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532Y1 -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532Y1
KR0128532Y1 KR2019960031359U KR19960031359U KR0128532Y1 KR 0128532 Y1 KR0128532 Y1 KR 0128532Y1 KR 2019960031359 U KR2019960031359 U KR 2019960031359U KR 19960031359 U KR19960031359 U KR 19960031359U KR 0128532 Y1 KR0128532 Y1 KR 0128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oor
door frame
fram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960U (ko
Inventor
황천익
Original Assignee
황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천익 filed Critical 황천익
Priority to KR201996003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5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3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by means of dowel attach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9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문틀에 장착되어서 여닫이문이 회전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여닫이문의 문틀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노출공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태로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되게 하여 주고, 또한 설치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주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상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근에 고정설치되어지며 상면 일측중앙에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축수용부(24)를 가지는 기판(21)과, 상기 기판(21)의 상면 소정의 위치상에 브래킷(28)으로 지지되어지는 일단이 높이조절나사(29)에 의하여 상하조절되는 지렛대(26)와, 상기 지렛대(26)의 일단과 결합되어 축수용부(24)내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내삽되는 피보트핀(27)과, 상기 기판(21) 하부에 연접하여서 그 기판(21)을 덮어주는 플레이트판(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은 문틀상부프레임의 노출공(12)의 양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1쌍의 나사결합구멍(22)이 형성된 좌우측 플랜지부(21b)와, 상기 좌우측 플랜지부(21b)로부터 각각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서 단턱지게 절곡되어 수평부(21a)로 연결되는 거치부(2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제1도는 플로어힌지용 상부피보트와 관련된 종래기술에 관한 도면으로서,
(a)도는 문틀용상부피보트의 일부분해사시도.
(b)도는 문틀용상부피보트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제2도는 문틀에 장착되는 본고안 문틀용 상부피보트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문틀용 상부피보트의 지지축이 문짝용상부피보트의 힌지블록에 축지되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및 결합부의 일부확대단면도.
제4도의 (a)도는 본고안의 문틀용 상부피보트가 문틀상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일부 사시도.
(b)도는 (a)도의 횡단면도.
제5도의 (a)도는 본고안 문틀용상부피보트의 평면도.
(b)도는 (a)도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클상측프레임 1a : 저판
1b : 노출공 1c,1c' : 나사공
2 : 피버트조립체 3 : 기판
4,4' : 고정편 4c,c' : 요입부
5,5' : 고정나사 6 : 장식판
10 : 문틀상부프래임 11 : 저판
12 : 노출공 13 : 나사결합구멍
20 : 문틀용상부피보트 21 : 기판
21a : 수평부 21b : 플랜지부
21c : 거치부 22 : 나사결합구멍
23 : 보강돌출부 24 : 축수용부
25 : 조작구멍 26 : 지렛대
27 : 피보트핀 28 : 브래킷
29 : 높이조절나사 29a : 두부
30 : 플레이트판 31 : 높이조절나사구멍
32 : 조작구멍 33 : 축수용구멍
34 : 고정나사 40 : 문짝용상부피보트
41 : 힌지블록 42 : 브래킷
50 : 문짝용상부프레임
[산업상 이용분야]
본고안은 문틀에 장착되어서 여당이문이 회전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여닫이문의 문틀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노출공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태로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되게 하여 주고, 또한 설치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주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상기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173호에 공개번호 제87-1242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틀의 상측프레임(1) 저판(1a)에 피버트핀을 구비한 상부피버트조립체(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피버트조립체의 기판(3) 고정단부가 끼워지는 절곡부를 중간에 구비한 고정편(4)(4')을 각각 형성하여 각 고정편(4)(4')을 고정나사(5)로 기판(3)의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고정하고, 각 고정편(4)(4')을 상측프레임(1) 저판(1a)의 노출공(1b) 양측단부에 형성한 나사공(1c)(1c')에 고정나사(5')로 고정하는 한편, 상기 고정편(4)(4')의 중간부 일측에 장식판(6) 고정용나사가 돌출되는 요입부(4c)(4c')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의 상부피버트 체결장치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은 문틀상측프레임(1) 저판(1a)의 노출공(1b)에 피버트조립체(2)를 삽입시킨 후, 기판(3)의 고정단부가 끼워지는 절곡부를 중간에 구비한 별도의 부재인 1쌍의 고정편(4)(4')들에 의하여 노출공 양단부에서 각각 고정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기술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피버트조립체(2)의 기판(3)이 문틀상측프레임(1)에 직접적으로 고정설치되지 못하고, 고정편(4)(4')들을 통하여 간접적인 방식으로 고정설치되어지는 관계로 즉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못함으로써 문짝의 회전개폐작동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측압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피버트조립체(2)의 기판(3)을 별도의 고정편(4)(4')으로서 문틀상측프레임(1)에 고정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라 불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불필요한 부품수가 증가되는 만큼 문틀상측프레임(1)에 피버트조립체(2)를 설치하게 되는 과정이 복잡하면서도 번거로운 불편한 점과, 특히 피버트조립체(2)의 수리나 보수를 위하여 해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를 다시 결합할 때에 고정편(4)(4')이 임의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현실적으로는 이를 다시 조립시킬 수 없게 되어 보수 및 관리유지에도 많은 어려움을 감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따라서, 본고안은 여닫이문의 문틀상부프레임의 보서리부근에 형성된 노출공의 양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1쌍의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된 좌우측 플랜지부와, 상기 좌우측 플랜지부로부터 각각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서 단턱지게 절곡되어 수평부로 연결되는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구조로 이루어진 문틀상부피보트를 문틀상부프레임에 결합시킴에 있어, 구조적 측면에서 단순히 1개의 부재로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고안의 목적]
