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04Y1 -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04Y1
KR0128004Y1 KR2019960007811U KR19960007811U KR0128004Y1 KR 0128004 Y1 KR0128004 Y1 KR 0128004Y1 KR 2019960007811 U KR2019960007811 U KR 2019960007811U KR 19960007811 U KR19960007811 U KR 19960007811U KR 0128004 Y1 KR0128004 Y1 KR 0128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atch case
projections
operator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147U (ko
Inventor
도시카즈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오츠 마나부
리듬 도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 마나부, 리듬 도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 마나부
Publication of KR970050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스위치 조작자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돌기를 돌출시켜 설치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를 얻는 것이다.
시계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용(係合用) 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의 돌기에 스위치를 걸어맞추어 상기 스위치를 활주 가능하게 시계 케이스에 장착하는 형식의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시계 케이스 (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스위치(40A,40B)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40A)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所定數)의 돌기(32a,32b,32c,32e,32f)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스위치(40B)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의 돌기(32a,32b,32d)를 구비하고, 상기 쌍방의 소정수의 돌기 중 1개 또는 복수의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구조로 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이다.

Description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이다.
제2도는 시계 케이스에 푸시 앤드 푸시형(Push Push)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이다.
제3도는 시계 케이스에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조작자를 장착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측면도이다.
제4도는 시계 케이스에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조작자를 장착한 억압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이다.
제5도는 시계 케이스에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한 억압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측면도이다.
제6도는 시계 케이스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이다.
제7도는 시계 케이스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측면도이다.
제8도는 시계 케이스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한 억압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이다.
제9도는 시계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조작 지렛대와 스위치 조작자의 테이퍼형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은 걸어맞추지 않았을 때이며 (b)는 걸어맞추었을 때의 도면이다.
제10도는 시계 케이스에 돌출하여 설치된 스위치 조작자 걸어맞춤용(係合用) 돌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a)은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시계 케이스 30 : 조작 지렛대
31 : 선단부 32, 36, 37, 38 : 돌기
32a : 제 1 돌기 32b : 제 2 돌기
32c : 제 3 돌기 32d : 제 4 돌기
32e : 제 5 돌기 32f : 제6돌기
33 : 돌출편 34 : 하트형 캠
35 : 유지용 돌출부 40, 40A, 40B : 스위치 조작자
41 : 테이퍼형 돌출부 42, 43 : 아암
43a : 선단 팽출부(膨出部) 43b : 돌출부
본 고안은 시계 케이스에 설치되는 스위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명종등의 울림 멈춤스위치나 스누즈(snoose)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계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용(係合用) 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돌기에 스위치를 걸어맞추고, 상기 스위치를 활주 가능하게 시계 케이스에 장착하는 형식으로 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명종의 기준 기구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시계 윤열(輪列) 동작과 연속 동작하는 캠 동작에 의하여 기준 동작 개시시를 제어하는 기준 캠 기구와, 기준 동작의 세트 및 비세트 그리고 울림 멈춤을 제어하는 울림 멈춤스위치 장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울림 멈춤스위치 장착의 조작 지렛대는 그 선단부가 시계 케이스의 외부에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조작 지렛대의 선단부를 시계 케이스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스위치 조작자에 의하여 출몰(出沒)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on-off)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스위치 조작자와 조작 지렛대의 걸어맞춤(係合)은, 일예로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한 조작 지렛대(30)의 선단부(31)가 리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스위치 조작자(40)의 테이퍼형 돌출부(41)가 걸어맞추어 조작 지렛대(30)의 선단부(31)가 도면의 상부로 끌어올려지고(제9도의 (b) 참조). 또한, 스위치 조작자(40)가 반대방향으로 활주하여 테이퍼형 돌출부(41)가 조작 지렛대(30)의 선단부(31)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조작 지렛대(30)는 도시생략한 탄성체에 의하여 매몰(埋沒)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으므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제9도의 (a) 참조). 이렇게 하여, 스위치 조작자(40)의 활주에 의하여 조작 지렛대(30)가 출몰하여 스위치가 온-오프된다.
또한, 스위치 조작자는 시계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로 설치된 걸어맞춤용 돌기에 걸어맞춰져 스위치가 활주 가능하게 시계 케이스에 장착된다. 일예로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케이스에 돌출하여 설치된 돌기(32)에 상단부에 돌기(32)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돌출편(3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조작자는 상기 돌출편(33)에 규제되어 시계 케이스에 유지된다. 또한, 돌기(32) 그 자체, 즉 돌기 본체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의 활주를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다.
