제어수신부(4)의 출력단(CP1)에 논리 "1"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Q1)를 도통히키기 때문에 릴레이(RLY)가 동작되어 릴레이스위치(SW2)를 "온"시킴으로서 비로소 주전원트랜스(PT1)를 통해 부하(LD)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주전원스위치(SW1)를 "온"시켜 부하(LD)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게 한 다음 부하(LD)를 "오프"시키기 위해 원격제어송신기의 전원스위치를 누르면, 원격제어수신기(4)의 출력단(CP1)신호가 반전되어서 "C"점에 논리 "0"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지 않음과 동시에 릴레이(RLY)도 "오프"상태가 되고, 릴레이(RLY)가 "오프"됨에 따라 릴레이스위치(SW2)가 "오프"되어서 주전원트랜스(PT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부하(LD)는 동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원격제어수신기(4)의 출력단자(CP1)는 사이클 신호단자로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태가 반전되므로 다시 부하(LD)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제어송신기의 전원스위치를 누르면 원격제어수신부(4)의 출력단(CP1)신호는 다시 논리 "1"신호가 되어서 릴레이(RLY)가 동작됨에 따라 주전원트랜스(PT1)에 전압이 가해져 부하(LD)가 다시 동작된다.
한편, 최초로 주전원스위치(SW1)를 "온"시켜서 "A"점에 전압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B"점에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온"됨에 따라 원격제어수신부(4)의 전원제어단자(ON/OFF)에 논리 "0"신호가 입력되어서 출력단(CP1)에는 논리 "1"신호가 출력되고, 이 논리 "1"신호는 저항(R7)을 통해 릴레이(RLY)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저항(R6)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도통시키며, 이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3)를 "오프"되게 한다.
또한, 부하(LD)를 동작시키는 중에 주전원스위치(SW1)를 "오프"시키면 보조트랜스(PT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A"점의 전위는 콘덴서(C5)와 저항(R1)을 통해 방전되어서 릴레이 공급전원이 없어지고, 이에 따라 릴레이(RLY)는 "오프"상태가 됨에 따라 릴레이스위치(SW2)가 "오프"되어서 주전원트랜스(PT1)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한다.
한편, 콘덴서(C7)에 충전된 전압도 저항(R4, R5)과 제너다이오드(ZD2) 및 다이오드(D4)에 의해 방전되어 초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주전원스위치(SW1)에 의해 "A"점에 전압이 인가된 다음 트랜지스터(Q3)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A"점의 전원이 콘덴서(C7)와 저항(R4)을 거쳐야 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제너다이오드(ZD2)를 "온"시켜야하기 때문에 저항(R2)과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원격제어수신부(4)에 공급되는 전원보다 지연되어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따라서, 원격제어수신부(4)에 전원이 공급된 다음 전원제어단자(ON/OFF)의 입력신호가 논리 "0"상태가 되어서 시간차이로 발생하는 오동작 즉, 채터링(Chattering)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원격제어수신부(4)의 출력단(CP1)의 신호가 논리 "1"일때 이 신호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를 "온"시켜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를 논리 "0"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3)의 이상동작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가전제품의 전원절환동작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원격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가전제품의 전원절환장치에 있어서, 주전원스위치(SW1)에 의해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반파정류된 전압으로 변환하여서 회로에 공급하는 원격제어 전원공급부(1)와, 상기한 원격제어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을 원격제어수신기(4)에 인가되는 시간보다 늦게 제어신호발생부(3)에 인가되도록 지연시키는 지연부(2)와, 상기한 지연부(2)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3)와, 상기한 제어신호발생부(3)의 출력신호 또는 원격송신되어서 전단증폭기를 거쳐 수신되는 신호(Rx)를 인가하여 반전된 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원격제어수신부(4)와, 상기한 원격제어수신부(4)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릴레이(RLY)를 구동시키는 릴레이구동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릴레이(RLY)가 구동됨에 따라 릴레이스위치(SW2)가 절환되어 전원이 부하(LD)와 연결된 주전원트랜스(PT1)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KR2019860016051U 1986-10-21 1986-10-21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KR890007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51U KR890007666Y1 (ko) 1986-10-21 1986-10-21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51U KR890007666Y1 (ko) 1986-10-21 1986-10-21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032U KR880009032U (ko) 1988-06-30
KR890007666Y1 true KR890007666Y1 (ko) 1989-10-31

Family

ID=1925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051U KR890007666Y1 (ko) 1986-10-21 1986-10-21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6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032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4789A (en) Circuit for integrating a local switch and a remote-control switch
US6133801A (en) Crystal oscillation circuit
EP0242759B1 (en) Current limiter for constant current for switching driving devices
KR20010051532A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US5309310A (en) Combined ground fault interrupter circuit and remote control on/off device
US5691604A (en) Method and circuit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electronics appliance
KR890007666Y1 (ko) 전원 제어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 수신장치
US20040037019A1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JP2583494B2 (ja) 遠隔操作される装置のためのスイツチング電源
US1074736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0138768B1 (ko) 소멸성 메모리 보존 시스템
JPH1042491A (ja) 電気機器の電源電圧を遮断するための装置
US5986495A (en) Key switch control device
JP3284742B2 (ja) スイッチ付レギュレータ電源の起動制御回路および方法
KR860003421Y1 (ko) 원격 조정 전원 회로
KR100211108B1 (ko) 전원 회로
KR100198535B1 (ko) 전자기기의 자동전압 전환장치
KR0129491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H0549166A (ja) 直流電源投入装置
KR900002487Y1 (ko) 타이머를 이용한 전압공급 제어회로
US4010389A (en) Solid state time delay and holding circuit
KR950013166B1 (ko) 주파수신호에 의한 원격제어스위치장치
US20060050540A1 (en) Capacitive drop power supply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910005427Y1 (ko) 전원 투입시 세트의 정상 동작회로
KR100329474B1 (ko) 가전제품의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