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478B1 -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478B1
KR0125478B1 KR1019940029363A KR19940029363A KR0125478B1 KR 0125478 B1 KR0125478 B1 KR 0125478B1 KR 1019940029363 A KR1019940029363 A KR 1019940029363A KR 19940029363 A KR19940029363 A KR 19940029363A KR 0125478 B1 KR0125478 B1 KR 012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portable device
unique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093A (ko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478B1/ko
Priority to GB9522812A priority patent/GB2298552B/en
Priority to CN95121531A priority patent/CN1064807C/zh
Publication of KR96002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 적어도 둘 이상의 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기의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호자가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를 직접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에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무선전화시스템의 고정장치에 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장치는 모든 휴대장치로 벨 구동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대방이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가(사람이) 아닌 경우 호전환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대방이 멀티휴대장치중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멀티휴대장치들 각각의 휴대장치들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외부의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부가적으로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다이얼링하게 하므로써 모든 휴대장치에 벨이 울리는 것이 아니라 외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의 벨만 구동토록 하여 각 휴대장치들이 개별적으로 호수신이 가능토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무선전화기, 멀티휴대장치의 개별호출장치.

Description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제1도는 멀티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의 개괄적 구성도.
제2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무선전화시스템의 고정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호(Call) 수신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호발신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휴대장치(이하 멀티휴대장치라 함)와 하나의 고정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시스템의 호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발신자의 선택행위에 대응된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전화시스템은 이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나의 고정장치에 하나 이상의 휴대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가고 있다. 즉, 다수의 휴대장치가 하나의 고정장치를 공유하여 국선의 통화를 배타적으로 행하거나, 상호간의 내부통화(intercom)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있다. 즉, 제 1 도와 같이 멀티휴대장치로 되어 있다.
제 1 도는 멀티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의 개괄적 구성도이다.
상기 제 1 도와 같이 멀티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의 고정장치(20)에 링신호(Ring singnal)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장치(20)는 각각의 휴대장치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휴대장치에 대하여 벨(Bell)이 울리도록 착신정보를 무선으로 전파한다. 즉, 상기 고정장치(20)는 국선을 통하여 링신호가 인입되면, 1번, 2번, m번, n번, n+1번 휴대장치(21~25)들 각각으로 착신정보를 무선채널의 주파수 신호로서 송출한다. 이때 상기 모든 휴대장치들(21~25)은 상기 고정장치(20)로부터 송출되는 착신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휴대장치에 각각 설치된 벨을 구동하여 전화가 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와 같이 모든 휴대장치들의 벨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들(21~25)간의 통화로는 가장 먼저 응답한 휴대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외부의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자가 m번 휴대장치(24)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n번 휴대장치(23)가 착신에 가장 먼저 응답하였다면, 외부 발신자의 요구에 의해 착신호를 m번 휴대장치(24)로의 호전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호전환이 요구되는 경우, n번 휴대장치(23)는 현재의 착신호를 m번 휴대장치(24)로 호전환한다는 호전환 정보를 고정장치(20)로 전송하여야 한다.
상기 n번 휴대장치(23)로부터 전송되는 호전환 정보를 수신한 고정장치(20)는 상기 호전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m번 휴대장치(24)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m번 휴대장치(24)가 고정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신호에 의해 응답하면, 상기 고정장치(20)는 n번 휴대장치(23)와의 통화로를 차단하고 m번 휴대장치(24)와의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n번 휴대장치(23)에서 m번 휴대장치(24)로의 호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 1 도와 같이 구성된 멀티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시스템에서의 호전환은 착신호에 제일 먼저 응답한 사용자의 행위(예를들면, 호전환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의 조작행위)에 의해 착신호가 전환되어짐으로써 외부의 발신자의 대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멀티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착신호가 수신시 상기와 같은 호전환 과정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게 되어 