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314Y1 -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314Y1
KR200317314Y1 KR20-2003-0008043U KR20030008043U KR200317314Y1 KR 200317314 Y1 KR200317314 Y1 KR 200317314Y1 KR 20030008043 U KR20030008043 U KR 20030008043U KR 200317314 Y1 KR200317314 Y1 KR 200317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ormwork
pair
vertical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학
Original Assignee
이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학 filed Critical 이정학
Priority to KR20-2003-0008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의 성형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거푸집이 터져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의 고정목(3)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평부재(4)와; 그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보거푸집(2)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재(5)와; 상기 수평부재(4)로부터 상기 수직부재(5)까지 일체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5)를 보강하는 버팀부재(6)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재(5)는 폼타이(9)의 통과를 허용하는 폼타이 통로(52)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BRACKET FOR SUPPORTING BEAM-FORMS}
본 고안은 보거푸집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의성형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거푸집이 터져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시공시, 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보는 슬라브 구조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므로 거푸집을 통형상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시 인접하는 슬라브 구조에 비해 콘크리트량이 많아 집중을 하중을 받게되는데, 이러한 집중하중을 저면에서 받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지지기구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보거푸집의 저면만을 받쳐 지지하는 경우,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이 양측면으로 분산되게 되며, 이는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을 일으켜, 콘크리트가 원하지 않는 형태로 굳거나, 응고 중에,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가 터져나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대해, 폼타이로 거푸집의 양측 패널을 잡아 패널간 간격을 유지시키고, 거푸집의 측면을 띠장으로 가로 연결한 후, 그 띠장을 버팀대로 지지하는 공법이 보 성형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보 성형 공법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어 비경제이라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폼타이를 설치하는 공정과 띠장 및 버팀대를 설치하는 패널벽면 지지공정이 별도로 수행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이에 대해, 본 고안자는, 간단한 방식으로 폼타이 설치공정과 패널벽면 지지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보거푸집 지지 브라켓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폼타이의 통과를 허용하는 수직부재를 구비하고, 그 수직부재가 사각단면의 목재에 고정될 수 있는 수평부재에 수직으로 일체화되어, 거푸집의 패널을 지지한 상태로 폼타이가 설치되어질 수 있는 보거푸집 지지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거푸집 지지 브라켓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 지지 브라켓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4의 지지 브라켓이 보거푸집의 지지에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거푸집 지지 브라켓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거푸집 지지 브라켓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6 지지 브라켓이 보거푸집의 지지에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은, 하부의 고정목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평부재와; 그 수평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보거푸집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상기 수직부재까지 일체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보강하는 버팀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재는 폼타이의 통과를 허용하는 폼타이 통로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목은 사각단면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벽을 갖는 "ㄷ"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고정목 및 상기 수평부재는 각각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소정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서로 이격된 채,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폼타이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이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그 폼타이 통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부착벽을 구비하며, 그 부착벽에는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버팀부재의 약 측면이 부착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보강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자체 상단의 상단고정부재에 의해 위쪽에서 서로 부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벽에는 좌굴방지부재가 공통적으로 부착되어 좌굴을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보거푸집의 지지브라켓은, 하부의 고정목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평부재와; 그 수평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보거푸집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상기 수직부재까지 일체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보강하는 버팀부재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재에는 폼타이의 통과를 허용하는 폼타이 통로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수직부재는 수평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관형 강재이며, 상기 폼타이 통로는 상기 수직부재에 폼타이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미리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팀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지지 브라켓(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 지지브라켓(1)의 I-I를 따라취해진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지지브라켓(1)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보거푸집(2)의 측면지지에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1)은, 수평부재(4), 그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연장된 수직부재(5) 및 그 수직부재(5)를 보강하기 위한 버팀부재(6)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재(4)는, 상단의 평면 베이스부(42)와, 그 베이스부(42)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44)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형 단면을 가지며, 그 하단의 개방부분에 의해 사각단면을 갖는 도 4의 고정목(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목(3)에 삽입된 수평부재(4)는 양 측벽(44)에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체결구멍(44a)을 구비하여, 도 4에 도시된 볼트 등의 체결구(8)에 의해 상기 고정목(3)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지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목(3)의 양측면에도 상기 체결구(8)에 상응하는 구멍이 형성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수직부재(5)는 수평부재(4)의 베이스부(42)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C형 채널강재(5a, 5b; c. channel)이며, 그 채널강재들은 자체 상단에 부착된 판형의 상단고정부재(56)에 의해 보다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때, 그 채널강재(5a, 5b)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이격되어 형성된 폼타이통로(52)는 폼타이(9; 도 4 참조)가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여,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2)에 대한 폼타이(9)의 설치 및 이에 따른 거푸집 패널간의 간격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수평부재(4)의 베이스부(42)에 일단에 부착된 채 경사지게 이어진 버팀부재(6)는, 그 양측벽이 두 채널의 마주하는 면에 마련된 한 쌍의 부착벽(54)에 부착됨으로써, 수직부재(5), 즉 상기 한 쌍의 채널강재(5a, 5b)를 보강해 주게 된다.