전술한 시계 케이스에 대한 스위치 조작자의 장착, 즉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위치 조작자를 시계 케이스에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 조작자의 형상이 다르면 다른 돌기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스위치 조작자의 형상에 따라 상기 시계 케이스에 정해져 있는 스위치를 정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치는 시계 케이스마다 정해져 있어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시계 케이스에 다른 형상의 스위치 조작자를 장착할 수 있으면 부재의 공용화와 상품 전개의 범용화 및 다각화가 이루어져서 편리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즉, 이런 종류의 스위치 장착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기준 기구의 하나의 조작 지렛대를 하나의 스위치 조작자로 출몰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 조작자를 다른 형상의 것으로 변경했을 때에 스위치 조작자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의 형상에 따른 배치를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최소한도의 돌기를 돌출 설치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를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시계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용 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돌기에 스위치를 걸어맞추어 상기 스위치를 활주 가능하게 시계 케이스에 장착하는 형식으로 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계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所定數)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스위치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쌍방의 소정수의 돌기 중 1개 또는 복수의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구조로 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이다.
전술한 구조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수만큼의 돌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하여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만큼 돌기수를 적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계 케이스에 복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한도의 돌기를 돌출시켜 설치할 수 있어서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시계 케이스에 관한 배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시계 케이스(1)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조작자 걸어맞춤용인 제1로부터 제6돌기(32a,32b,32c,32d,32e,32f)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돌기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는 돌기(32)로 기록한다. 이들 돌기(32)는 상기 제10도의 돌기(32)와 동일한 것으로, 각 돌기(32)의 상단부에는 돌기(3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돌출편(3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시계 케이스(1)의 도면중, 좌측에는 울림 멈춤 스위치 장착(도시생략)의 조작 지렛대(30)가 위치하고 있고, 중앙부에는 하트형 캠(34)이 또한, 상기 하트형 캠(34)의 왼쪽에는 후술하는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도시생략)의 일단을 걸리게 하는 유지용 돌출부(3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32a,32b,32c)는 돌출편(33)이 제1도의 상부 방향(조작 지렛대(30), 하트형 캠(34), 유지용 돌출부(35)의 방향)을 향하고, 돌기(32d,32e,32f)는 그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제1도에는 후술하는 제1스위치 조작자가 활주할 때의 규제용 돌기(36)와 후술하는 제2스위치 조작자가 활주할 때의 규제용 돌기(37)를 도시하였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시계 케이스(1)는 전술한 조작 지렛대(30), 돌기(32) 외에도 소정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에 필요한 것만 기재하고, 그외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2도는 시계 케이스(1)에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40A)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위치 조작자(40A)는 그 억압부가 시계 케이스(1)의 측방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자이고, 상기 시계 케이스(1)의 상기 돌기(32) 중 한쪽이 제1,3돌기(32a,c)와 걸어맞춰지고, 반대쪽이 제5,6돌기(32e,f)와 걸어맞춰져 좌우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스위치 조작자(40A)에 일체로 형성된 아암(42)의 선단이 제2돌기(32b)와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자(40A)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자(40A)와 울림 멈춤 스위치 장착의 조작 지렛대(30)와의 관계는 상기 제9(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지렛대(30)는 스위치 조작자(40A)의 테이퍼형 돌출부(41)와는 떨어져 있으므로, 해당 조작 지렛대(30)는 초기 위치에 있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40A)가 억압되어 도면의 우측으로 활주하면, 상기 규제용 돌기(36)에 접촉하여 스위치 조작자(40A)의 활주가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자(40A)와 울림 멈춤 스위치 장착의 조작 지렛대(30)와의 관계는 상기 제9(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40A)의 테이퍼형 돌출부(41)가 걸어맞추어져서 조작 지렛대(30)의 선단부(31)가 도면의 상부로 끌어올려진다. 이 때, 스위치 조작자(40A)는 상기 하트형 캠(34)에 규제되어 해당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스위치 조작자(40A)를 누르면, 하트형 캠(34)의 규제가 해제되어 도시생략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40A)는 도면의 좌측으로 활주하고, 상기 아암(42)의 선단이 제2돌기(32b)와 접촉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 조작 지렛대(30)는 도시생략한 탄성체에 의하여 매몰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으므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아암(42)은 탄성 변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스위치 조작자(40A)를 시계 케이스(1)에 장착할 때에 스위치 조작자(40A)의 측부를 제1돌기(32a), 제3돌기(32c), 제5돌기(32e) 및 제6돌기(32f)에 걸어맞추면, 아암(42)은 제2돌기(32b)의 상단에 접촉하여 탄성 변형하므로 스위치 조작자(40A)의 장착은 용이하게 된다.
제6도는 시계 케이스(1)의 배면에 활주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40B)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7도는 제6도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위치 조작자(40B)는 그 억압부가 시계 케이스(1)의 배면에 장착된다. 즉, 측방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조작자로서, 시계 케이스(1)의 상기 돌기(32) 중 한쪽이 제1돌기(32a) 및 제2돌기(32b)와 걸어맞춰지고, 반대쪽이 제4돌기(32d)와 걸어맞춰져 좌우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스위치 조작자(40B)에 일체 형성된 아암(43)의 선단 팽출부(43a)가 활주시에 제1돌기(32a)와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자(40B)에 클릭감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 케이스(1)에 별도로 돌기(38)를 설치하여 스위치 조작자(40B)의 활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고 있다.
