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95B1 -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 Google Patents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95B1
KR0126295B1 KR1019920015465A KR920015465A KR0126295B1 KR 0126295 B1 KR0126295 B1 KR 0126295B1 KR 1019920015465 A KR1019920015465 A KR 1019920015465A KR 920015465 A KR920015465 A KR 920015465A KR 0126295 B1 KR0126295 B1 KR 012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aw material
web
roller
web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69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따
Original Assignee
시바 야스히라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꾜오 기까이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야스히라,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꾜오 기까이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시바 야스히라
Publication of KR93000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65H23/02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rollers
    • B65H23/025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rollers with a bow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1/00Printing
    • Y10S101/42Means for tensioning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resse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목적) 인쇄유니트를 겹쳐 쌓아서 인쇄하는 다색인쇄용 윤전기에 있어서의 인쇄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한다.
(구성) 주행하는 원료지(W)에 폭을 넓히는 힘을 부여하는 폭신장수단(1,2)과, 폭신장수단(1,2)을 통과한 원료지(W)가 통과하는 위치에 차례로 배설된 2이상의 인쇄부(P)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인쇄용 평판 유전 인쇄기.

Description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본 발명은 평판 윤전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말하면, 2이상의 인쇄부를 가지며, 이들 인쇄부를 차례로 연속하여 통과하는 웨브원료지에 그들 인쇄부가 차례로 연속하여 인쇄를 하도록한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는 예컨대 종래의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의 개략 정면을 도시한 제7도의 판통(PC)과 블랭킷통(BC)의 조합을 2조, 각각의 블랭킷통(BC)을 압접가능하게 상하에 배설하여 인쇄부(P)를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에서는 인쇄부(P)를 4개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웨브원료지(W)를 대략 수평으로 주행시켜, 압접시킨 블랭킷통(BC,BC)사이를 차례로 통과시켜 웨브원료지(W)의 양면에 인쇄하는 것이다. 또하나는 다른 종래의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를 도시한 제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은 판통(PC)과 블랭킷통(BC)의 조합을 4조, 각각의 블랭킷통(BC)을 공통압통(IC)의 주위에 공통압통(IC)에 대하여 압접가능하게 배설하여 각각 인쇄부(P)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에서는 웨브원료지(W)를 공통압통(IC)의 둘레면에 돌게하여, 공통압통(IC)의 회전에 따라 공통압통(IC)과 이것에 압접한 각 블랭킷통(BC)과의 사이를 차례로 통과시켜 웨브원료지(W)의 한면에 인쇄한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예를 들면 신문인쇄의 다색화가 진행되게 되어, 다면 다색 그리고 대량 인쇄를 한정된 설치공간내에서 실시하려는 요구가 커졌고, 또한 다른 종래의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를 도시한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판통(PC)과 블랭킷통(BC)의 조합을 2조, 각각의 블랭킷통(BC)을 압접 가능하게 좌우로 배설하여 인쇄3부(P)로 하고, 이 인쇄부(P)를 4개 겹쳐 설치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의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에서는 웨브원료지(W)를 대략 수직으로 주행시켜, 압접된 블랭킷통(BC,BC)사이를 차례로 통과시켜 웨브원료지(W)의 양면에 인쇄하는 것이다(예컨대, INCA-FIEJ Research Association 발행의 IFRA Newspaper Techniques English Edition 1988. APRIL의 64면 내지 73면 참조).
그런데, 웨브원료지는 일반적으로 두들겨 분해처리한 펄프섬유를 수중에 분사시킨후, 탈수, 건조시켜 섬유를 수소결합에 의해 서로 접착한 것이다. 그리고, 펄프섬유가 흡습 내지 흡수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1% 미만정도, 직경방향으로 20 내지 30% 정도로 치수가 변화하므로, 웨브원료지는 흡습 내지 흡수에 의하여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며, 특히 웨브원료지에서는 기계처리에 의하여 많은 섬유가 웨브원료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폭방향으로 크게 확대된다.
