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72B1 -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72B1
KR0127672B1 KR1019890009637A KR890009637A KR0127672B1 KR 0127672 B1 KR0127672 B1 KR 0127672B1 KR 1019890009637 A KR1019890009637 A KR 1019890009637A KR 890009637 A KR890009637 A KR 890009637A KR 0127672 B1 KR0127672 B1 KR 012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composition
monom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810A (ko
Inventor
야스시 도요다
사부로 미시바
Original Assignee
기요까와 도시다까
스미또모다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58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82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682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2864B2/ja
Application filed by 기요까와 도시다까, 스미또모다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요까와 도시다까
Publication of KR90000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10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16Addition or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according to C08L59/00 - C08L61/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은 고무 및 섬유의 접착제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발명은 타이어, 벨트 및 호스같은 고무 제품에 함유된 고무 및 보강 섬유를 접착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나일론 섬유 보다 덜 신장되고 치수안정성에서 뛰어나므로, 래디알 타이어용 골격코드 같은 다양한 용도에서 고무 보강 섬유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내열성에서 열등하므로, 상기 섬유 고무 및 고무사이의 접착 강도는 고온에서의 가황 또는 고온에서의 열이력(thermal history)후 (내열성 접착 강도)크게 저하되며, 가황후 섬유 및 고무 사이의 접착강도(초기접착강도)는 열등하다. 그러므로, 상기 접착강도의 증진이 매우 소망되어 왔다.
고무 보강용 나일론 또는 레이온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보다 고무와의 접착시 활성이 더 크므로, 전술한 섬유는 부타디엔-스티렌-비닐피리딘 공중합체 라텍스 또는 상기 라텍스 및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라텍스의 혼합물, 및 래소르신-포르말린 수지(RF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RFL)로 고무에 접착되어 양호한 초기 접착강도 및 내열성 접착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RFL에서, 상기의 부타디엔-스티렌-비닐피리딘 공중합체 라텍스 또는 상기 라텍스 및 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라텍스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된다. 나일론 또는 레이온 섬유용 RFL은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에는 접착강도를 부여하지 않으므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에폭시수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예비처리된 다음 RFL로 처리되거나, 또는 RFL 및 불카본드 E(Vulcabond E, ICI Vulnax 제품)같은 접착제의 혼합물로 처리된다.
RFL에 함유된 라텍스도 또한 개선되어 왔다. 예를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6629/1986 및 26630/1986호에는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로 변성된 비닐피리딘 기재 공중합체 라텍스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경우, 상기 RFL중에 침지된 후 섬유의 코드 강도는 크게 감소되고, 상기 라텍스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내열성 접착제 강도가 열등하므로 접착조성물은 양호한 내열성은 요구하는 용도의 사용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뿐만 아니라 나일론섬유, 레이온섬유, 아라미드 섬유등의 다른 섬유에도 양호한 접착 강도를 부여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
(a) 40 내지 80중량%의 공역 디엔 단량체,
(b) 0.5 내지 30중량%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c) 5 내지 35중량%의 비닐 피리딘,
(d) 53중량% 이하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임의에 따라,
(e) 0.5 내지 10중량%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라텍스; 및 레소르신-포르말린 수지이다.
이제, 본 발명이 접착제 조성물의 성분을 설명한다.
공중합체 라텍스 중에 사용되는 공역 디엔 단량체의 예로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공역 디엔 단량체의 함량이 40중량%미만인 경우, 초기 접착강도는 증진되지 않는다. 상기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 접착 강도는 개선되지 않는다. 공역 디엔단량체의 함량은 45∼75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시안화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말레오니트릴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내열성 접착강도는 증진되지 않는다. 상기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접착강도는 개선되지 않는다.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함량은 1.5∼20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비닐피리딘의 예로는 2-비닐피리딘, 3-비닐 피리딘, 4-비닐 피리딘, 2-메탈-5-비닐피리딘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에서 2-비닐 피리딘이 바람직하다. 비닐피리딘의 함량이 5중량%미만인 경우, 초기 접착강도나 내열성 접착 강도는 개선되지 않는다.
