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03Y1 -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 Google Patents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03Y1
KR0128003Y1 KR2019960007809U KR19960007809U KR0128003Y1 KR 0128003 Y1 KR0128003 Y1 KR 0128003Y1 KR 2019960007809 U KR2019960007809 U KR 2019960007809U KR 19960007809 U KR19960007809 U KR 19960007809U KR 0128003 Y1 KR0128003 Y1 KR 0128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lower plate
contact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439U (ko
Inventor
도시카즈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오츠 미나부
리듬 도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 미나부, 리듬 도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 미나부
Publication of KR970045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G04C21/2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 G04C21/2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put into action by the arbor of a mechanical alarm 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14Mechanisms continuously running to relate the operation(s) to the time of day
    • G04C23/16Mechanisms continuously running to relate the operation(s) to the time of day acting only at one preselected time or during one adjustable time interv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ct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미리 부품 상태에서 구부리지 않고, 또한 하부판에 고정하여 하부판측으로부터 억압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의 기준 접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계의 하부판(1)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2)과, 하부판(1)에 고정되고 또한 기준 캠 기구의 동작에 연속 동작하여 고정 접점(2)에 접촉 분리가능하게 탄성 변형하는 접점 스프링(10)을 구비한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에 있어서, 접점 스프링(10)은 하부판(1)에 장치되는 고정부(11)와, 고정부(11)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비고정 분기부(12)와, 분기부(12)를 경계로 하여 한쪽에 설치되고 또한 고정 접점(2)에 대치되는 접점부(14)를 가지는 접점 부재(13) 및 다른쪽에 설치되는 연장 설치 부재(16)를 구비하며, 또 하부판(1)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를 구비하고, 돌출부(4)로 연장 설치 부재(16)를 억압 가압함으로써, 접점 스프링(10)의 접점 부재(13)를 고정 접점(2)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준 접점 기구를 내장한 시계의 하부판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준 접점 기구를 내장한 시계의 하부판 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준 접점 기구를 내장한 시계의 하부판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접점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1)은 정면도이며, (2)는 측면도이고, (3)은 저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다른 접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종래예의 기준 접점 기구에 관한 것으로, 울림이 멈춘 상태의 주요부분에 관한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종래예의 기준 접점 기구에 관한 것으로, 알람시의 주요부분에 관한 종단면도이다.
제8도는 종래예의 접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 하부판 2,24 : 고정 접점
3 : 지침 파이프 4 : 돌출부
10,25 : 접점 스프링 11,26 : 고정부
12 : 분기부 13 : 접점 부재
14 : 접점부 15 : 링형부
16 : 연장 설치 부재 21 : 상부판
23 : 회로 기판 24 : 고정 접점
27 : 투공 28 : 누름 부재
29 : 내부 설형(舌形)조각 30 : 밀어올림 부재
31 : 외륜부
본 고안은 자명종에 설치되는 기준 접점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의 하부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고 또한 기준 캠 기구의 동작에 연속 동작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가능하게 탄성 변형하는 접점 스프링을 구비한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명종의 기준 기구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시계 윤열 동작과 연속 동작하는 캠 동작에 의해 기준 동작 개시시를 제어하는 기준 캠 기구와, 기준 동작의 세트·비세트 및 울림 멈춤을 제어하는 울림 멈춤 스위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 캠 기구는 일반적으로 시계 윤열을 구성하는 시침 바퀴와 연속 동작하는 유동 캠과, 기준 바퀴가 동축에 축받이된 캠 기구를 형성하고, 기준 설정시간 즉, 잠을 깨는 시각에 있어서 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 캠 동작에 기초하여 접점이 개폐되어 기준 동작이 행해진다.
전술한 종류의 기준 기구에 설치되는 기준 접점 기구는 일반적으로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즉, 이들의 도면에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이 도시되어 있으며, 회로 기판(23)이 하부판(22)에 장착되고 회로 기판(23)에는 고정 접점(24)이 설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25)은 가동 접점을 구성하며, 그 일단에 고정부(26)를 설치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고정부(26)는 회로 기판(23)에 형성된 투공(27)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다.
상기 접점 스프링(25)은 상부판(21)에 돌출 설치된 누름 부재(28)에 의해서 내부 설형(舌形) 조각(29)이 억압되고, 이 억압에 의하여 밀어올림 부재(30)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는 외륜부(31)가 일반적으로는 고정접점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그리고, 기준 설정 시각이 되면, 기준 캠 기구(도시생략)가 강하하고, 상기 밀어올림 부재(30)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며, 상기 탄성 가압되고 있는 외륜부(31)가 강하하고, 고정 접점(24)에 접촉하여 알람이 울린다(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63-128492호).