그 때문에, 평판인쇄 특히 축임물(damping water)을 사용하는 평판인쇄에서는 웨브원료지는 인쇄부를 통과할때에 구획선이 인쇄됨과 동시에 물이 묻어서 확대되며, 거기에 인쇄된 구획선도 확대에 따라 변형한다. 따라서, 축임물을 사용하는 2이상의 평판인쇄물에 의하여 동일 웨브원료지에 차례로 연속하여 구획선을 인쇄하는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에서는 최초의 인쇄부에서 인쇄된 구획선과 두번째 이후의 인쇄부에서 인쇄된 구획선이 합치되지 않아, 품질이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축임물을 사용하는 2이상의 평판인쇄부에 의하여 동일 웨브원료지에 차례로 연속하여 구획선을 인쇄하는 경우에도 흡습 내지 흡수에 의하여 생기는 웨브원료지의 확대에 기인하는 인쇄 구획선의 어긋남을 없애어 각 인쇄부에서 인쇄되는 구획선이 잘 합치된 품질이 양호한 인쇄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주행하는 원료지에 폭을 넓히는 부여하는 폭신장수단과, 폭신장수단을 통과한 원료지가 통과하는 위치에 차례로 배설된 2이상의 인쇄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 및 주행하는 원료지에 폭을 넓히는 힘을 부여하는 폭신장수단과, 폭신장수단을 통과한 원료지가 통과하는 위치에 차례로 배설된 축임물을 공급하여 인쇄하는 2이상의 인쇄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신축수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익스팬더 로울러가 웨지원료지에 부여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도는 익스팬더 로울러의 축의 설치위상과 웨브원료지의 접촉각도 및 접촉위치의 변화도,
제5도는 익스팬더 로울러의 축의 설치위상과 웨브원료지의 접촉각도 및 접촉위치의 변화도,
제6도는 익스팬더 로울러의 축의 설치위상과 웨브원료지의 접촉각도 및 접촉위치의 변화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종래예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크라운 로울러(폭신장 수단)2 : 익스팬더 로울러(폭신장 수단)
11 : 역크라운 로울러 중앙부12 : 역크라운 로울러단부
13 : 역크라운 로울러가 웨브원료지에 부여하는 힘
21 : 익스팬더 로울러의 만곡한 축22 : 익스팬더 로울러의 축선원호
23,24 : 익스팬더 로울러가 웨브원료지에 부여하는 힘
θ : 익스팬더 로울러와 웨브원료지의 접촉각도
A : 익스팬더 로울러와 웨브원료지의 접촉위치
P,P1,P2,P3,P4 : 인쇄부PC : 판통(版胴)
BC : 블랭킷통IC : 압통(壓胴)(공통압통)
IN : 잉크공급부DP : 축임물 공급부
W : 웨브원료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폭신장 수단은 인쇄부를 향하여 주행하는 웨브원료지에 대하여, 웨브원료지가 거기를 통과할때에 폭을 넓히는 힘을 부여한다. 이 힘의 부여에 의하여 웨브원료지는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탄성변형된 웨브원료지는 폭신장수단을 통과한 후, 폭을 복귀하면서 주행하여, 완전히 복귀되기 전에 최초의 인쇄부에 도달한다. 최초의 인쇄부는 거기를 통과하는 웨브원료지에 대하여 최초의 구획선을 인쇄한다. 이때, 인쇄부가 웨브원료지에 대하여 구획선과 인쇄와 함께 축임물을 부여한다.
웨브원료지는 최초의 인쇄부에서 인쇄된 후, 흡수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주행하나, 폭을 넓히는 탄성변형이 완전히 복귀되어 있지 않으므로, 최초의 인쇄부를 통과한 후에도 게속 폭을 좁히면서 주행된다. 즉, 최초의 인쇄부를 통과한 웨브원료지는 폭방향에서 흡수에 의한 확대와 탄성변형의 복귀가 상쇄되어 안정된다. 따라서, 인쇄된 구획선은 거의 변형하지 않는다.