본고안은 기판(21)의 양측 좌우 플랜지부와 수평부사이에 형성되는 거치부(21c)에 의하여 문틀상부프레임(10)의 노출공(12) 양측단의 상부면에 걸쳐져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문틀상부프레임(10)과 기판(21)의 플랜지부가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맞대어져서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별도의 고정수단을 배제한 1개의 부재로 된 기판(21)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주며,
셋째, 문틀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노출공(12)에 거치부(21c)가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서 고정하게 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넷째, 사용도중에 수리를 위하여 헤치된 경우라도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보수 및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여닫이문의 문틀용상부피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본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상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근의 저판(11)의 노출공(12)에 고정설치되어지는 문틀용상부피보트(20)로서, 상기 기판(21) 일측상면상에 브래킷(28)으로 지지되어 높이조절나사(29)에 의하여 상하조절되는 지렛대(26)와, 상기 지렛대(26)의 일단과 결합되어 축수용부(24)내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내삽되는 피보트핀(27)과, 상기 기판(21)하부에 연접하여서 그 기판(21)을 덮어주는 플래이프판(30)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그러나, 본고안의 여당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의 양측단에 상면 일측중앙에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축수용부(24)를 가지며, 전후방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보강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선상의 일정위치에 조작구멍(25)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21a)와, 노출공(12)의 양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1쌍의 나사결합구멍(22)이 형성된 좌우측 플랜지부(21b)와, 상기 좌우측 플랜지부(21b)로부터 각각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서 단턱지게 절곡되어 수평부(21a)로 연결되는 거치부(2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21)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판(21)이 설치되어지는 문틀상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근에 형성된 노출공(12) 양측단의 상부면에 걸쳐져서 견고하게 고정설치될수 잇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의 수평부(21a)에 중심선상의 일정위치에 조작구멍(25)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21a)는 플레이트판(30)의 중심선상의 일정위치에 형성된 조작구멍(32)과 일직선상으로 상기 지렛대(26)의 직하부를 향하여 관통되어져 있다.
상기 조작구멍(25)(32)들이 형성된 이유는, 상기 지렛대(26)가 불량하여 제기능을 불휘하지 못할 때에 그 지렛대(26) 직하부의 기판(21)과 플레이트판(30)에 형성되는 조작구멍(25)(32)들을 통하여 드라이버등과 같은 도구로서 지렛대(26)를 움직여 주어서 그 지렛대(26)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지렛대(26)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문틀상부프레임(10)으로부터 전체를 분리하여 수리하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의 수평부(21a)의 전후방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형성되는 보강돌출부(23)를 형성하여서, 여닫이문의 개폐시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21a)에서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부(21a)를 보강지지시킬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틀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노출공(12)의 테두리부에 기판(21)의 플랜지부(21b)가 얹혀지도록 노출공의 양측단에 거치부(21c)가 딱 끼워지게 위치시키고, 그 기판(21)하부에 플레이트판(30)을 연접시켜, 그 플래이트판(30)과 문틀상부프레임(10)을 관통하여 기판(21)의 플랜지부(21b)상에 형성된 1쌍의 나사결합구멍(22)에 고정나사(34)를 체결하여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설치된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는 높이조절나사구멍(31)아래로 노출된 높이조절나사(29)의 두부(29a)를 회전시킴으로써 기판(21)의 축수용부(24)내에서 조절되는 지렛대(26)에 의하여 상하위치가 조절되는 피보트핀(27)을 문틀상부프레임(10)의 하부로 돌출시켜서, 문짝상부프레임(50)에 설치되어 있는 문짝용상부피보트(40)의 지지브래킷(42)내에 수용된 힌지블록(41)의 축수용구멍(33)에 삽입되게 하여 여닫이문의 회전작동개폐시 문짝을 상부에서 잡아주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고안의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보피보트는 기판(21)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배제된 구조로서, 문틀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노출공(12)의 양측 테두리부에 거치부(21c)가 삽입되어지면 기판(21)의 플랜지부(21b)가 얹혀져서 고정설치를 위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설치시에 기판(21)을 움직여서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없이 곧바로 기판(21) 하부면에 플에이트판(30)을 대고 고정나사(34)로서 체결하여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21)의 양측단에 절곡 형서되는 좌우 플랜지부(21b)들의 일정위치에는 각각 복수개의 나사결합구멍(22)들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플랜지부(21b)의 나사결합구멍(22)들은 문틀상부프레임(10)의 노출공(12) 양측단에 형성되는 나사결합구멍(13)들과, 플레이트판(30)에 형성되는 통공과 일치되도록 형성하여서 고정나사(34)로서 일체로 체결고정되어진다.