종래 공지의 기준 접점 기구는 상술한 것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접점 스프링이 하부판에 고정되는(회로 기판을 통하여 하부판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동시에, 상부판(더스트 커버라고 불리기도 한다)에 설치된 누름 부재에 의하여 접점 스프링의 일부를 억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접점 스프링을 고정 접점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점 스프링이 고정되는 부재와, 접점 스프링을 억압 및 가압하는 부재가 별도의 것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접점 스프링과 상부판과의 사이에 톱니바퀴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피하여 억압 부재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좁아져서 기준 접점 기구가 평면적으로 커지며, 소형화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접점 스프링을 부품 상태로 구부려 두고, 그 초기의 벤딩(bending) 형상에 의하여 탄성 가압력을 얻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60-92192 호). 이런 종류의 접점 스프링의 경우에는 부품 관리상 벤딩에 대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만, 벤딩 각도가 직각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벤딩 각도를 얻는 것이 어려워서 벤딩 각도의 변화로 초기의 탄성 가압력이 달라지게 되며, 그 결과 안정된 일정 품질의 접점 스프링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일정 품질의 접점 스프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비용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미리 부품의 상태에서 구부리지 않고, 더구나 하부판에 고정(회로 기판을 통하여 하부판에 고정하는 것도 포함한다)하여 이들의 고정 부재로부터의 누름 부재에 의하여 억압 가압한다. 즉 상부판으로부터의 것이 아니고 억압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의 기준 접점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시계의 하부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고 또한 기준 캠 기구의 동작에 연속 동작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가능하게 탄성 변형하는 접점 스프링을 구비한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점 스프링은 상기 하부판에 장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비고정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를 경계로 하여 한쪽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 접점에 대치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접점 부재 및 다른쪽에 설치되는 연장 설치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하부판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로 상기 연장 설치 부재를 억압 및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점 스프링의 접점 부재를 상기 고정 접점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하도록 구성한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이다.
즉, 본 고안의 기준 접점 기구는 접점 스프링은 고정부에 의하여 하부판에 장치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비고정 분기부가, 해당 분기부를 경계로 하여 설치된 한쪽의 접점 부재와 다른쪽에 설치된 연장 설치 부재의 회전 운동 지점이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 설치 부재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억압 가압됨으로써 상기 접점 스프링의 접점 부재는 상기 분기구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 접점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점 스프링은 하부판에 장치되는 동시에, 억압 부재인 돌출부도 상부판이 아닌 하부판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사이에 톱니 바퀴등의 장애물이 없으며 접점 스프링을 중부판이나 톱니바퀴의 아래에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상의 자유도가 커지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점 스프링은 평판 상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상 높은 부품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으며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접점압의 격차도 없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의 구체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준 접점 기구를 내장한 시계의 하부판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또한 제3도는 제1도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준 접점 기구는 시계의 하부판(1)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2)과, 상기 하부판(1)에 고정되는 접점 스프링(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 스프링(10)은 도시 생략한 기준 캠 기구의 동작에 연속 동작하여 고정 접점(2)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탄성 변형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판은 하부판(1) 및 접점 스프링(10)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접점 스프링(1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도전성을 가지는, 예컨대, 얇은 강철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점 스프링의 한 단부에는 하부판(1)에 장치되는 고정부(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로부터 연장한 부위에는 분기부(12)가 설치된다. 상기 분기부(12)는 비고정 부위이며, 접점 스프링 본래의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기부(12)를 경계로 하여 한쪽에는 상기 고정 접점(2)에 대치되는 접점부(14)를 가지는 접점 부재(13)를, 또한 다른쪽에는 연장 설치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점 부재(13)는 선단측에 상술한 접점부(14)를 2조의 평행 돌출편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점부(14)와 상기 분기부(12)와의 사이에 지침 파이프(3)를 끼워서 통하기 위한 링형부(1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기준 캠 기구의 유동 캠(도시 생략) 즉, 기준 설정 시각에 접점 스프링(10)을 억압 및 가압하는 캠 부재는 상기 지침 파이프(3)와 동축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 설치 부재(16)는 접점 스프링(10)의 고정부(11)로부터 분기부(12)에 이르는 부재의 중앙 부분을 프레스 성형시에 돌출편형으로 설치하고, 해당 분기부(12)측이 연달아 접촉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판(1)에는 상기 연장 설치 부재(16)를 상부판 방향으로 억압 가압하는 돌출부(4)를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돌출부(4)는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접점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점 스프링(10)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 접점 스프링(10)은 고정부(11)가 하부판(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11)로부터 연장한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분기부(12)는 그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된다. 