업무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시스템에서 외부의 발신자가 다수의 휴대장치중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선택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호출에 개별적으로 호출되는 멀티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에서 착신호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상태의 음성메세지를 상대방으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멀티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시스템에서 각 휴대장치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외부 발신자가 임의의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휴대장치들 중에 입력되는 자신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휴대장치만이 호수신이 가능토록 하며, 고정장치의 음성안내부를 통하여 휴대장치의 고유번호 및 기타의 음성메세지를 외부 발신자에게 안내하게 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리에 의하면 멀티휴대장치들 각각의 휴대장치들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외부의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부가적으로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다이얼링하게 하므로써 모든 휴대장치에 벨이 울리는 것이 아니라 외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의 벨만 구동토록 하여 각 휴대장치들이 개별적으로 호수신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발신자의 호출에 자동으로 응답하여 멀티휴대장치 각각의 호출번호를 안내하는 음성안내 메세지를 상기 발신자로 송출하여 발신자로 하여금 통화상대방의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인식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안내 메세지의 송출은 음성안내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음성안내장치에 저장된 음성 메세지의 내용은 사용자가 필요시 임의의 저장/수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무선전화시스템의 고정장치(20)의 블럭도로서, 국선(1)으로부터의 링신호를 검출하며 응답신호에 의해 상기 국선(1)과의 통화로를 접속하는 국선 접속부(2)와, 소정의 제어에 의해 자동응답 메세지 및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알려주기 위한 안내 메세지를 녹음/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 음성 재생/저장부(8)와, 상기 안내 메세지와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성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국선 접속부(2)에 접속하는 안내/통화 선택부(3)와, 상기 국선 접속부(2)에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 발신자가 전화번호 다이얼링 이후에 부가적으로 휴대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이얼링하므로서 인입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탈 데이터로 출력하는 식별번호 검출부(4)와,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국선 접속부(2)로부터의 신호를 변조하는 송신부(5)와, 수신제어신호에 의해 변조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안내/통화 선택부(3)로 공급하는 수신부(7)와, 상기 송신부(5)와 수신부(7)를 분리하여 안테나(11)에 접속시켜주는 송수신 분리부(9) 및 상기 각 회로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중, 중앙처리부(6)는 통신가능한 휴대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의 정보 이외에도 각 휴대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제 3 도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의 블럭도로서, 제 1 도에 도시된 멀티휴대장치중 하나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도에 다수의 휴대장치들(21~25)은 모두 제 3 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의 구성은, 음성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2), 전기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는 스피커(14)와, 송신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1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5)와, 제어신호의 입력에 수신되는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스피커(14)에 입력시키는 수신부(17)와, 송수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수신을 분리하여 안테나(19)와 상기 송신부(15), 수신부(17)에 정합하는 송수신 분리부(18) 및 휴대장치의 각종 제어를 실행하는 중앙처리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장치는 통상의 휴대장치와 같이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제 2 도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고정장치(20)로 상기 분석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호(Call) 수신시의 제어 흐름도이고,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호 발신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멀티휴대장치를 갖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착신호가 인입시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하는 동작과정과, 다수의 휴대장치들(21~25)이 하나의 고정장치(20)를 이용하여 발호하는 발호과정을 상기 제 1 도 내지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 2 도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20)가 동작되면, 고정장치(20)내의 중앙처리부(6)는 제 4 도의 31과정의 대기 모드에서 소정의 주기로 국선 접속부(2)로부터 링검출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 3 도와 같이 구성된 각 휴대장치들(21~25)은 제 4 도의 46과정은 같은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발호자가 제 1 도와 같이 다수의 휴대장치, 즉, 멀티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시스템의 임의의 휴대장치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고자 하여 무선전화시스템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제 4 도의 26과정), 공중전화통신망의 교환장치(도시하지 않았음)는 국선(1)을 통하여 제 2 도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20)내의 국선 접속부(2)로 링신호(Ring siganl)를 송출한다.
