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898B1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6898B1 KR0126898B1 KR1019930017886A KR930017886A KR0126898B1 KR 0126898 B1 KR0126898 B1 KR 0126898B1 KR 1019930017886 A KR1019930017886 A KR 1019930017886A KR 930017886 A KR930017886 A KR 930017886A KR 0126898 B1 KR0126898 B1 KR 0126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gas
- crater
- suction port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45—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 plurality of burner bars assembled together, e.g. in a grid-like arrang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10/00—Noise abat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버너 및 그 양측의 제2버너에 공기과잉률이 다른 혼합기체를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에 있어서, 혼합기체의 공급기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각 버너의 공연비의 조정이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기기용 버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버너(1)의 제1화구(11)의 양측에 그 제1화구(11)를 사이에 두고서 제2화구(21)가 형성된 수화버너(2)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100)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2)는 상기 주버너(1)와 독립적으로 연료 가스 및 제1차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화구(11)의 양측에 설치된 제2화구(21,21)에 공급하는 공통흡입구(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를 이용한 가스급탕기의 연소부의 사시도,
제2도는 주버너 및 가스기기용 버너의 측면도,
제3도는 주버너 및 가스기기용 버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를 이용한 기스급탕기의 개략도,
제5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주버너 및 가스기기용 버너의 측면도,
제6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주버너 및 가스기기용 버너의 측면도,
제7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사시도,
제8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측면도,
제9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주버너의 측면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커버(cover)의 측면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평면도와 정면도,
제12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평면도,
제13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주화구의 구성부품도,
제14도는 제7실시예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평면도,
제15도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안정연소영역(安定燃燒領域)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버너(제1버너)2 : 수화버너(제2버너)
3 : 댐퍼4 : 주버너의 연료가스공급관
5 : 수화버너의 연료가스공급관6,7 : 소화구
11 : 주화구(제1화구)20 : 커버
21 : 수화구(제2화구)22 : 공통흡입구
100 : 가스기기용 버너111 : 슬릿
본 발명은 주로 가스급탕기의 가열원으로 사용되는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제1버너의 제1화구 양측에 그 제1화구를 사이에 두고서 제2화구가 형성된 제2버너를 설치하고, 제1버너와 제2버너에 별개의 노즐로부터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기기용 버너가 이미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평 3-263505호 공보). 이 가스기기용 버너는 일정한 간극을 매개하여 다수가 일렬로 설치되도록 조립되어 급탕기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스기기용 버너는 제1화구에서 이론공연비(理論公燃比)보다 연료가 희박한 연료공기 혼합기체[이하 에어리치(air rich) 혼합기체라 한다]를 연소시키고 제2화구에서 이론 공연비보다 연료가 진한 연료공기 혼합기체[이하 가스리치(Gas rich) 혼합기체라 한다]를 연소시킴으로써 전체를 균일한 혼합기체로 연속시킨 경우, 120ppm 정도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40∼60ppm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이와 반대로 제1화구에서 가스리치 혼합기체를 연소시키고 제2화구에서 에어리치 혼합기체를 연소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낮은 질소산화물(Nox)의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식의 가스기기용 버너는 종래 병설된 3개의 화구에 혼합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가스공급관에 3개의 분출노즐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대응하여 버너의 혼합기체의 흡입구 3개를 나란히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의 오차에 대한 각 버너의 공연비의 조정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됨과 더불어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버너 및 그 양측의 제2버너에 공기과잉률(空氣過剩率)이 다른 혼합기체를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에 있어서, 혼합기체의 공급기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각 버너의 공연비이 조정이 용이하면서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기기용 버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화구(주화구)를 사이에 개재한 2개의 제2화구[수화구(袖火口)]가 1매의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을 제1버너에 덮어 