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11Y1 -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11Y1
KR0127911Y1 KR2019950005816U KR19950005816U KR0127911Y1 KR 0127911 Y1 KR0127911 Y1 KR 0127911Y1 KR 2019950005816 U KR2019950005816 U KR 2019950005816U KR 19950005816 U KR19950005816 U KR 19950005816U KR 0127911 Y1 KR0127911 Y1 KR 012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er
horizontal reference
gap adjusting
wal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697U (ko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2019950005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911Y1/ko
Publication of KR960031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수평기준대에 관한 것으로, 양쪽에 보강판(2)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폭방향으로 다수 개의 보울트구멍(3)이 형성된 각재(4)와, 이 각재(4)의 양쪽에 각각 밀착되어 각재(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간격조절부재(5)와, 이 각재(4)를 바닥면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재(6), 상기 보울트 구멍(3)을 관통하여 간격조절부재(5)와 지지부재(6)를 결합시켜주는 체결보울트(7)와 체결너트(8)로 구성된 것으로, 조립 및 해체시 작업공정수가 단축되고, 또 강도가 보강되어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원자재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준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준대의 결합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준대를 벽체거푸집판넬과 결합하기전 상태의 전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준대를 벽체거푸집판넬과 결합하여 바닥면에 설치한 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수평기준대를 바닥면위에 설치하여 벽체거푸집판넬을 설치한 상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기준대 2 : 보강판
3 : 보울트구멍 4,18 : 각재
5 : 간격조절부재 6 : 지지부재
7 : 체결보울트 8 : 체결너트
9 : 삽입돌기 10 : 간격조절용 절개홈
11 : 장공 12 : 고정구멍
13,24 : 바닥면(건축물) 14,20 : 수평조절부재
15,25 : 거푸집 패널 16,16a : 못
17 : 보강재 19 : 고정부재
21,22,23 : 못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바닥면에 벽체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바닥면에 배치하는 거푸집용 수평기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내부에 박혀 해체시에 망가지기 쉬운 합판을 강도가 센 철판으로 대체하여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여 원자재 비용이 절감되고, 보울트로 체결하여 설치하므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한 거푸집용 수평기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평기준대는 건설분야에서 통상 메모드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아파트 또는 기타 건물의 현장에서 바닥면에 층층을 쌓기 위해 기둥 또는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기전 상기 바닥면에 일정한 벽체형틀로 먼저 설치하여 바닥면의 수평을 균일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푸집용 수평기준대는 종래에는 주로 목재인 합판을 사용했는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기준대를 건축물의 바닥면(24)에 벽체형틀에 맞게 설치한 다음 이 수평기준대가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좌·우 횡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기준대의 안쪽 측벽에는 목재로 된 두꺼운 보강재(17)를 못(21)을 박아 결합시키거나 또는 바깥쪽 측벽에 상기 보강재(17)를 밀착시킨 다음 별도의 고종부재(19)를 그 보강재(17)측벽에 대고, 이어 못(22)으로 상기 고정부재(19)를 그 보강재(17)측벽에 대고, 이어 못(22)으로 상기 고정부재(19)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므로써 수평기준대가 콘크리트설시에 외부로 밀려나지 않도록 고정설치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두꺼운 보강재(12)를 이용한 수평기준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는데, 보강재(17)를 벽체측과 대응하는 각재(18)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결합시켜 설치하는 경우에 따른 문제점들을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첫째, 보강재(17)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각재(18)의 안쪽측벽에 결합시키는 경우, 각재(18)가 콘크리트모르타르의 좌·우횡력에 바깥쪽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자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재(17)를 약간 두꺼운 것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타설후에는 그만큼 벽체의 하부쪽 두께, 즉 그 단면적이 상부쪽 벽체의 단면적보다 상기 보강재(17)의 두께만큼 작아지게 되므로 벽체의 강도가 약해져 부실 공사의 우려가 있었다.