상기 국선 접속부(2)는 국선(1)으로부터의 링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부(6)에 입력시킨다. 이때 대기상태에 있는 고정장치(20)내의 중앙처리부(6)는 제 4 도의 32과정에서 링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6)는 33과정에서 각 휴대장치들(21~25)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여된 고유번호를 외부의 호 발신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음성안내 제어신호를 안내 음성 저장/재생부(8)로 출력함과 동시에 안내/통화 선택부(3)로 안내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부(6)로부터 음성안내 제어신호를 입력한 안내 음성 저장/재생부(8)는 저장된 각 휴대장치들(21~25)의 고유번호의 음성신호를 안내/통화 선택부(3)로 출력한다. 상기 안내/통화선택부(3)는 상기 중앙처리부(6)의 제어에 의해 안내 음성 저장/재생부(8)로부터 출력되는 안내 음성신호를 국선 접속부(2)를 통하여 상대방인 발신자로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외부의 발신자는 고정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휴대장치들(21~25)을 각각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음성신호로서 제 4 도의 27과정에서 청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안내 음성신호는 제 1 도와 같이 구성된 멀티휴대장치의 각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고유의 식별신호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식별신호 검출부(4)의 출력을 소정의 주기로 스캔하여 DTMF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한편, 외부의 발신자가 상기와 같은 안내 음성신호를 청취하는 도중 혹은 청취를 완료한 후에 m번 휴대장치(24)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하여 m번 휴대장치(24)의 고유번호를 DTMF신호로서 제 4 도의 28과정에서 전송하면 이는 통화경로를 통하여 고정장치(20)내의 국선 접속부(2)로 수신된다. 이와 같은 DTMF신호는 전화기의 키패드상에 설치된 텐키를 조작함으로서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국선 접속부(2)로 수신된 외부의 DTMF신호는 식별신호 검출부(4)로 공급된다. 상기 식별신호 검출부(4)의 구성은 통상의 DTMF 디코더 혹은 DTMF 리시버라 불리우는 원칩의 회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식별신호 검출부(4)는 국선 접속부(3)로부터 출력되는 DTMF신호를 4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 검출하여 중앙처리부(6)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6)는 상기 식별신호 검출부(4)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의 디지탈 데이터, 즉, DTMF의 데이터를 제 4 도의 34과정에서 분석하여 착신호를 공급할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6)는 분석된 휴대장치의 고유번호에 근거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하기와 같이 설정된 잠금상태 테이블을 제 4 도의 35과정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장치의 잠금상태라 함은 제 1 도에 도시된 휴대장치들(21~25)과 고정장치(20)간의 통신에 의해 고정장치(20)내의 중앙처리부(6)에 설정 등록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고유번호가 m인 m번 휴대장치(24)의 사용자가 키패드상에 설치된 텐키 혹은 기능키를 조합하여 통화거부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m번 휴대장치(25)는 상기 통화거부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자신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통화거부정보를 고정장치(2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0)내의 중앙처리부(6)는 송수신 분리부(9), 수신부(7)를 통하여 수신되는 통화거부정보를 분석하여 하기 테이블 1과 같이 구성된 잠금상태 테이블의 해당하는 m번 휴대장치의 고유번호의 대응 영영에 잠금상태 플레그를 세트한다. 상기 잠금상태 테이블에 있는 플레그가 세트되면 해당하는 고유번호의 휴대장치는 통화거부상태로 된다. 이러한 잠금상태 테이블의 플레그를 리세트하는 것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테이블 1]
단, 상기 테이블 1에서 플레그가 0이면 통화가능상태이고, 1이면 잠금상태로서 통화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 4 도의 35과정에서 잠금상태 테이블을 검색한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수신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의 잠금상태 플레그가 잠금상태인가를 제 4 도의 36과정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수신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의 잠금상태 플레그가 잠금상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부(6)는 37과정에서 안내 음성 저장/재생부(8)와 안내/통화 선택부(3)를 제어하여 발신자가 선택한 휴대장치가 현재 착신 거부상태임을 알리는 음성 메세지를 국선 접속부(2)를 통하여 상대방인 호출자로 전송하고, 통화를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화거부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착신호를 거부할 수 있으며, 이의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메세지가 상대방으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4 도의 36과정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의 잠금상태 플레그가 0이어서 잠금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38과정에서 임의의 통신가능한 채널을 설정하고, 송수신 분리부(9)와, 수신부(7)를 통하여 상기 설정된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인가를 제 4 도의 37과정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의 채널 설정과정과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를 검색하는 것은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37과정의 검색결과 수신된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면 중앙처리부(6)는 설정된 임의의 채널이 근접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이라고 판단하고 40과정에서 채널을 1 증가하여 수신신호의 전계강도를 재검색한다. 즉, 휴지(idle)의 무선통화 채널이 검색될 때까지 이러한 채널 탐색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재설정된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값이면 상기 중앙처리부(6)는 수신된 휴대장치의 고유번호, 즉, m번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상기 설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파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0)로부터 전파되는 신호는 중앙처리부(6)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5)와 송수신 분리부(9)를 통해 통상의 무선전화기와 같이 전송된다. 상기 제 4 도의 41과정에서 m번 휴대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m번 휴대장치의 고유번호를 송출한 고정장치(20)는 제 4 도의 42과정에서 인식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수신부(7)의 출력으로서 검색한다.