두번째 이후의 인쇄부는 흡수에 의한 폭방향의 확대가 안정된 상태로 통과하는 웨브원료지에 대하여 차례로 두번째 이후의 구획선을 먼저 인쇄된 구획선과 맞춘상태로 인쇄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0도에 도시한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와 똑같이 판통(PC)과 블랭킷통(BC)의 조합을 2조, 각각의 블랭킷통(BC)을 압전가능하게 좌우로 배설하여 인쇄부(P1,P2,P3,P4)로 하고, 이들 인쇄부(P1,P2,P3,P4)를 겹쳐 설치한다. 또한, 웨브원료지(W)의 주행방향에서 상기 겹친 인쇄부(P1,P2,P3,P4) 보다도 상류쪽의 위칭 폭신장(1,2)을 설치한다.
제1도에 도시한 폭신장수단(1,2)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원료지(W)의 한쪽면 둘레면이 접촉하도록 설치한 역 크라운 로울러(1)와, 만족된 축(21)의 둘레에 회전함과 동시에, 볼록측 둘레면을 웨브원료지(W)의 역 크라운 로울러에 접촉하는 면의 다른쪽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 소위 익스팬더 로울러(2)로 이루어진다.
익스팬더 로울러(2)는 만곡된 축(21)의 설치위상을 변경함으로써 웨브원료지(W)와의 접촉각도(θ) 및 접촉위치(A)(제4,5,6도)를 변경할 수 있어서, 접촉각도(θ) 및 접촉위치(A)를 변경함으로써 웨브원료지(W)에 부여하는 웨브원료지(W)를 폭방향으로 넓히는 힘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중 IN은 잉크 공급부, DP는 축임물 공급부를 도시한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웨브원료지(W)를 폭신장수단(1,2)을 경유하는 웨브원료지(W)의 주행경로에 종이를 통하게 하고, 이어서 인쇄부(P1,P2,P3,P4)를 차례로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종이를 통하게 된다. 그리고, 윤전인쇄기를 시동하여 웨브원료지(W)를 주행시킴과 동시에 각 인쇄부(P1,P2,P3,P4)를 인쇄 작동시킨다.
윤전인쇄기의 작동에 의하여 주행하는 웨브원료지(W)는 역크라운 로울러(1)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역크라운 로울러(1)의 형상에 의하여 생기는 로울러 중앙부(11)와 로울러 단부(12)의 둘레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폭을 넓히는 힘(13)이 부여되어 폭방향으로 넓혀져 탄성변형된다. 또한, 웨브원료지(W)는 익스팬더 로울러(2)의 볼록측 둘레면의 차이, 즉 익스팬더 로울러(2)가 둘레면에 접촉하는 웨브원료지(W)를 익스팬더 로울러(2)의 축선인 원호(2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진행시키도록 하는 힘(23)에 의하여 폭을 넓히는 힘(24)이 부여되어 충분히 폭방향으로 넓혀져서 탄성변형된다.
충분히 폭방향으로 넓혀져서 탄성변형된 웨브원료지(W)는 익스팬더 로울러(2)를 통과하여 인쇄부(P1)에 이르는 동안에 탄성변형된 폭을 서서히 복귀시킨다. 웨브원료지(W)의 탄성변형이 완전히 복귀되기 전에 인쇄부(P1)에 이르러 첫 번째의 구획선이 인쇄됨과 동시에, 판면의 비구획선부로부터 블랭킷통(BC)의 블랭킷면을 통하여 축임물이 부여된다. 축임물이 부여된 웨브원료지(W)는 섬유가 흡수함으로써 폭방향으로 확대하면서 인쇄부 P1으로부터 인쇄부 P2를 향하여 주행하는 한편, 이 주행중에 복귀되어 있지 않는 폭방향의 탄성변형이 복귀된다. 그 결과, 웨브원료지(W)는 흡수에 의한 폭방향의 확대와 폭방향의 탄성변형의 복귀가 상쇄된 후, 폭치수가 안정된다.
즉, 폭신장수단(1,2)에 의한 웨브원료지(W)의 폭방향으로의 신장을 적정하게 정함으로써 인쇄부 P1으로부터 인쇄부 P2를 향하여 주행하는 웨브원료지(W)의 폭을 인쇄부 P1에서 인쇄를 하였을 때의 폭상태로 안정시킬 수 있다.
