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668Y1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668Y1
KR0126668Y1 KR2019950046056U KR19950046056U KR0126668Y1 KR 0126668 Y1 KR0126668 Y1 KR 0126668Y1 KR 2019950046056 U KR2019950046056 U KR 2019950046056U KR 19950046056 U KR19950046056 U KR 19950046056U KR 0126668 Y1 KR0126668 Y1 KR 0126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fixing
impact energy
vehicl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765U (ko
Inventor
박영문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50046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668Y1/ko
Publication of KR970036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에서 용이하게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의 고정공 일측으로 고정공보다 다소 좁게 개구된 요철부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고정볼트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동차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부품수를 절감하여 작업능률향상과 제작코스트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스티어링 컬럼의 일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평면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스티어링 컬럼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컬럼 2 : 외파이프
3 : 고정브라켓트 4 : 마운팅 브라켓트
5 : 고정편 6 : 고정공
7 : 돌출턱 8 : 요철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에서 용이하게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은 어퍼컬럼에 마운팅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하여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다가 자동차가 외부의 타물체와 부딪쳐 충격에너지가 발생하면 조향핸들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토록 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51)은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51)의 외파이프(52)에 캡슐(53)이 수지로 몰딩된 마운팅 브라켓트(54)를 틸팅되게 설치한 후 상기 캡슐(53)을 고정볼트(60)에 의해 차체에 고정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51)의 마운팅 브라켓트(54)는 스티어링 컬럼(51)을 고정볼트(6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자동차의 조향방향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하다가 자동차가 외부의 물체와 부딪쳐, 그 충격에너지가 조향핸들에 전달되면 고정볼트(60)에 의해 고정된 캡슐(53)은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몰딩된 수지가 파단되면서 스티어링 컬럼(51)의 외파이프(52)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트(54)가 이탈되면서 자동차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격에너지의 흡수는 마운팅 브라켓트(54)에 수지몰딩된 캡슐(53)은 수지가 파단되는 순간부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데, 초기에는 수지의 파단력에 의해 어느정도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긴 하나, 수지의 파단후에는 마운팅 브라켓트(54)와 캡슐(53)이 그대로 밀려나 용이한 충격에너지의 불충분으로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게 되는 결점이 야기되었을 뿐 아니라 충격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별도로 캡슐(53)을 마운팅 브라켓트(54)에 끼워 수지몰딩하므로서 제작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작코스트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의 고정공 일측으로 고정공보다 다소 좁게 개구된 요철부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고정볼트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동차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부품수를 절감하여 작업능률향상과 제작코스트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스티어링 컬럼의 일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1)의 외파이프(2)에 고정브라켓트(3)을 용접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의 양측에는 마운팅 브라켓트(4)를 틸팅가능한 상태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4)의 양측 고정편(5)에는 고정공(6)을 엠보하여 돌출턱(7)을 형성하되 고정공(6)의 일측을 개구하여 양측에 요철부(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요철부(8)의 개구는 고정공(6)보다 다소 좁은 형태로 개구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0은 마운팅 브라켓트(4)를 차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은 외파이프(2)에 고정 브라켓트(3)를 용접고정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트(3)의 양측에 마운팅 브라켓트(4)를 틸팅되는 상태로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4) 양측 고정편(5)에 형성된 고정공(6)을 이용하여 고정볼트(10)로 견고히 고정한다.
이와같이 고정설치한 스티어링 컬럼(1)은 자동차의 진행방향 조향 및 운전자의 체형 및 습관에 알맞게 틸팅하여 사용하다가 자동차의 주행중 충격에너지가 조향핸들에 전달되면 운전자는 조향핸들을 충격에너지 전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서 마운팅 브라켓트(4) 양측의 고정편(5)에 고정된 고정볼트(10)가 고정공(6)을 이탈하면서 마운팅 브라켓트(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진행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 고정볼트(10)의 외경은 개구된 요철부(8)와 마찰되면서 진행함에 따라 요철부(8)가 약간 휘는 상태로 진행하여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4)의 고정편(5)에 형성된 고정공(6)에 엠보된 돌출턱(7)에 의해 고정볼트(10)가 초기에 빠져나올때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운팅 브라켓트, 양측의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공에 돌철부를 엠보형성하되, 고정공의 일측은 개구하여 양측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고정공에 끼워 고정된 고정볼트가 자동차의 충돌시 양측의 요철부와의 마찰력으로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래와 같은 캡슐등이 필요치 않아 부품수 및 작업공정을 절감하여 제작코스트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의 외파이프(2)에 고정브라켓트(3)를 용접고정하고 고정브라켓트(3)의 양측에는 마운팅 브라켓트(4)를 틸팅가능한 상태로 고정설치한 후 차체에 고정하여 조향 및 틸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4)의 고정편(5)에는 고정공(6)을 엠보하여 돌출턱(7)을 형성하고, 고정공(6)의 일측에는 양측에 요철부(8)를 형성한 개구부를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진행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공(6)의 지름이 양측에 요철부(8)가 형성된 개구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19950046056U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0126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56U KR0126668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56U KR0126668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65U KR970036765U (ko) 1997-07-26
KR0126668Y1 true KR0126668Y1 (ko) 1998-10-15

Family

ID=1943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056U KR0126668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6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590B1 (ko) * 2007-02-09 2008-07-28 주식회사 만도 와이어 캡슐을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65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50943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0126668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03493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74728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KR97000433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998003249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0128037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 구조
KR200235186Y1 (ko) 자동차프론트필러어퍼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20140104729A (ko) 충격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KR20017233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292253B1 (ko) 에어백하우징의충격흡수구조
KR200148303Y1 (ko) 자동차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KR200304915Y1 (ko) 차량용스티어링칼럼의충격에너지흡수플레이트
KR970004330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Tilt)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25498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456940B1 (ko) 저속 충돌 및 보행자 보호를 위한 크래쉬 박스 적용구조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970040917A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622497B1 (ko) 조향 칼럼의 하부 장착구조
KR100280661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200218591Y1 (ko) 고정브래킷 일체형 전기자동차용 업소버
KR100241715B1 (ko) 하부 조향컬럼의 마운팅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