한편, 제 4 도의 46과정과 같이 대기상태에 있었던 제 1 도의 각 휴대장치들(21~25)내의 중앙처리부(16)들 각각은 제 4 도의 47과정에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인가를 제 4 도의 48과정에서 검색한다. 즉, 고정장치(20)로부터 데이타가 전송되는가를 검색한다.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이면 모든 휴대장치들(21~25)의 중앙처리부(16)는 49과정에서 채널을 증가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하고, 수신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고정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한다. 이때 고정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은 제 3 도와 같이 구성된 휴대장치의 송수신 분리부(18), 수신부(17)를 통해 입력되는 것이며, 중앙처리부(16)는 상기 수신부(17)를 통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휴대장치의 수신부(17)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한 중앙처리부(16)는 수신된 데이터신호가 미리 설정된 자신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가를 제 4 도의 50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제 4 도의 50과정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가 자신의 고유번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고정장치(20)가 자신을 호출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전술한 대기모드의 과정부터 반복 동작한다. 그러나, 제 4 도의 50과정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와 자신의 고유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제 4 도의 51과정에서 벨(Bell) 혹은 부저(Buzzer)를 구동하여 착신이 있음을 알리고, 사용자가 응답(통화모드)하면 52과정에서 인식신호를 송신부(15), 송수신 분리부(18) 및 안테나(19)를 통하여 고정장치(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장치들(21~25)의 동작에 의해 제 1 도의 모든 휴대장치가 고정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m번 휴대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수신하더라도 자신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휴대장치만이 고유번호의 수신에 응답하는 인식신호를 출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4 도의 42과정에서 수신부(7)로부터 인식신호가 수신되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통화모드로 천이하여 국선 접속부(2)로부터의 신호를 m번 휴대장치(25)로 중계한다. 즉, m번 휴대장치(25)로부터 송출하는 인식신호를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가 수신하면 외부의 발신자와 m번 휴대장치(25)간의 통화가 제 4 도의 29, 43, 52과정들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통화상태에서 m번 휴대장치(25)의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면, m번 휴대장치(25)의 중앙처리부(16)는 제 4 도의 53과정에서 종료신호를 송신부(15)와 송수신 분리부(18)를 통하여 고정장치(2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0)는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종료신호의 수신(제 4 도의 44과정)에 응답하여 국선 접속부(2)를 훅크 온하므로써 통화를 종료한다. 통화를 종료한 고정장치(20)와 m번 휴대장치(25)는 모드 대기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외부 발신자에 의해 고정장치(20)로 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외부의 발신자는 자동으로 고정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응답 메세지 및 통화가 가능한 휴대장치들(21~25)의 고유번호를 음성으로 청취함을 알 수 있고, 발신자의 선택행위에 의한 휴대장치와 통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대기모드에 있는 휴대장치들(21~25)중 어느 하나의 휴대장치가 외부로 전화를 걸 경우 호발신의 절차는 제 5 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하기와 같다.
제 5 도의 55과정과 같이 대기모드에 있는 임의의 휴대장치, 예를 들면 제 1 도의 m번 휴대장치(24)의 사용자가 호발신 키(도시하지 않았음)를 제 5 도의 56과정에서 선택하여 호를 발신하면, 휴대장치(24)의 중앙처리부(16)는 제 5 도의 57과정에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인가를 검색한다. 여기서 전계강도를 검색하는 이유는 설정된 채널이 이미 사용중인가를 체크하기 위함이다. 상기 58과정에서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59과정에서 채널을 증가시키어 상술한 57과정부터 반복 동작하여 사용중이 아닌 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제 5 도의 58과정에서 미사용중인 채널을 설정한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60과정에서 자신의 고유번호를 고정장치(20)로 무선 전파하여 전송하고, 61과정에서 송수신 분리부(18) 및 수신부(17)를 통하여 인식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색한다.