상기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접착 강도는 증진되지 않는다. 비닐 피리딘의 함량은 10∼30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모노 클로로스티렌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함량은 40중량%를 초과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라텍스는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중량% 함량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푸마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이 사용되면,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함량은 52.5중량%, 바람직하게는 41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공중합체 라텍스중의 중량 평균 입자크기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양호한 내열성 접착강도의 관점에서, 중량 평균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70∼140nm이다.
공중합체 라텍스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회분식방법, 부분 첨가 방법, 연속 첨가 방법, 이단계 중합 방법 및 동력 공급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섬유를 고무에 접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레이온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접착될 섬유는 접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예비처리할 수 있다.
섬유는 코오드, 케이블 직물, 캔버스지, 필라멘트 조각등의 형태일 수 있다.
섬유가 접착될 고무로는 천연 고무, SBR, NBR, 클로로프렌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고무 및 이의 변성된 고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RFL중에의 침지 후 코드 강도의 저하를 예방하고, 내열성 접착강도를 증진시킨다. 그외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아라미드 섬유 및 클로로프렌고무 사이에 양호한 접착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레소르신-포르말린수지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체함량을 기준하여 레소르신-포르말린 수지의 양은 고체 함량을 기준하여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당 8 내지 3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우레아, 폴리에폭시드, 변성 염화 폴리비닐 등을 임의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후술하는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부 및 %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 및 중량%이다.
실시예 1
공중합체 라텍스 A-J의 제조
교반기가 장치된 고압밀폐반응기에, 물(130부), 칼륨로데이트(4부), 나트륨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르말린축합물(1부) 및 수산화나트륨(0.5부)를 충진시키고 용해시킨다.
수득된 용액에,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단량체 혼합물(100부) 및 3차-도데실메르캅탄(0.5부)를 가하고 유화시킨다.
다음 과황산염 칼륨(0.5부)을 가하여 중합을 개시시키고 반응계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여 중합을 계속한다. 중합 변환율이 92%에 이르면, 히드로퀴논(0.1부)를 가하여 중합을 종결시킨다. 미반응 단량체를 감압하에 반응 혼합물로 부터 증류제거하면 A∼J의 각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한다.
공중합체 라텍스 K 및 L의 제조
교반기가 장치된 고압밀폐 반응기에, 물(150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5부), 나트륨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0.05부), 3차-도데실 메르캅탄(0.5부), 과황산염 칼륨(0.3부) 및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단량체 혼합물(100부)를 가하고, 50℃에서 중합한다.
중합 변환율이 50%에 이르면 3차-도데실메르캅탄(0.5부)를 가하고, 중합 변환율이 95%에 이르면 히드로퀴논(0.05부)을 가하여 중합을 종결시킨다. 미반응 단량체를 반응 혼합물로 부터 감압하에 증류제거시킨 각 공중합체 라텍스 K 및 L을 수득한다.
RFL 용액의 제조
물(333.5부)에, 수산화 나트륨(1.3부), 레소르신(16.6부) 및 37% 포르말린(14.6부)을 가하고, 25℃에서 2시간 동안 에이징하면 RF수지가 수득된다.
A∼L의 각 공중합체 라텍스(100부)에, 수득된 RF수지(23.3부)를 가하고 25℃에서 20시간 동안 에이징한다. 다음, 2,6-비스(2',4'-디히드록시페닐메틸렌)-4-클로로페놀(ICI Vulnax사 제품 Vulcabond E)을 가하고, 물을 가하여 고체 함량을 15%로 조정하면 표 3에 기재된 1∼12의 각 RFL용액이 수득된다.
타이어 코드 침지 처리 및 접착 강도 및 코드 강도의 측정
실험실용 단일 코드 침지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1500D/2)를 1∼12의 각 RFL 용액에 침지시킨다. 처리된 타이어 코드를 한 쌍의 표 2에 기재된 제제의 고무 조성물 시트 사이에 끼우고, 140℃에서 45분 또는 170℃에서 90분 동안 압착 경화한다. ASTM D 2138-67[H인장 시험(Pull Test)] 방법에 의하여 고온에서의 열이력에 의한 접착 강도의 감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각각의 침지처리된 타이어 코드의 코드 강도는 JIS L 1017에 의거하여 측정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주 : 1) 공중합체 라텍스 A∼D, M 및 N는 본 발명의 것이고, 공중합체 라텍스 E∼L은 비교용이다.