특히, 문틀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노출공(12) 양측단의 상부면에 거치부(21c)가 직접저긍로 맞대어져서 고정되기 때문에 문짝을 개폐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측압에 대응하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고안의 여닫이분의 문틀용 상부피보트를 이루는 지렛대(26)와 피보트핀(27), 플레이트판(30)의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예를 적용한 것이며, 이러한 지렛대(26), 피보트핀(27), 플레이트판(30)은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안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고안의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틀상부프레임(10)과 기판(21)의 플랜지부가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맞대어져서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별도의 고정수단을 배제한 1개의 부재로 된 기판(21)을 사용함으로서 전체적인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주며,
셋째, 문틀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노출공(12)에 거치부(21c)가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서 고정하게 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넷째, 사용도중에 수리를 위하여 해체된 경우라도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보수 및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문틀상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근에 고정실치되어지며 상면 일측중앙에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축수용부(24)를 가지는 기판(21)과, 싱기 기판(21)의 상면 소정의 위치상에 브래킷(28)으로 지지되어지는 일단이 높이조절나사(29)에 의하여 상하조절되는 지렛대(26)와, 상기 지렛대(26)의 일단과 결합되어 축수용부(24)내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내삽되는 피보트핀(27)과, 상기 기판(21) 하부에 연접하여서 그 기판(21)을 덮어주는 플레이트판(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은 문틀상부프레임의 노출공(12)의 양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1쌍의 나사결합구멍(22)이 형성된 좌우측 플랜지부(21b)와, 상기 좌우측 플랜지부(21b)로부터 각각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서 단턱지게 절곡되어 수평부(21a)로 연결되는 거치부(2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당이 문의 문틀용 상부 피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의 수평부(21a)에는 전후방부에 길게 보강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상부피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의 수평부(21a)에는 중심선상의 일정위치에 조작구멍(25)이 형성되어 플레이트판(30)의 중심선상의 일정위치에 형성된 조작구멍(32)과 일직선상으로 상기 지렛대(26)의 직하부를 향하여 관통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상부피보트.
KR2019960031359U 1996-09-25 1996-09-25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KR0128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359U KR0128532Y1 (ko) 1996-09-25 1996-09-25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359U KR0128532Y1 (ko) 1996-09-25 1996-09-25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60U KR19980017960U (ko) 1998-07-06
KR0128532Y1 true KR0128532Y1 (ko) 1998-11-02

Family

ID=1946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359U KR0128532Y1 (ko) 1996-09-25 1996-09-25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5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90B1 (ko) *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60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532Y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
JP3416108B2 (ja) 蝶 番
KR100432063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구조
KR200207689Y1 (ko) 패널 고정용 지그
JP3155171B2 (ja) 天井点検口
JP2518612Y2 (ja) ピボットヒンジの軸座
JP2875027B2 (ja) バッテリフードの開閉補助装置
KR200357509Y1 (ko) 경첩용 고정브라켓트 설치구조
JP2798548B2 (ja) 点検口
JP3416107B2 (ja) 蝶 番
JP3365025B2 (ja) エア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2526056Y2 (ja) プリンタ用密閉カバー
JPH0435492Y2 (ko)
JP2980117B1 (ja) 空気調和機
JPH07293094A (ja) 扉ヒンジ構造、及び箱体
JP2552508Y2 (ja) 石油燃焼機
KR200148946Y1 (ko) 세탁기용 후면 패널의 구조
KR20020038338A (ko) 자동차 도어의 힌지 마운팅부의 규제 전용 지그
KR970007063Y1 (ko) 회전가능한 배터리 마운팅트레이의 고정구조
JP2536569Y2 (ja) 回動軸を備えた扉
JPH0240707Y2 (ko)
JP2578458Y2 (ja) 蓋の開閉装置
JPH038893Y2 (ko)
JPH0627732Y2 (ja) ヒンジ
JP2514764Y2 (ja) パチンコ機の前面枠開閉用下部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