줌으로써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면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버너의 2개의 제2화구(수화구)로의 혼합기체의 분산을 균일하게 한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 내지 제10항에 걸쳐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화구로부터의 화염을 분할함으로써 연소소음의 저감을 도모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는, 제1버너의 제1화구의 양측에 그 제1화구를 사이에 두고서 제2화구가 형성된 제2버너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는 상기 제1버너와 독립적으로 연료가스 및 1차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화구의 양측에 설치된 제2화구로 공급하는 공통흡입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가스연소용 버너는, 상단에 주화구를 갖춘 편평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제1버너와, 상기 주화구의 양측에 그 주화구를 사이에 두고서 슬릿 형상의 수화구가 형성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제2버너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는 상기 제1버너와 독립적으로 연료가스 및 1차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주화구의 양측에 설치된 양 수화구로 공급하는 공통흡입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버너는 금속평판을 대칭적으로 압형가공 및 팽출성형(膨出成型)하여 대칭면에서 절곡하고 팽출부분에서 제1버너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버팽출부를 접합해서 형성하고, 상기 제2버너는 금속판을 소정형상으로 압형함과 더불어 대칭적으로 팽출성형하여 대칭면에서 절곡한 커버(cover)에 의해 적어도 상기 제1버너의 상부를 덮고, 상기 공통흡입구와 그 공통흡입구로부터 상기 양 수화구를 설치해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버너유로는 일단이 흡입구로 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다른단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제1버너 입구부와, 상기 제1버너 입구부의 다른 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진 제1버너 중간부 및, 상기 제1버너 중간부의 상단으로부터 전체폭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화구로 이어진 제1버너 출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버너 입구부와 상기 제1버너 출구부 사이의 비팽출부내에 일단이 제2버너 흡입구로 되고 다른단이 상기 제2버너의 유로에 대한 연통구(連通口)를 이루는 수평방향의 원통형상부(筒狀形狀部)를 형성한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통구는 상기 원통형상부의 다른 단부에 일렬로 설치된 축방향의 미소구멍군(小穴群)으로 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미소구멍군은 상기 원통형상부의 다른 단부의 좌우 상부면에 좌우대칭적으로 2열로 나란히 설치된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제1화구를 다수의 슬릿이 병설된 슬릿열로서 형성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제1화구를 다수의 소화구(小火口)를 면상(面狀)으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상기 다수의 소화구는 금속판에 미소구멍을 매트릭스형상으로 개구하여 형성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상기 다수의 소화구가 금속파판(金屬波板)과 금속평판을 교대로 겹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2버너가 공통흡입구를 갖추고 1개의 노즐로 부터 제1버너 양측의 2개의 제2화구(수화구)로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공연비를 설정치로 맞추기 위한 노즐과 흡입구의 수를 저감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공연비의 조정이 간단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2개의 수화구가 1매의 성형판을 제1버너로 덮음으로써 구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혼합기체를 제2버너의 전체 폭을 따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고, 2개의 수화구에 적절하게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화구는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을 병설한 슬릿 열로서 형성함으로써 1개의 화염구(슬릿)당 연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편평버너에서 연소의 치우침에 기인하여 링공연비영역에서의 사용할 때에 생기기 쉬운 화염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즉, 1개의 화염구에서의 진동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화염의 진동이 작아지게 되고 그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감소하게 된다.
상기 화염의 진동은 청구범위 제7항 및 제8항 및 제9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화구가 다수의 소화구를 면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써 한층 작게 할 수 있고, 소음레벨을 더욱 더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100)를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체로 고정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일렬설치되어 이루어진 급탕기용 가열원(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각 가스기기용 버너(100)는 상단에 가늘고 긴 주화구(제1화구; 11)를 갖추고 그 측부에 혼합기체의 흡입구(12)를 구비한 편평한 주버너(제1버너; 1)와, 그 주화구(11)의 양측에 인접하게 편평한 슬릿형상의 수화구(제2화구; 21,21)를 형성함과 더불어 측부에 1개의 공통흡입구(22)를 갖춘 수화버너(제2버너; 2)로 이루어진다.
주버너(1)의 흡입구(12) 및 수화버너(2)의 공통흡입구(22)에는 각 버너의 1차 공기를 조절하는 조절구멍(931,32)이 각각 일렬설치된 댐퍼(93)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버너(1)는 중심위치에 주화구(11)로 이루어진 금속판의 다수의 병설슬릿을 형성함과 더불어 중심선을 대칭면으로 해서 그 양측에 대칭적으로 팽출부(1A,1B)를 성형한다.