[표 2](고무제제)
성분 부
천연고무 40
SBR # 1502 60
SRF카본 20
REF카본 20
페인탈(Paintal) 5
스티렌화 페놀 2
스테아르산 2.5
아연화이트 5
가황 촉진제 CZ 1.2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황 2.4
[표 3]
Figure kpo00002
실시예 2
공중합체 라텍스 M 및 N의 제조
표 1의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 라텍스 M 및 N을 제조한다.
RFL 용액의 제조
순수(382부) 및 25% 암모니아(10.4부)의 혼합물에, 레소르신-포르말린 수지(고체함량 : 75%,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Sumicanol 700) 및 다음에 공중합체 라텍스(고체함량 : 41%, 410부)를 가하고 3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에 순수(142부) 및 37% 포르말린 수용액(18.6부)를 가하고 3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12시간 에이징하여 표 5에 기재된 13∼15의 RFL용액을 제조한다.
타이어 코드 침지 처리 및 접착 강도의 측정
13∼15의 각각의 RFL용액으로, 토와른 1001(Towaron 1001, AKZO사 제품 아라미드 섬유 코드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마무리됨)(1680D×2)을 침지 피복시키고 130℃에서 60초 동안 건조하여, 이어서 235℃에서 90초 동안 소부한다. 처리된 섬유를 평행축선거(parallel winder)에 감아 코드 직물을 만들고, 코드 직물을 한 쌍의 표 4의 제제를 갖는 고무 조성물 시트 사이에 끼우고 표 5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압착 경화한다.
다음 JIS K 6301에 의거하여, 폭 2cm의 코드 직물 견본을 제조하고, 50mm/분의 인장속도에서 180도 박리강도(peel strength)를 측정한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4](고무 제제)
Figure kpo00003
[표 5]
Figure kpo00004
주 : *1) 160℃에서 15분 동안 경화
*2) 150℃에서 13분 동안 경화
*3) 150℃에서 30분 동안 경화
실시예 3
공중합체 라텍스 AA∼DD 및 FF∼LL의 제조
표 6의 조성을 갖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공중합체 라텍스 K 및 L의 제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AA∼DD 및 FF∼LL의 각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한다.
공중합체 라텍스 EE 및 MM의 제조
표 6의 조성을 갖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공중합체 라텍스 A∼J의 제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공중합체 라텍스 EE 및 MM을 제조한다.
RFL 용액의 제조
공중합체 라텍스 AA∼MM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7에 기재된 RFL용액 16∼28을 제조한다.
타이어 코드 침지 처리 및 접착 강도의 측정
각 RFL 용액 13∼25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타이어 코드를 침지 처리하고 고온에서의 열이력에 의한 접착 강도의 감소를 평가한다.
각각의 침지 처리된 타이어 코드의 코드 강도를 JIS L 1017에 의하여 측정한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kpo00005
주 :*1) 공중합체 라텍스 AA∼DD는 본 발명에 의한 것이고, 공중합체 라텍스 EE∼MM은 비교용이다.
[표 7]
Figure kpo00006

Claims (6)

  1. (a) 40 내지 80중량%의 공역 디엔 단량체 및
    (b) 0.5 내지 30중량%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c) 5 내지 35중량%의 비닐 피리딘 및
    (d) 53중량% 이하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라텍스; 및 레소르신-포르말린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e) 0.5 내지 10중량%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더 함유하고, 방향족 비닐의 단량체 함량이 52.5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중의 공역 디엔 단량체의 함량이 45∼75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함량이 1.5∼20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비닐피리딘의 함량이 10∼30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고체 함량으로 환산한 레소르신-포르말린 수지의 양이 고체 함량으로 환산한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 당 8 내지 30중량부인 접착제 조성물.
