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64Y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64Y1
KR0128964Y1 KR2019950030544U KR19950030544U KR0128964Y1 KR 0128964 Y1 KR0128964 Y1 KR 0128964Y1 KR 2019950030544 U KR2019950030544 U KR 2019950030544U KR 19950030544 U KR19950030544 U KR 19950030544U KR 0128964 Y1 KR0128964 Y1 KR 0128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case
plate
porous stone
sto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287U (ko
Inventor
가쯔야 이와모또
Original Assignee
가쯔야 이와모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쯔야 이와모또 filed Critical 가쯔야 이와모또
Publication of KR960013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gas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목적]
고기등의 피조리물을 항상 간단하고 맛좋게 구워낼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구성]
이 가열조리기는 상부를 개구한 본체케이스(1)와, 본체케이스(1)내에 설치된 가스버너(6)와, 가스버너(6)의 상측에 설치된 가스버너(6)에 의하여 적열하는 방열판(7)과, 방열판(7)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조리물이 직접 얹어지는 다공석판(10)을 구비한다. 다공석판(10)은 사문석의 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설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가열조리기의 평면도.
제2도는 가열조리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4 : 내케이스
6 : 가스버너 7 : 방열판
10 : 다공석판 10a : 구멍
12 : 금속띠
본 고안은 고기 등을 구워 조리하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버너 등의 열원상에 배치한 다공석판상에서 고기 등을 잘 굽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기 등을 굽는 가열조리기는 슬릿이 있는 주철제의 플레이트를 가스버너상에 설치하고 그 플레이트상에 고기 등을 얹어 굽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이 고기를 굽는 가열조리기는 고기 등의 피조리물을 얹는 플레이트가 주철 등의 금속제이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열전도성이 높아 가스버너 등의 고칼로리 열원을 사용할 경우 고기 등의 피조리물이 타기쉬워 화력의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거나 항상 고기 등이 구워지고 있는 상태를 보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일반인이 항상 간단하게 고기 등을 맛좋게 구워낼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기등의 피조리물을 항상 간단하고 맛좋게 구워낼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가열조리기는 상부를 개구한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내에 설치된 가스버너와 가스버너의 위쪽에 설치된 가스버너에 의하여 적열하는 방열판과 방열판의 위쪽에 설치되어 피조리물이 직접 얹혀지는 다공석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열조리기는 가스버너의 점화에 의하여 방열판이 적열하고 방열판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상측의 다공석판이 그 원적외선을 받아 가열된다. 고기 등의 피조리물은 다공석판의 위에 얹혀져 구워내는 데 석판은 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이판에 비해 급격하게 고온이 되는 일이 업고 온도상승에 따라 그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때문에 화력조정을 미세하게 조절하지 않아도 또 항상 구워지는 상태를 보고 있지 않아도 고기 등을 타지 않고 맛좋게 구워낼 수 있다.
또 석판에는 많은 구멍이 천설되어 있기 때문에 고기에서 나온 유분을 그 구멍으로 아래쪽의 케이스내로 떨어뜨릴 수 있고 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피조리물에 직접 쪼여 맛좋고 효율좋게 구울 수 있다.
또 구이판에 석판이 사용되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이판에 비해 녹이 생기지 않아 녹에 의한 해가 없고 유지가 용이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석판에서 미네랄성분이 피조리물에 옮겨지기 때문에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또 다공석판에 사문석을 사용하면 열에 강하기 때문에 열에 의해 금이 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공석판의 전체를 상측에 볼록상으로 만곡하여 형성하고 다공석판의 주위에 금속띠를 끼워붙이면 한층 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가열조리기의 평면도를, 제2도는 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1은 상부를 개구한 본체 케이스이고, 원통용기상에 강판제로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1)의 저부에는 배기공(2)이 마련되고 그 배기공(2)에 배기덕트(3)가 접속된다. 배기덕트(3)는 도시생략한 배기블로워 등에 접속된다.
본체 케이스(1)내에 내케이스(4)가 설치된다. 내케이스(4)는 강판 등에 의하여 원통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다. 내케이스(4)와 본체케이스(1)사이에는 상단을 개구하여 배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내저부의 배기통로에는 필터(5)가 설치된다.
내케이스(4)의 저부는 물을 채우도록 폐쇄하고 또 내케이스(4)내의 대략 중앙에는 환상의가스버너(6)가 설치된다. 또한 가스버너(6)의 바로 위에는 화상이 되는 방열판(7)이 원통(8)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방열판(7)은 예를들면 스테인레스강판에 다수의 돌기부를 부분펀칭상으로 형성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바로 밑에 위치하는 가스버너(6)의 불꽃을 받아 적열하고 원적외선을 위쪽으로 방사한다.
또한 그 방열판(7)의 상측에는 내케이스(4)의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다공석판(10)이 설치된다. 다공석판(10)은 사문석의 판에 다수의 구멍(10a)을 천설하고 주위에 금속띠(12)를 끼워붙여 구성되고 또 이 석판은 상측에 볼록상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사문석의 판에 천설하는 구멍의 크기나 수는 고기 등의 피조리물의 크기나 가스버너(6), 방열판(7)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예를들면 두께 10㎜~13㎜, 직경 16㎝의 석판의 경우 10~15㎜의 지름의 구멍을 18개 정도 천설하면 좋다. 또 두께 10㎜~16㎜, 직경 27㎝~30㎝의 석판의경우 10~15㎜정도의 지름의 구멍을 36~90개 천설한다.