다음에, 제2도(A) 및 제3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구(11)부분을 제외한 상기 중심선의 양측의 평행선을 기준(도면의 상부주변)으로 하여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평판부분(1C)을 겹쳐서 스폿용접하게 된다. 또한 평판부분(1C)의 주변부는 가스누출방지를 위해 겹쳐서 U자형으로 절곡함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도(A) 및 제3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는 다수의 슬릿을 병성할 슬릿군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화구(11)가 형성되고, 금속판의 팽출구(1A)에 의해 일측단에 혼합기체의 흡입구(12)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흡입구(12)로부터 주화구(11)로 이어진 유로(13)가 형성된다.
또한, 금속판의 팽출구(1B)에 의해 흡입구(12)의 상부에 수화버너(2)용의 흡입구부(14)와 슬롯부(15) 및 슬롯출구(16)가 형성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버너(1)는 1매의 금속판의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조되지만 용접이라든지 주조 등의 다른 가공방법으로 제조되어도 된다.
수화버너(2)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즉, 금속판의 중심위치에 복수의 구형(矩形)의 압형부(20a)를 형성함과 더불어 중심선을 대칭면으로 해서 그 양측에 대칭적으로 팽출부(2A)를 성형한다. 다음에, 제2도(B) 및 제3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심선 양측의 평행선을 절곡선(도면의 상부주면)으로 하여 대략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커버(20)를 성형한다.
그리고 나서, 제2도(B) 및 제3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를 주버너(1)에 덮고, 커버(20)의 평판부분(2B)을 상기 주버너(1)의 평판부분(1C)에 겹쳐서 스폿용접한다. 주버너(1)와 마찬가지로, 평판부분(2B)의 주변부는 가스누출방지를 위해 겹쳐서 U자형으로 절곡함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팽출부(2A)는 상기 주버너(1)의 주화구(11)와 흡입구(12) 및 유로(13)를 덮게 됨과 더불어 상기 슬릿형상의 수화구(21,21) 및 상기 공통흡입구(22)를 형성하고, 주버너(1)의 양측에 공통흡입구(22)로부터 수화구(21,21)로 이어지는 유로(23)을 형성한다. 또, 주화구(11) 및 수화구(21,21)는 상기 주형의 압형부(20a)내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버너(1)에 설치된 수화버너(2)용 흡입구부(14)와 슬롯부(15) 및 슬롯출구(16)가 상기 공통흡입구(22)내에 끼워 넣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수화버너(2)에서 필요로 되는 1차 공기와 연료가스는 수화버너(2)의 공통흡입구(2)로부터 흡입되어 주버너(1)에 설치된 슬롯부(15)에 의해 혼합되고, 그 슬롯부(15)의 슬롯출구(16)에 의해 좌우로 양분되어 2개의 수화구(21,21)로 공급된다. 이 결과, 2개의 수화구(21,21)로 공급되는 혼합기체량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가스기기용 버너(100)군의 주버너(1)의 흡입구(12) 및 수화버너(2)의 흡입구(22)와 이들 흡입구(22)에 설치된 상기 댐퍼(3)의 조절구멍(31,32)에 대응하여 연료가스공급관(4,5)이 병설되어 있고, 각 공급관(4,5)에는 상기 조절구멍(31,32)의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노즐(41,51)이 일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41)로부터 분출된 연료가스는 조절구멍(31)을 통해서 1차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2)로부터 유로(13)로 흘러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구(11)에서 연소된다. 상기 노즐(51)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는 조절구멍(32)을 통하여 1차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2)로부터 슬롯부(15)를 통해 유로(23)로 흘러서 주화구(11)의 양측으로 분산되어 수화구(21,21)에서 연소된다.