스위치 조작자(40B)의 상기 아암(43)에는 조작자 본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3b)가 형성되어 있고, 제6도에 도시한 스위치 조작자(40B)의 초기위치에 있어서, 돌출부(43b)는 시계 케이스(1)의 상기 규제용 돌기(37)와 접촉하여 스위치 조작자(40B)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자(40B)와 울림 멈춤 스위치 장착의 조작 지렛대(30)와의 관계는 상기 제9(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지렛대(30)는 스위치 조작자(40B)의 테이퍼형 돌출부(41)와 떨어져 있으므로 해당 조작 지렛대(30)는 초기 위치에 있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40B)가 억압되어 도면의 우측으로 활주하면, 아암(43)의 돌출부(43b)는 상기 제2돌기(32b)에 접촉하여 스위치 조작자(40B)의 활주가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자(40B)와 울림 멈춤 스위치 장착의 조작 지렛대(30)와의 관계는 상기 제9(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40B)의 테이퍼형 돌출부(41)가 걸어맞춰져 조작 지렛대(30)의 선단부(31)가 도면의 상부로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이 상태로 스위치 조작자(40B)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억압하면, 상기 돌출부(43b)가 돌기(37)와 접촉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 조작 지렛대(30)는, 상기 스위치 조작자(40A)의 경우와 같이, 도시생략한 탄성체에 의하여 매몰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으므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푸시 앤드 푸시형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40A)와, 활주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자(40B)를 택일적으로 장착하는 본 실시예의 경우는 쌍방의 스위치 조작자는 동일 방향으로 활주하는 동시에, 시계 케이스(1)의 제1돌기로부터 제6돌기(32a,32b,32c,32e,32f) 중, 스위치 조작자(40A)는 돌기(32d) 이외의 돌기(32a, 32b,32c,32e,3
2f)를 이용하고, 또한, 스위치 조작자(40B)는 돌기(3a,32b,32d)를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돌기(32a,32b)가 쌍방의 조작자에 공용되게 된다. 또한, 이들 공용되어 있는 돌기는 쌍방의 조작자의 활주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즉 조건이 동일하므로 해당 공용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착 구조는 돌기가 공용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스위치 수만큼의 돌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하여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만큼 돌기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 케이스에 복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한도의 돌기를 돌출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스위치 조작자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이상의 스위치 조작자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스위치 장착 구조에 이용되는 돌기가 공용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스위치 수만큼의 돌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하여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만큼 돌기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 케이스에 복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한도의 돌기를 돌출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시계 케이스의 외측면에 복수의 걸어맞춤용(係合用) 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의 돌기에 스위치를 걸어맞추어 상기 스위치를 활주 가능하게 시계 케이스에 장착하는 형식으로 된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계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所定數)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스위치에 걸어맞춰지는 소정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쌍방의 소정수의 돌기 중 1개 또는 복수의 돌기가 공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동일 방향으로 활주하는 동시에 상기 공용되어 있는 돌기는 해당 활주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착 구조.
KR2019960007811U 1996-01-31 1996-04-12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KR01280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496896A JP3286144B2 (ja) 1996-01-31 1996-01-31 時計のスイッチ取付け方法
JP96-14968 1996-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147U KR970050147U (ko) 1997-08-12
KR0128004Y1 true KR0128004Y1 (ko) 1999-03-20

Family

ID=1187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811U KR0128004Y1 (ko) 1996-01-31 1996-04-12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86144B2 (ko)
KR (1) KR01280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2529B (zh) * 2009-01-26 2014-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11153A (ja) 1997-08-15
JP3286144B2 (ja) 2002-05-27
KR970050147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75855B2 (en) Control device
KR900002951B1 (ko) 푸시버튼장치
US4816630A (en) Push-button switch with plunger and switch mechanism
US7119297B2 (en) Push button
KR0128004Y1 (ko) 시계의 스위치 장착 구조
US5566819A (en) Push button switch with over center bridge
US6198697B1 (en) Watch case fitted with control means
JP2006134659A (ja) 押し釦装置
JP3201700B2 (ja) スイッチ
JPH05159662A (ja) 押しボタン構造
JP3193948B2 (ja) 時計のスイッチ取付け構造
US6759615B2 (en) Switch device
KR0139919Y1 (ko) 캠코더 스위치 절환 장치
KR0128003Y1 (ko) 시계의 기준 접점 기구
JPH0731960B2 (ja) 押釦装置
JP2552894Y2 (ja) 押釦スイッチ
KR940007965Y1 (ko) 카스테레오의 푸시놉 장치
JP4236912B2 (ja) スライド制御スイッチを備えた時計
KR930003868Y1 (ko) 노브의 설치구조
JP2005071796A (ja) スイッチ装置
JPH0525625U (ja) 電子機器用プツシユボタン装置
KR19990019097U (ko) 모니터의 기능버튼 체결구조
JPS643234Y2 (ko)
KR19990025603U (ko) 카오디오의 버튼 편심 방지 구조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