KR1019890009637A 1988-07-07 1989-07-06 접착제 조성물 KR012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288/1988 1988-07-07
JP16928888 1988-07-07
JP63-169288 1988-07-07
JP64-68269 1988-10-13
JP63-258069 1988-10-13
JP258069/1988 1988-10-13
JP63258069A JPH0778207B2 (ja) 1988-10-13 1988-10-13 ゴムの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
JP68269/1989 1989-03-20
JP1068269A JPH0832864B2 (ja) 1988-07-07 1989-03-20 ゴムと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810A KR900001810A (ko) 1990-02-27
KR0127672B1 true KR0127672B1 (ko) 1997-12-26

Family

ID=2729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37A KR0127672B1 (ko) 1988-07-07 1989-07-06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63613A (ko)
EP (1) EP0350773B1 (ko)
KR (1) KR0127672B1 (ko)
DE (1) DE689071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2991A1 (en) * 1989-06-12 1990-12-19 Dsm N.V. Improved adhesive latex
EP0506264B1 (en) * 1991-03-13 1998-08-05 Bridgestone Corporation Polyamide fiber cords for rubber reinforcement
DE4234149B4 (de) * 1991-10-09 2004-07-08 Mitsuboshi Belting Ltd., Kobe Überzogene Kabel enthaltende Zahnriemen mit erhöhter Beständigkeit
US5565507A (en) * 1994-06-28 1996-10-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JPH09279111A (ja) * 1996-04-09 1997-10-28 Toyota Motor Corp ゴムとガラス繊維との接着剤
CA2318752C (en) 1998-01-27 2009-09-15 Lord Corporation Butadiene polymer latex
US20040182486A1 (en) * 2003-01-30 2004-09-23 Carlo Bernard Agricultural or industrial tire with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US20040261928A1 (en) * 2003-06-27 2004-12-30 Imhoff Serge Julien Auguste Polyester cords and their use in runflat tires
US8563644B2 (en) * 2007-03-29 2013-10-22 Zeon Corporation Nitrile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and nitrile copolymer latex composition
RU2554088C2 (ru) * 2009-11-24 2015-06-27 Омнова Солюшнз Инк. Резиновые адгезио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винилпиридиеновые латексные полимеры с чередующимися азотсодержащими мономерами
WO2013118785A1 (ja) * 2012-02-06 2013-08-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824A (en) * 1975-08-29 1980-07-08 Honny Chemicals Company, Ltd. Bonding rubber to metal
JPS6013869A (ja) * 1983-07-05 1985-01-24 Nippon Zeon Co Ltd ゴムと繊維の接着剤組成物
JPH0723758B2 (ja) * 1983-11-22 1995-03-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管状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810A (ko) 1990-02-27
DE68907142D1 (de) 1993-07-22
EP0350773B1 (en) 1993-06-16
EP0350773A1 (en) 1990-01-17
DE68907142T2 (de) 1993-12-23
US4963613A (en) 199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672B1 (ko) 접착제 조성물
EP0285094B1 (en) Adhesive for bonding rubber to fibers
JPS6013869A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組成物
US4355131A (en)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US5077127A (en) Adhesive for bonding rubber to fibers
US4861820A (en) Adhesive composition
JP3379561B2 (ja)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US3930095A (en) Composite of rubber bonded to glass fibers
US5922797A (en) Latex for fiber adhesion
JPS6096674A (ja) ゴム補強用接着剤
JP3978267B2 (ja) ゴムとポリエステル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US4409343A (en)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JP4295961B2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US5171637A (en) Tire cord adhesive latexes containing amino acrylate polymers
JP2514433B2 (ja) ゴムと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
US4409290A (en)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JP4454053B2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US4051281A (en) Composite of rubber bonded to glass fibers
JPH0571701B2 (ko)
US5034462A (en) Tire cord adhesive latexes containing amino arcylate polymers
JP4275205B2 (ja) ゴムとポリエステル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3986654B2 (ja) ゴムとポリエステル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H0832864B2 (ja) ゴムと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
JPH1121414A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S62530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