연소조건으로서 주버너(1)에서의 공기과잉률은 예를 들어 1.4의 에어리치 혼합기체로 되도록 설정하고, 수화버너(2)에서의 연소는 충분하게 공기과잉으로 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이 적고, 또한 수화버너(2)에서는 충분하게 연료과잉이 되므로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주화구(11)를 다수의 슬릿(111)을 병설한 슬릿열로서 형성함으로써 1개의 화염구(슬릿)당 연소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편평한 주버너(1)에서 연소의 치우침에 기인하여 린공연비영역에서의 사용할 때에 생기기 쉬운 화염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즉, 1개의 화염구[슬릿(111)]에서의 진동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화염의 진동이 작아지게 되고 그 진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를 일정한 공기과잉률(예를 들어 1.2)로 연소할 때 발생하는 120ppm 정도의 Nox 배출량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100)에서는 40∼60ppm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Nox 배출량의 저감에서는 주버너(1) 및 수화버너(2)로 공급되는 혼합기체의 공연비조정이 중요하게 된다. 이러한 공연비조정은 상기 노즐(41,51)의 직경과 위치 및 댐퍼(3)의 조절구멍(31,32)의 직경과 위치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연비조정에 있어서, 본 발명과 같이 2개의 슬릿형상 수화구(21,21)에 단일의 공통흡입구(22)로 부터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수화버너(2)에 관하여 조정해야만 하는 노즐(51) 및 조절구멍(32)의 수를 반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제조 및 조립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100)의 제조에 있어서, 2개의 슬릿형상 수화구(21,21)와 단일 공통흡입구(22)를 갖춘 수화버너(2)는 1매의 금속판의 프레스성형품을 주버너(1)에 덮고 용접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주 버너(1)의 흡입구(12)를 수화버너(2)의 흡입구(22)의 아래에 설치한 것은 에어리치 혼합기체가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을 완전히 수행하기 위한 긴 유로를 필요로 하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버너(1)에 가스리치 혼합기체를 공급하고 수화버너(2)에 에어리치혼합기체를 공급해도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제5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와 같이 주버너(1)의 흡입구(12)를 수화버너(2)의 흡입구(22)의 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제5도에 있어서 팽출구(1D)는 제2도의 팽출부(1B)는 팽출부(1B)와 동일한 기능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와 같이 주버너(1)에 상기 수화버너(2)용의 흡입구부(14), 슬롯부(15) 및 슬롯출구(16)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결부(17)를 형성해도 바람직하게 되고, 그러한 구성은 제5도에 나타낸 팽출부(1D)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100)를 발열량을 크게 증감시키는 가스연소기에 적용하는 경우, 연소량을 줄이면 가스리치측의 버너에서 역화(逆火)가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수화버너(제2버너; 2)의 슬릿형상 수화구(21)는 수화구(21)를 다수의 화구로 구획함과 더불어 수화구(21)의 면적을 줄이고, 또한 소염(消炎)작용을 갖는 소염구열(小炎口列)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의 수화구(21)는 수화버너(2)의 커버(20)의 압형성형의 경우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7도 내지 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다른 가스기기용 버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0도(A),(B),(C)에 나타낸 커버(20)의 상하방향의 폭을 제9도(A),(B),(C)에 나타낸 주버너(1)보다 짧게 형성하고 가스기기용 버너(100)의 하부벽을 한겹구조로 하여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주버너(1)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13)의 일단이 흡입구(12)로 되고 그 일단으로부터 다른단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입구부(13A)와, 그 입구부(13A)의 다른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진 중간부(13B)와, 그 중간부(13B)의 상단으로부터 전체폭으로 확장되어 상기 주화구(11)로 이어지는 출구부(13C)로 구성된다.
유로(13)의 중간부(13B)는 중간단(131)을 통해서 상부의 폭이 커버(20)의 판두께만큼 두께가 얇게 되어 커버(20)를 덮고 용접할 때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의 표면(20A)과 주버너(1)의 표면(10A)이 동일면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스기기용 버너(100)는 양측면이 평탄하게 됨과 더불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제1도에 도시된 가열원(200)을 조립할 때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시에 커버(20)의 하단에 걸리는 불합리함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전하게 된다.