한편, 하부판(1)의 돌출부(4)로 접점 스프링(10)의 돌출편형의 연장 설치 부재(16)를 억압 가압하고 있으므로, 분기부(12)를 지점으로 하여 접점 부재(13)는 고정 접점(2)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되게 된다. 또한 분기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의 작용을 받아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되지만, 고정부(11)와는 달리 비고정 부위이므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그 결과 해당 분기부(12)가 회전 운동 지점이 되어 연장 설치 부재(16)의 탄성 변형을 상기 분기부(12)로 차단하지 않고 상기 접점 부재(13)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 설치 부재(16)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에 의하여 억압 가압됨으로써, 접점 스프링(10)의 접점 부재(13)는 상기 분기부(12)를 지점으로 하여 고정 접점(2)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되게 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접점 스프링(1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부(11)를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연장 설치 부재(16)의 반대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접점 스프링(10)은 탄성 변형가능하고 도전성을 가지는 얇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고, 하부판(1)에 장치되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로부터 연장된 부위에 형성한 비고정 분기부(12)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분기부(12)를 경계로 하여 한쪽에는 상기 고정 접점(2)에 대치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접점 부재(13)를, 또한 다른쪽에는 연장 설치 부재(16)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하부판의 돌출부(4)로 접점 스프링(10)의 돌출편형의 연장 설치 부재(16)를 억압 가압하고 있으므로, 접점 부재(13)는 분기부(12)를 지점으로 하여 고정 접점(2)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접점 스프링의 고정부를 분기부의 양측 혹은 한쪽면에 설치하거나 또한, 회전 운동 지점이 되는 분기부를 축형으로 형성하는 등 적당한 형상으로 전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접점 스프링은 고정부에 의하여 하부판에 장치되고, 또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하여 설치된 비고정 분기부가 해당 분기부를 경계로 하여 설치된 한쪽의 접점 부재 및 다른쪽에 설치된 연장 설치 부재의 회전 운동 지점이 되므로, 상기 연장 설치 부재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억압 및 가압됨으로써, 상기 분기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접점 스프링의 접점 부재는 고정 접점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접점 스프링은 하부판에 장치되는 동시에, 억압 부재인 돌출부도 상부판이 아닌 하부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톱니 바퀴등의 장애물이 없고, 접점 스프링을 중부판이나 톱니 바퀴의 아래에도 배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설계상의 자유도가 커지고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접점 스프링은 평판상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상 높은 부품 정밀도가 요구되는 일이 없고,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접점압의 격차도 없어지게 된다.

Claims (1)

  1. 시계의 하부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하부판에 고정되며 기준 캠 기구의 동작에 연속 동작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가능하게 탄성 변형하는 접점 스프링을 구비한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점 스프링은 상기 하부판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비고정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를 경계로 하여 한쪽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 접점에 대치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접점 부재 및 다른쪽에 설치되는 연장 설치 부재를 구비하고, 또, 상기 하부판은 상부판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로 상기 연장 설치 부재를 억압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점 스프링의 접점 부재를 상기 고정 접점의 방향으로 굴곡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KR2019960007809U 1995-12-21 1996-04-12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KR01280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33122A JP3032147B2 (ja) 1995-12-21 1995-12-21 時計の目安接点機構
JP95-333122 199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439U KR970045439U (ko) 1997-07-31
KR0128003Y1 true KR0128003Y1 (ko) 1999-03-20

Family

ID=1826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809U KR0128003Y1 (ko) 1995-12-21 1996-04-12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32147B2 (ko)
KR (1) KR01280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0299B1 (en) 2009-08-28 2016-02-0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Universal industrial analog input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71087A (ja) 1997-06-30
KR970045439U (ko) 1997-07-31
JP3032147B2 (ja) 200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7301A1 (en)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US6371671B1 (en)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US20030168328A1 (en)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keyboard
KR100495445B1 (ko) 프린트배선회로상의전기스위치장치와이장치를포함하는시계
CN100370563C (zh) 带有速动功能的控制装置以及装有该装置的手表
KR0128003Y1 (ko)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KR920010443B1 (ko) 클릭부착 키이보오드 스위치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4117660A (en) Casing ring for watch movement
JP3551587B2 (ja) 押しボタン装置
JP2007323971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機構
JP2006085946A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CN220752535U (zh) 可穿戴电子设备
KR0126454Y1 (ko) 시소노브장치
JP3114173B2 (ja) 操作装置
KR0128004Y1 (ko)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KR20010050686A (ko)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KR860003519Y1 (ko) 자명시계의 자명저지 스위치장치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0011800A (ja) 押しボタン装置
JP2846526B2 (ja) 押釦スイッチ
JPH075270A (ja) スイッチ戻しばねの位置決め構造
JP2953492B2 (ja) 操作レバー構造
JP3612680B2 (ja) 目覚し時計の接点機構
JP2645594B2 (ja) 押ボタ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