흡수에 의한 폭방향의 확대는 최초의 흡수에 의하여 크게 확대되나, 2회째 이후의 흡수에서는 거의 확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부 P1를 통과한 후, 차례로 인쇄부 P2 내지 인쇄부 P4를 주행통과하는 웨브원료지(W)에는 인쇄부 P2 내지 인쇄부 P4에 의하여 두번째 내지 네번째의 구획선이 먼저 인쇄된 구획선과 합치한 상태로 인쇄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 기재된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폭신장 수단은 다른 기구에 의하여도 좋고, 그 설치수도 적절히 정하여도 좋다. 요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설계상의 개변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축임물을 사용하는 2이상의 평판 인쇄부에 의하여 동일 웨브원료지에 차례로 연속하여 인쇄하는 경우라도, 첫번째의 평판 인쇄부에 달하기 전에 웨브원료지를 폭방향으로 넓혀서 탄성 변형을 주고, 그 변형이 완전히 복귀되기전에 첫번째의 구획선 인쇄와 함께 축임물을 부여하여, 탄성변형이 복귀흡수에 의한 확대를 상쇄함으로써 웨브원료지를 첫번째의 인쇄를 하였을때의 폭으로 치수적으로 안정된 후에 두번째 이후의 인쇄를 하므로, 인쇄주행중에 첫번째의 인쇄부에서 인쇄와 동시에 흡수함으로써 생기는 웨브원료지의 확대에 기인하는 첫번째의 인쇄구획선과 그 이후의 인쇄구획선의 어긋남을 없앨 수가 있다. 따라서, 품질이 양호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웨브원료지의 주행상류측에 웨브원료지의 한쪽면과 접촉하는 역 크라운 로울러와, 만곡한 축선주위에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역 크라운 로울러의 하류측 근방에서 웨브원료지의 다른 한쪽면과 볼록측 둘레면이 접촉하고, 또한 만곡한 축선의 설치위치가 변경가능한 만곡로울러로 되어 있는 폭신장수단과, 폭신장수단을 통과한 원료지가 통과하는 위치에 차례로 배설된 2 내지 6의 인쇄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
  2. 웨브원료지의 주행상류측에서 웨브원료지의 한쪽면과 접촉하는 역 크라운 로울러와, 만곡한 축선주위에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역 크라운 로울러의 하류측 근방에서 웨브원료지의 다른 한쪽면과 볼록측 둘레면이 접촉하고, 또한 만곡한 축선의 설치위치가 변경가능한 만곡로울러로 되어 있는 폭신장수단과, 폭신장수단을 통과한 원료지가 통과하는 위치에 차례로 배설된 축임물을 공급하여 인쇄하는 2 내지 6의 인쇄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인쇄기.
KR1019920015465A 1991-11-15 1992-08-27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KR0126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8077A JPH0825261B2 (ja) 1991-11-15 1991-11-15 多色刷用平版輪転印刷機
JP91-328077 1991-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69A KR930009769A (ko) 1993-06-21
KR0126295B1 true KR0126295B1 (ko) 1997-12-24

Family

ID=1820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65A KR0126295B1 (ko) 1991-11-15 1992-08-27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85726A (ko)
JP (1) JPH0825261B2 (ko)
KR (1) KR0126295B1 (ko)
CA (1) CA2082378C (ko)
CH (1) CH686077A5 (ko)
DE (1) DE422423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905B2 (ja) * 1993-03-19 1999-11-02 株式会社 東京機械製作所 ウェブ料紙の調幅装置
US6105498A (en) * 1993-12-21 2000-08-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arying profile cylinder blanket
DE29501373U1 (de) * 1995-01-30 1995-04-27 Roland Man Druckmasch Vorrichtung zur Korrektur des Fan-Out-Effekts an Rollenrotationsdruckmaschinen
DE19548819B4 (de) * 1995-12-27 2004-01-29 Koenig & Bauer Ag Druckwerk
CA2214486C (en) * 1996-09-04 2006-06-06 Consolidated Pap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web-fluting in heat-set, web-offset printing presses
US6186064B1 (en) * 1998-05-22 2001-02-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Web fed rotary printing press with movable printing units
DE19960649B4 (de) * 1999-12-16 2011-06-22 Goss Contiweb B.V. Vorrichtung zur Korrektur der lateralen Position einer Bedruckstoffbahn in einer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US6554223B1 (en) * 2000-04-04 2003-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igning a web
KR100501958B1 (ko) * 2002-11-13 2005-07-20 조충 4색 양면인쇄용 윤전기