둘째, 또한 보강재(17)를 각재(18)의 바깥쪽측벽에 대어 설치하는 경우, 이 보강재(17)에 별도의 고정부재(19)를 대어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는 콘크리트타설시에 벽체의 상·하부 두께가 균일해지는 반면에 계속적인 콘크리트타설로 인한 좌·우횡력을 견디지 못해 각재가 자칫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벽체 전체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별도의 고정부재(19)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공정수가 증가되는 한편 거푸집판넬(25)의 해체시에는 일일이 고정부재(19)를 해체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해체작업시간이 늘어나며, 그에 따른 해체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수평기준대가 바닥면(24)에 설치되면, 각재(18)의 상면에 벽체형틀에 맞도록 거푸집판넬(25)을 댄 다음 이들을 못(23)으로 바닥면에 고정시키는데, 이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거푸집판넬(25)을 해체하는 경우에 못(23)이 상기 각재(18)를 완전관통하여 바닥면에 박혀있기 때문에 이 못(23)들을 빼더라도 각재(18)의 상면에는 못자국이 남게되고, 이 각재(18)는 목재로 되어 있어, 파손되기 쉬운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고정부재(19) 또한 각재(18)와 마찬가지로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렵게 되므로 그만큼 원자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렇게 종래의 수평기준대가 안고 있었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재로 된 보강판과 간격조절부재 등을 사용하여 보울트결합을 하므로써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작업공정수를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여 원자재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수평기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재 양쪽에 철재로 된 보강판을 결합하여 각재의 강도를 보강시키고, 벽체쪽인 각재의 안쪽측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간격조절용 절개홈이 형성된 간격조절부재를 대며, 이어 다른 반대쪽에는 지지부재를 대어 이 지지재와 함께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각재에 체결보울트를 관통삽입하여 체결너트로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못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력과 함께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벽체용 거푸집 패널(15)을 설치하기 위해 고정설치하는 거푸집용 수평기준대(1)로서, 양쪽 벽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철재로 된 보강판(2)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폭방향으로 양쪽에 결합된 보강판(2)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보울트구멍(3)이 형성된 각재(4)와, 이 각재(4)의 양족에 각각 밀착되어 각재(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바닥면의 수평을 조절해주는 간격조절부재(5)와 상기 각재(4)를 건축물의 바닥면(13)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부재(6), 그리고 상기 보울트구멍(3)를 관통하여 간격 조절부재(5)와 지지부재(6)를 결합시켜 주는 체결보울트(7)와 체결너트(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재(4)의 양쪽에 결합된 보강판(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결합돌기(9)가 절개형성되어 이 결합돌기(9)는 보강판(2)의 한쪽면에 대해 직각되게 절곡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각재(4)에 삽입되어 박히므로써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5)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이 형성되어 이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이 체결보울트(7)의 몸체상에서 수직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각재(4)를 상·하로 이동시켜 건축물의 바닥면(13)의 수평을 조절해 주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6)의 수직부에도 상기 간격조절용절개홈(10)과 함께 각재(4)의 상·하높이를 조절하여 바닥면의 수평을 조절해 주도록 세로방향으로 장공(11)이 형성되며, 수평부인 하단면에는 못(16)이 관통삽입되어 건축물의 바닥면(13)에 각재(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12)이 형성되어 있 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인 수평기준대(1)를 벽체거푸집판넬(15)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건축물의 바닥면(13)에 설치하는 경우에, 각재(4)의 양쪽에 간격조절부재(5)와 지지부재(6)를 대고, 이어 체결보울트(7)를 상기 간격조절부재(5)의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을 통해 상기 각재(4)와 지지부재(6)에 관통삽입시킨 다음 체결너트(8)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평기준대(1)의 1차조립이 끝나게 되면, 이 수평기준대(1)를 건축물의 바닥면(13)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바닥면(13)의 수평도를 감안하여 바닥면(13)에 다수 개의 수평조절부재(14)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수평기준대(1)를 얹고, 이어 지지부재(6)의 하단면에 마련된 고정구멍(12)으로는 못(16)을 박아 건축물의 바닥면(13)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수평기준대(1)를 구성하는 각재(4)의 상단면에 벽체거푸집판넬(15)을 댄 다음 그 하단면에 못(16a)을 박아 각재(4)와 서로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평기준대(1)와 벽체거푸집판넬(15)이 벽체 형틀에 맞게 설치된 상태에서 이 벽체거푸집판넬(15)안으로 콘크리트모르타르를 충진시키게 되는데, 이때 간격조절부재(5)와 지지부재(6)는 강도가 센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면서 이들과 함께 각재(4)는 체결보울트(7)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어, 상기 콘크리트모르타르에 의한 좌·우횡력에 충분히 견디게 되고, 또 각재(4)를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재(6)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가 일일이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져 각재를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하단부가 바닥면(13)에 접촉된 상태에서 못(16)만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13)에 직접고정설치할 수가 있어 작업공정수가 줄어듦으로 작업시간이 훨씬 단축된다.