사문석은 일반적으로 열에 강하고 금이 가는 일이 적으나 다공석판(10)의 전체가 상측에 볼록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으로 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큰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 다공석판(10)의 주위에는 스테인레스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금속띠(12)가 죄이도록 끼워붙여지기 때문에 석판의 강도가 한층 향상하여 금이 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1은 본체케이스(1)의 상단부에 얹어진 환상커버이고, 본체케이스(1)와 내케이스(4)간에 형성된 배기통로의 상부를 덮고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배기가 배기통로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열조리기에서는 가스버너(6)에 점화하면 가스버너(6)에 불꽃에 의하여 그위의 방열판(7)이 가열되고 고온이 되어 적열한다. 적열상태가 되었던 방열판(7)으로 부터는 다량의 원적위선이 방사되고 그 원적외선에 의하여 그 위쪽의 다공석판(10)이 가열된다.
고기 등의 피조리물은 다공석판(10)위에 얹어지고 다공석판(10)의 온도상승과 함께 잘 구워진다. 통상의 석판과 마찬가지로 이 다공석판(10)도 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이판에 비해 급격하게 고온이 되는 일은 없고 온도상승에 따라 그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고 고기 등을 타지 않고 맛좋게 구워낼 수 있다.
또 다공석판(10)에는 많은 구멍(10a)이 뚫어져 있기 때문에 고기로부터 나온 유분을 그 구멍(10a)으로 아래쪽의 케이스내로 떨어뜨릴 수 있고 구멍(10a)으로부터 위쪽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피조리물에 직접 쪼여 맛좋고 효율좋게 구울 수 있다.
또 구이판에 다공석판(10)이 사용되기 때문에 금속제의 구이판에 비해 녹이 생기지 않아 녹에 의한 해가 없고 유지가 용이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공석판(10)으로부터 미네랄성분이 피조리물로 옮겨 가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은 식품을 구워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스렌지의 본체케이스(1)내에 방열판(7)을 설치하고 방열판(7)을 적열시켜 불판으로 하였으나 방열판을 사용하지 않은 가스렌지에 다공석판을 얹어 사용할 수 도 있고 또 숯불위에 다공석판을 얹어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상부를 개구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된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스버너에 의하여 적열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조리물이 직접 얹어지도록 사문석의 판에 다수의 구멍이 천설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상측에 볼록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공석판의 주위에 금속띠가 끼워붙여져 있는 다공석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상부를 개구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된 숯불열원과, 상기 숯불열원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조리물이 직접 얹어지도록 사문석의 판에 다수의 구멍이 천설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상측에 볼록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공석판의 주위에 금속띠가 끼워붙여져 있는 다공석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상부를 개구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된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조리물이 직접 얹어지도록 사문석의 판에 다수의 구멍이 천설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상측에 볼록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공석판의 주위에 금속띠가 끼워붙여져 있는 다공석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내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부에 배기덕트가 접속되고, 상기 다공석판이 상기 내케이스상에 얹어지고 상기 다공석판상의 공기를 상기 본체케이스와 내케이스의 사이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내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부에 배기덕트가 접속되고, 상기 다공석판이 상기 내케이스상에 얹어지고 상기 다공석판상의 공기를 상기 본체케이스와 내케이스의 사이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내에 내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부에 배기덕트가 접속되고, 상기 다공석판이 상기 내케이스상에 얹어지고 상기 다공석판상의 공기를 상기 본체케이스와 내케이스의 사이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2019950030544U 1994-10-28 1995-10-27 가열조리기 KR01289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13399 1994-10-28
JP1994013399U JP3010660U (ja) 1994-10-28 1994-10-28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87U KR960013287U (ko) 1996-05-17
KR0128964Y1 true KR0128964Y1 (ko) 1998-11-16

Family

ID=1183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544U KR0128964Y1 (ko) 1994-10-28 1995-10-27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10660U (ko)
KR (1) KR01289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10660U (ja) 1995-05-02
KR96001328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416A (en) Wok burner
US4508097A (en) Self cleaning indoor barbecue griller
KR0128964Y1 (ko) 가열조리기
KR100610323B1 (ko) 조리구이판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JP2022002697A (ja) ポータブルコンロ
JPS6214994Y2 (ko)
KR200331681Y1 (ko) 휴대용 세라믹 가스그릴의 열 유도 판 및 열 차단장치
KR200306140Y1 (ko) 원적외선 방사 맥섬석 세라믹 구이판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200263707Y1 (ko) 숯돌케이스가 부착된 삼발이
KR100565123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조리기구
KR200408478Y1 (ko) 휴대용 구이판
KR200384549Y1 (ko) 휴대용 가스버너 구이기
KR200375599Y1 (ko) 조리구이판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KR970002593Y1 (ko) 구이판 가열기
KR101860673B1 (ko)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이 불판
JPH11342082A (ja) 電磁調理器用焼器の皿
KR200267822Y1 (ko) 원 세라믹 가스버너
KR19990000717U (ko) 구이판
KR200332177Y1 (ko) 간접 가열식 고기구이판
KR880000234Y1 (ko) 집열식 돌구이기
JPH11253322A (ja) 焼物用卓上こん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