DE10335758C5 (de) * 2003-08-05 2015-12-03 Manroland Web Systems Gmbh Verfahren und Druckwerk zur Beeinflussung der lateralen Bahnspreizung insbesondere an Rotationsdruckmaschinen
DE10340569A1 (de) * 2003-09-01 2005-04-07 Koenig & Bauer Ag Verfahren zur Reduktion von Passerfehlern auf einer in einer bahnverarbeitenden Vorrichtung und ein Druckwerk
DE102008043767A1 (de) * 2008-11-14 2010-06-02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Dru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einer durch die Druckmaschine geführten Bahn
US20140102326A1 (en) * 2012-10-12 2014-04-17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Printing press including bowed axis rollers and method of printing
DE102013017797A1 (de) 2013-10-25 2015-04-30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icherheitselementes
US9573784B2 (en) 2013-12-16 2017-02-21 Eastman Kodak Company Transport using peaked web guide and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857A (en) * 1980-06-24 1982-06-22 Newell Research Corporation Web aligning system
US4404906A (en) 1981-05-18 1983-09-20 Curran Thomas F System for controlling fan-out in a web offset press
JP2602488B2 (ja) * 1989-05-30 1997-04-23 株式会社 東京機械製作所 両面多色印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24236C2 (de) 1999-07-01
CH686077A5 (de) 1995-12-29
JPH0825261B2 (ja) 1996-03-13
CA2082378A1 (en) 1993-05-19
DE4224236A1 (de) 1993-05-19
JPH05138850A (ja) 1993-06-08
KR930009769A (ko) 1993-06-21
US5285726A (en) 1994-02-15
CA2082378C (en) 200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95B1 (ko) 다색인쇄용 평판 윤전 인쇄기
US4794856A (en) Combined rotary multicolor perfecting press
US5611275A (en) Width adjusting device and method for a paper web
US20070157831A1 (en) Methods for the compensation of a transverse elongation and/or longitudinal elongation of a printing material and printing press with several printing couples generating at least one printed image on a printing material
JP3246557B2 (ja) ウエブ輪転印刷機におけるファンアウト作用を修正するための装置
JP2927782B1 (ja) 紙しわ防止装置
KR930009770A (ko) 다색(多色)인쇄기
US5524538A (en) Sheet-fed rotary offset printing machine with a plurality of printing units in series configuration
US5383393A (en) Multicolor lithographic rotary press
US5388513A (en) Offset rotary for color printing system
US7240614B2 (en) Method for influencing lateral web spreading in a printing unit in a rotary printing press
JP2889057B2 (ja) ウェブ料紙調幅装置及びウェブ料紙調幅方法及びウェブ料紙調幅装置を有する平版輪転印刷機
US6705219B2 (en) Rotary offset printing unit with rubber blanket belt and offset printing method
CN111439023A (zh) 用于印刷宽度补偿的装置及方法
EP0807521B1 (en) Method for mounting a blanket for a rotary press
JPH07186374A (ja) 多色刷平版印刷機
US20060230955A1 (en) Printing unit of a web-fed rotary press
JP3995753B2 (ja) 枚葉紙輪転印刷機の枚葉紙渡し装置
JPH06182962A (ja) ウエッブ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におけるウエッブ送り停止機構
JPS63159053A (ja) 多色印刷装置
US8096238B2 (en) Satellite printing unit of a web-fed printing press
JP2008290422A (ja) 新聞用多色刷り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
JP2016203506A (ja) タワー型印刷装置及び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
JP3611254B2 (ja) 多色刷輪転機の幅見当修正装置
GB2100672A (en) Prin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