일반적으로 건출물 시공시에 바닥면(13)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바닥면(13)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벽체시공시에 정밀성을 추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간격조절부재(5)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을 통해 바닥표면의 수평도에 따라 벽체거푸집판넬(15)의 수평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8)를 약간 풀어 간격조절부재(5)와 각재(4)에 결합된 보강판(2)사이에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간격조절부재(5)를 그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이 체결보울트(7)몸체상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바닥면(13)의 수평을 조절한 다음 다시 체결너트(8)를 본래대로 조이므로서 완전한 바닥면(13)의 수평을 이루게 된다.
한편 간격조절부재(5)는 콘크리트모르타르의 좌·우횡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가장 많은 바,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간격조절부재(5)에는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이 형성되어 있어 간격조절부재(5)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간격조절용 절개홈(10)이 체결보울트(7)상에서 이탈이 가능하므로 간격조절부재(5)를 쉽게 교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재(4)의 안쪽에, 종래와 같이 두꺼운 목재로 된 보강재(17)를 사용하지 않고, 강도가 세면서 두께가 얇은 금속재인 간격조절부재(5)를 대어 벽체의 상·하부쪽 단면적을 최대한 동일하게 하므로서 벽체의 압축강도가 향상되어진다.
한편 콘크리트타설후 벽체시공이 끝나게 되면 거푸집판넬(15)과 수평기준대(1)를 해체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먼저 벽체거푸집판넬(15)과 각재(4)에 박혀있는 못(16a)을 뺀 다음 거푸집판넬(15)를 떼어내고, 이어 지지부재(6)와 바닥면(13)에 박혀있는 못(16)을 해체시키면 벽체거푸집판넬(15)과 수평기준대(1)가 쉽게 해체되게 된다.
또 수평기준대(1)를 이루는 간격조절부재(5)와 각재(4) 및 지지부재(6)는 체결7)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완전히 해체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다시 재사용시에는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해체 및 조립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또 보강판(2)와 간격조절부재(5) 및 지지부재(6)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그만큼 수평기준대(1)의 강도가 세게 보강되므로서 여러번 재사용하더라도 파손되는 일이 많지 않으므로 원자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벽체 내부에 박혀 해체시에 망가지기 쉬운 합판보강재를 두께가 얇은 금속재로 된 간격조절부재(5)로 대체하여 강도를 보강하므로써 여러번 재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원자재비용이 절감되고, 또 건축물 바닥면(13)의 수평도를 감안하여 수평기준대(1)의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벽체시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작업시 작업공정수가 줄어들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양쪽에 보강판(2)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폭방향으로 다수 개의 보울트구멍(3)이 형성된 각재(4)와, 이 각재(4)의 양쪽에 각각 밀착되어 각재(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주는 간격조절부재(5)와 이 각재(4)를 바닥면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재(6), 상기 보울트 구멍(3)을 관통하여 상기 간격조절부재(5)와 지지부재(6)를 결합시켜주는 체결보울트(7)와 체결너트(8)로 이루어진 구조의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2. 상기 체결보울트(7)몸체상에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각재(4)의 상·하높이를 조절해 주는 상기 간격조절부재(5)에는 교체가 용이하게 간격조절용 절해홈(10)이 형성되고, 지지부재(6)의 수직부 및 수평부에는 장공(11)과 고정구멍(1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KR2019950005816U 1995-03-28 1995-03-28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KR012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816U KR0127911Y1 (ko) 1995-03-28 1995-03-28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816U KR0127911Y1 (ko) 1995-03-28 1995-03-28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97U KR960031697U (ko) 1996-10-24
KR0127911Y1 true KR0127911Y1 (ko) 1998-11-02

Family

ID=1941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816U KR0127911Y1 (ko) 1995-03-28 1995-03-28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9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90B1 (ko) * 2001-03-26 2004-03-10 박웅준 거푸집 고정대
KR100485262B1 (ko) * 2001-10-23 2005-04-27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KR102516906B1 (ko) * 2022-07-04 2023-04-04 주식회사 테솔루션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97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344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ound slab field and a ground slab field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0127911Y1 (ko)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JPH094166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JP3299596B2 (ja) 大型プレキャスト板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の施工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JP3878945B2 (ja) コンクリート造柱又は柱脚基礎コンクリートの天端面にプレートを設置する工法
KR200193188Y1 (ko) 가설구조용 빔 받침대
KR200317314Y1 (ko)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JP3848873B2 (ja) 建物の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型枠
KR20100057991A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JPH0893266A (ja) 耐震用スリット材
KR200285325Y1 (ko) 토목 기초공사용 거푸집
KR20020005146A (ko) 패널 보강구조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200364216Y1 (ko) 건축물 기둥 거푸집 코너 구조
JPH06129102A (ja) 柱型枠
JPH05230837A (ja) コンクリート捨型枠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