상기 유로(13)의 출구부(13C)는 경사단(132)을 매개하여 중간부(13B)에 대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그 출구(13C)의 외벽과 커버(20)의 내벽과의 사이는 수화버너(2)의 혼합기체의 유로(23)를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버너(1)의 입구부(13A)와 상기 출구부(13C)사이의 비팽출부(18)내에 형성된 원통형상부인 슬롯부(15)는 상기 주버너(1)의 흡입구(12)로부터 다소 안으로 들어가서 형성되고, 연통구인 슬롯출구부(16)는 일렬설치된 축방향의 미소구멍(16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미소구멍(161)은 원통형상의 슬롯부(15)의 슬롯출구(16) 즉 좌우의 상면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경사면(19)의 양단부에 2개씩 일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부(132)의 경사와 미소구멍(161)의 축방향으로의 적당한 분산상에 의해 슬롯출구(16)로부터 취출되는 혼합기체가 수화버너(2)의 유로(23)에서 그 유로(23)내의 압력을 높이지 않으면서 확산되어 슬릿형상 수화구(21,21)의 전체폭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슬릿형상 수화구(21)중 분포가 강한 부분에 대응하는 유로(23)의 부분을 좁게 하여 균일한 분포를 도모하는 경우와 같이 유로(23)내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게 되므로, 유로(23)로부터 혼합기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불합리함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커버(20)의 상하방향의 폭을 주버너(1)의 상부만을 덮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화버너(2)용의 흡입구부(14)는 커버(20)의 공통흡입구(22)보다 3mm정도 안으로 들어가 있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3)의 조절구멍(32)의 선단이 원통형상으로 돌출하여 공통흡입구(22)내로 삽입되어 있다. 그에 따라, 수화버너(2)의 혼합기체가 주버너(1)와 커버(2)와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어 대기중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주버너(1)는 버너로서 편평정도가 높으므로 고부하연소부터 저부하연소의 전범위에 걸쳐 연료가스와 공기의 선혼합기체를 주화구(11)의 중간부와 양측부로 완전히 균등하게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상적으로 주화구(11)의 어느 하나의 측부가 선혼합기체 부족 또는 과잉으로 되기 쉽고, 그 결과 선혼합기체 부족 또는 과잉된 주화구(11)의 측부에서 화염의 리프트(lift)의 발생, 소멸의 반복에 따라 진동이 생기고 그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 화염의 진동대책으로서, 제1도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구(11)를 상기 슬릿(111)의 열로서 구성하는 것은 진동을 생기게 하는 화염을 한정함과 더불어 1개의 화염의 연소에너지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진동억제 및 소음방지효과가 달성된다.
그런데, 주버너(1)의 선혼합기체의 공기과잉률이 1.4 정도로 비교적 에어리치인 경우이고 버너(100)의 최대발열량으로부터 최소발열량까지의 가변점위가 큰 가스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슬릿열로 주화구(11)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게 화염의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버너(제1버너; 1)의 주화구(제1화구; 11)가 다수의 소화구(6)를 면상으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화구(11)를 상기 슬릿(111)보다 한층 미소한 소화구(6)로 구성함으로써 화염의 진동방지가 더욱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소화구(6)의 형성방법에서는 주화구(11)의 형성위치의 금속판에 환형홈(丸; 61)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환형홈(61)은 직경 0.9mm의 환형홈으로 이루어지고, 1.6mm의 피치(pitch)로 폭방향으로 4열로 형성되고 있다. 또, 환형홈(61)은 타원형이어도 되고 유사하게 격자형상 등과 같은 다른 패턴으로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소화구(6)를 면상으로 배치하여 주화구(11)를 형성함으로써 진동하는 화염의 진동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특정화염의 진동이 다른 화염에 전파되기 어렵게 소음도 저감될 수 있다.
또, 제5실시예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대해 슬롯출구(16)를 구성하는 미소구멍(16)군 중공통흡입구(22)측의 2개의 미소구멍이 생략되어 있다. 이는 공통흡입구(22)로부터의 거리가 짧아서 연료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이 불충분한 혼합기체가 유로(23)로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2도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소화구(7)의 형성방법으로서 4매의 금속파판(71)과 3매의 금속평판(72)을 교대로 겹쳐서 단면이 대형(坮形)인 소화구(7)를 폭방향으로 7열로 형성하고 있다.