특히, 보거푸집(2)에 대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폼타이(9)의 설치시,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은, 와셔부재(8; 도 1 및 도 2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됨)를 별도로 구비하여, 도 4에 도시된 폼타이(9)의 나비나사(9a)를 지지해주게 된다.
덧붙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은, 수직부재(5)의 폼타이 통로(52), 즉, 두 C형 채널강재(5a, 5b) 사이에서 상기의 한 쌍의 부착벽(54)에 공통적으로 부착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재(5)의 좌굴을 막아주는 좌굴방지부재(58)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 상기 좌굴방지부재(58)가 사각관 형태의 강재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은, 앞선 실시예와 달리, 자체의 수직부재(5)가, 한 쌍의 C형 채널강재가 아닌, 한 쌍의 사각관 강재임을 알 수 있고,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상태로, 도 6 지지 브라켓(1)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지지 브라켓(1)은, 앞선 실시예들과 같은 형태의 수평부재로(4)부터 하나의 사각관 강재로 이루어진 수직부재(5)가 수직 상향 연장되어 있다.
이 때, 그 수직부재(5), 즉, 사각관 강재(5)는 폼타이(9)가 통과되는 구멍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거푸집에 대한 폼타이(9)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브라켓(1)은, 앞선 실시예의 와셔부재(8)가 불필요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은, 폼타이 설치공정과 보거푸집을 측부에서 지지하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며, 사각단면을 갖는 고정목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은, 두 개의 이격된 수직부재를 구비한 경우, 폼타이를 통과하는 구멍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자재에 비해, 보다 넓은 접촉면적으로 가지고 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두개의 이격된 수직부재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 브라켓은, 수직부재에 동시에 부착되는 좌굴방지부재를 구비하여, 긴 수직부재에서 야기될 수 있는 좌굴의 염려를 제거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하부의 고정목(3)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평부재(4)와;
    그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보거푸집(2)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재(5)와;
    상기 수평부재(4)로부터 상기 수직부재(5)까지 일체형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5)를 보강하는 버팀부재(6)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수직부재(5)는 폼타이(9)의 통과를 허용하는 폼타이 통로(52)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목(3)은 사각단면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4)는 상기 수직부재(5)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2)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벽(44)을 갖는 "ㄷ" 형 단면의 부재이며,
    상기 고정목(3) 및 상기 수평부재(4)는 각각 체결구(8)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여, 소정의 체결구(8)에 의해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5)는, 상기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채 서로 이격되어 상기 폼타이 통로(5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이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5)는 그 폼타이 통로(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부착벽(54)을 구비하며,
    그 부착벽(54)에는 상기 수평부재(4)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버팀부재(6)의 약 측면이 부착되어, 상기 수직부재(5)를 보강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5)는 자체 상단의 상단고정부재(56)에 의해 위쪽에서 서로 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5)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벽(54)에는 좌굴방지부재(58)가 공통적으로 부착되어 좌굴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5)는 수평부재(4)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관형강재이며,
    상기 폼타이 통로(52)는 상기 수직부재(5)에 폼타이(9)가 관통할 수 있도록 미리 형성된 구멍이며,
    상기 버팀부재(6)는 상기 수직부재(5)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부재(5)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KR20-2003-0008043U 2003-03-18 2003-03-18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KR200317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043U KR200317314Y1 (ko) 2003-03-18 2003-03-18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043U KR200317314Y1 (ko) 2003-03-18 2003-03-18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314Y1 true KR200317314Y1 (ko) 2003-06-25

Family

ID=4940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043U KR200317314Y1 (ko) 2003-03-18 2003-03-18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3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68B1 (ko) * 2014-07-18 2017-09-12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건축물용 pc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모듈식 지지구조체 및 시공방법
KR20220102323A (ko) * 2021-01-13 2022-07-20 (주)하나 웨일러 고정용 스트롱 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68B1 (ko) * 2014-07-18 2017-09-12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건축물용 pc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모듈식 지지구조체 및 시공방법
KR20220102323A (ko) * 2021-01-13 2022-07-20 (주)하나 웨일러 고정용 스트롱 백
KR102508535B1 (ko) * 2021-01-13 2023-03-10 (주)하나 웨일러 고정용 스트롱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17B1 (ko)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317314Y1 (ko)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JP6577757B2 (ja) 型枠構造物
JPH10331436A (ja) 既存構築物における柱梁の耐震補強構造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296320B1 (ko) 조립성이 개선되고 오차 조정이 가능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JP3709275B2 (ja) 壁面構造物
KR101615270B1 (ko) 콘크리트 일체화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0583773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
KR0127911Y1 (ko)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KR101902868B1 (ko) 교량 거푸집 시스템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KR200271517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보강장치 및 그 서포트
JP3172783B2 (ja) 補強コンクリート巻き立て用型枠装置および補強コンクリート巻き立て工法
JP6577756B2 (ja) 型枠構造物
KR100825090B1 (ko) 대반력 지지가 가능한 가설벤트 구조체
JP3201980U (ja)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継用柵
KR200342782Y1 (ko)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100276864B1 (ko) 거푸집용 코너 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JPH11324174A (ja) 耐震壁の構造
JPH0916586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接合方法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200352520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