제13도는 소화구(7)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73은 중앙 평판, 74는 그 중앙평판을 사이에 둔 내측파판의 연결체, 75는 그 내측파판의 연결체(74)의 외부면에 겹쳐진 외측평판연결체, 76은 해당 외측평판연결체의 외부면에 겹쳐진 외측파판의 연결체이다. 이들은 적층되어 스폿용접된 다음 주버너(1)의 상단부에 끼워넣어져 용접되어 제12도에 나타낸 주화구(11)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화구(7)가 제5실시예의 소화구(6)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길기때문에 통기저항이 적절하게 부여될 수 있음과 더불어 정류효과가 커지게 된다.
특히, 제13도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내측파판의 연결체(74) 및 외측파판의 연결체(76)의 상하에 파판부(77)가 설치되고 중간기 평판부분(78)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구(7)는 유로자체가 정류효과를 갖는다.
이 제6실시예에 따른 소화구(7)는 화염의 진동방지효과가 크다는 잇점을 가지는 반면 구조가 복잡해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 정도가 극히 높은 수화버너(2)에 있어서, 수화구(21,21)의 전체폭에 혼합기체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혼합기체의 유로(23)에 맹부분(盲部分; 8)을 형성하고 있다. 이 맹부분(8)은 커버(20)의 팽출부(2A)의 중앙부근의 소정위치에 대략 절결된 원형상을 나타내는 주버너(1)의 팽출부(1A)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요소(凹所; 81)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한다.
이 맹부분(8)에 의해 수화구(21,21)에 공급되는 혼합기체가 전체폭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통상의 측부가 혼합기체 부족 또는 과잉으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혼합기체 부족 또는 과잉으로 된 수화구(21)의 측부에서 화염의 진동이 생기거나 역화가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성이 방지될 수 있다.
제15도(A)는 수화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가스기기용 버너의 질소산화물의 낮은 연소영역에 있어서의 안정연소범위를 나타내고, 제15도(B)는 본 발명의 가스기기용 버너(100)의 저질소산화물연소영역에 있어서의 안정연소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어느 데이터도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이 60ppm이하인 클린(Clean) 연소영역에 있어서의 안정연소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5도(B)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기기용 버너(100)는, 제15도(A)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기기용 버너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넓은 연소범위에서 낮은 Nox의 안정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 제1버너(1)의 제1화구(11)의 양측에 그 제1화구(11)를 사이에 두고서 제2화구(21,21)가 형성된 제2버너(2)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화구(11)에 대해서는 금속판의 압형으로 형성되는 팽출부(1A)에 의해 혼합기체의 흡입구(12)가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12)로부터 그 제1화구(11)로 이어진 유로(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화구(21,21)에 대해서는 상기 흡입구(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화구(11)와는 독립적으로 연료가스 및 1차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공통흡입구(22)가 설치되고, 상기 제1버너(1)의 양측에서 상기 공통흡입구(22)로부터 상기 제2화구(21,21)로 이어지는 유로(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버너(1)에는 제2버너(2)용의 절결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 상단에 주화구(11)를 갖춘 편평한 판금제의 제1버너(1)와 상기 주화구(11)의 양측에 그 주화구(11)를 사이에 두고서 슬릿형상의 수화구(21,21)가 형성된 금속판제의 제2버너(2)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주화구(11)에 대해서는 금속판의 압형으로 형성되는 팽출부(1A)에 의해 혼합기체의 흡입구(12)가 설치되고, 그 내측에 상기 흡입구(12)로부터 그 제1화구(11)로 이어진 유로(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화구(21,21)에 대해서는 상기 흡입구(12)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화구(11)와는 독립적으로 연료 가스 및 1차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공통흡입구(22)가 설치되고, 상기 제1버너(1)의 양측에서 상기 공통흡입구(22)로부터 상기 제2화구(21,21)로 이어지는 유로(23)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23)에 요소(81)가 형성되어 혼합기체의 균일한 분배를 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 제1버너(1)의 제1화구(11)의 양측에 그 제1화구(11)를 사이에 두고서 제2화구(21,21)가 형성된 제2버너(2)를 구비한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2)에 대해서는 상기 제1버너(1)와 독립적으로 연료가스 및 1차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화구(11)의 양측에 설치된 제2화구(21,21)로 공급하는 공통흡입구(22)를 형성하고, 상기 제1버너(1)는 금속평판을 대칭적으로 압형 및 팽출성형하여 대칭면에서 절곡하고 팽출부분에서 제1버너(1) 유로(13)를 형성함과 더불어 비팽출부(1C)를 접합해서 형성하고, 상기 제2버너(2)는 금속판을 소정형상으로 압형함과 더불어 대칭적으로 팽출성형하여 대칭면에서 절곡시킨 커버(20)에 의해 적어도 상기 제1커버(1)의 상부를 덮고, 상기 공통흡입구(22)와 그 공통흡입구(22)로부터 상기 제2화구(21,21)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버너(1)의 팽출부분에 요소(81)를 갖춘 제2버너 유로(23) 및 상기 제1화구(11)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양 제2화구(21,21)를 설치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
- 제3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가스기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 유로(13)는 일단이 흡입구(12)로 되고 그 일단으로부터 다른단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제1버너 입구부(12)와, 상기 제1버너 입구부(12)의 다른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진 제1버너 중간부(13B) 및, 상기 제1버너 중간부(13B)의 상단으로부터 전체 폭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화구(11)로 이루어지는 제1버너 출구부(1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버너 입구부(12)와 상기 제1버너 출구부(13C) 사이의 비팽출부내에는 일단이 제2버너 흡입구로 형성되고, 다른 단이 상기 제2버너 유로(23)의 연통구(16)로 구성되는 수평방향의 원통형상부(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16)는 상기 원통형상부의 다른 단부에 일렬설치된 축방향의 미소구멍(16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구멍(161)은 상기 원통형상부의 다른 단부의 좌우상부면에 좌우대칭적으로 2열로 일렬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구(11)는 다수의 슬릿을 병설한 슬릿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구(11)는 다수의 소화구(6,7)를 면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화구(6)는 금속판에 미소구멍(61)을 매트릭스형상으로 개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화구(7)는 금속파판(71)과 금속평판(72)을 교대로 겹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2-243696 | 1992-09-11 | ||
JP24369692 | 1992-09-11 | ||
JP93-20368 | 1993-02-08 | ||
JP2036893 | 1993-02-08 | ||
JP93-121141 | 1993-05-24 | ||
JP12114193 | 1993-05-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7431A KR940007431A (ko) | 1994-04-27 |
KR0126898B1 true KR0126898B1 (ko) | 1997-12-29 |
Family
ID=2728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7886A KR0126898B1 (ko) | 1992-09-11 | 1993-09-07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6898B1 (ko) |
-
1993
- 1993-09-07 KR KR1019930017886A patent/KR01268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7431A (ko) | 1994-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26897B1 (ko)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
US6746236B2 (en) | Combustion apparatus | |
JP4743548B2 (ja) | 燃焼装置 | |
CN107504485B (zh) | 浓淡燃烧器 | |
KR0126898B1 (ko)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
JP3674853B2 (ja) | 燃焼装置 | |
JPH0616252Y2 (ja) | 燃焼装置 | |
CN210568422U (zh) | 一种燃烧器及其燃气装置 | |
JPH02106607A (ja) |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 |
KR0126899B1 (ko)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
KR0126902B1 (ko) | 저질소산화물 버너 | |
CN118224594B (zh) | 一种火排、燃烧器及燃气供热设备 | |
JP3128499B2 (ja) | 偏平ガス機器用バーナ | |
JP3426816B2 (ja) | 低NOxガス燃焼装置 | |
JP3244812B2 (ja) | 燃焼装置 | |
KR0126900B1 (ko) | 가스기기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 |
JP3151761B2 (ja) | 燃焼装置 | |
JPH06103084B2 (ja) |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 |
JP3012473B2 (ja) | 燃焼装置 | |
JP2502698B2 (ja) | ガスバ―ナ | |
JP3150228B2 (ja) | 燃焼装置 | |
JPH025207Y2 (ko) | ||
JP2003120907A (ja) | 燃焼バーナにおける混合ガス等の分布装置 | |
JPH08200630A (ja) | 燃焼装置の整流板 | |
JPH09119613A (ja) | バーナ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