한편, 제 5 도의 65과정과 같이 대기상태에 있는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제 5 도의 57과정에서 임의의 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상기 설정된 임의의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인가를 검색한다. 여기서 전계강도를 검색하는 이유는 설정된 채널로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체크하기 위함이다. 상기 58과정에서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하이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68과정에서 채널을 증가시키어 상술한 66과정부터 반복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 검색과정에서 수신된 신호의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수신되는 고유번호가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번호중의 하나인가를 검색한다. 이때 수신된 고유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고유번호들 중 하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전술한 65과정으로부터 반복하여 재동작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의 번호중의 하나라고 판단되면 고정장치(20)의 중앙처리부(6)는 70과정에서 인식신호를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고, 통화모드로 들어간다. 즉, 휴대장치의 고유번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국선 접속부(2)를 훅크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장치(20)로부터 전송된 인식신호는 휴대장치의 안테나(19), 송수신 분리부(18), 수신부(17)를 통하여 중앙처리부(16)로 입력된다. 이때 전술한 61과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장치의 중앙처리부(16)는 상기 수신에 의해 인식신호의 수신을 판단하여 62과정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다수의 휴대장치중 자신의 고유번호를 송신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20)간의 통화로가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통화상태에서 휴대장치로부터 통화종료신호가 제 5 도의 63과정에서 고정장치(20)로 전송되면, 고정장치(20)는 제 5 도의 72과정에서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휴대장치와 고정장치(20)간에 형성된 통화로는 차단되며, 다시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휴대장치(21~25)와 고정장치(20)간의 통화로는 고유번호를 송출한 휴대장치만이 고정장치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휴대장치의 각각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응답하여 자동응답 음성 메세지 및 상기 고유의 식별번호를 음성 안내하여 외부의 발신자가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 가능케 함으로써 외부의 호전환을 수동으로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이용의 편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전화라인에 접속된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통화가 가능하며 각각의 고유호출번호를 가지는 적어도 두대 이상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자동응답 메세지 및 휴대장치의 개별호출을 안내하는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는 자동응답과정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하여 수신되는 휴대장치의 고유호출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고유호출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와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채널형성과정과, 상기 분석된 고유호출번호를 상기 형성된 통화채널로 무선전파하고, 상기 무선전파된 개별호출번호에 응답하는 휴대장치와의 무선통화로를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전화라인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과정은,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자동응답 메세지 및 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고유호출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음성안내 메세지 송출과정과,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장치의 고유호출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고유호출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의 잠금상태를 검색하는 잠금상태 검색과정과, 상기 잠금상태 검색과정에서 수신된 고유호출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의 통화상태가 잠금상태라고 판단시에 휴대장치의 통화불가 음성안내 메세지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송하는 잠금상태 무선전화시스템 전송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통화로 형성과정은, 상기 휴대장치들 각각은 임의의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신호의 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전계강도를 초과할시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고유호출번호가 미리 설정된 자신 고유의 개별호출신호와 일치시에만 호출상태를 알리기 위한 벨을 구동하는 벨구동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4. 전화라인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안내음성 메세지를 전송하고, 전화라인으로부터의 고유호출번호를 검출하여 임의의 채널로 무선전파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의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상기 고정장치와의 무선채널을 설정하고 소정 레벨 이상의 전계강도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된 고유호출번호와 미리 설정된 고유의 개별호출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수신된 고유호출번호와 미리 설정된 고유호출번호가 일치시에 응답하여 착신 벨을 구동함과 동시에 인식신호를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고정장치와의 통화료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통화종료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장치로 통화종료신호를 전송하고 대기모드로 천이하는 통화종료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6. 전화라인에 접속된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무선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무선채널을 통하여 자신 고유호출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전화라인으로 발신하는 휴대장치를 적어도 둘 이상 가지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휴대장치와의 무선채널을 설정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계강도 이상인가를 검색하는 수신신호레벨 검색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전계강도 이하의 레벨일때 채널을 증가하여 상기 수신신호레벨 검색과정을 반복하고, 수신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전계강도 이상의 레벨일때 응답하여 다수의 휴대장치의 고유호출번호중의 하나인가를 검색하는 휴대장치 검색과정과, 상기 휴대장치 검색과정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휴대장치의 개별호출신호중의 하나일때 응답하여 인식신호를 상기 형성된 무선채널을 통해 휴대장치로 전송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통화로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시스템의 호 제어방법.
KR1019940029363A 1994-11-09 1994-11-09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KR012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63A KR0125478B1 (ko) 1994-11-09 1994-11-09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GB9522812A GB2298552B (en) 1994-11-09 1995-11-07 Radio telephone system call control
CN95121531A CN1064807C (zh) 1994-11-09 1995-11-09 无线电话系统中分别呼叫多个便携单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63A KR0125478B1 (ko) 1994-11-09 1994-11-09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93A KR960020093A (ko) 1996-06-17
KR0125478B1 true KR0125478B1 (ko) 1997-12-26

Family

ID=1939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363A KR0125478B1 (ko) 1994-11-09 1994-11-09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25478B1 (ko)
CN (1) CN1064807C (ko)
GB (1) GB22985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08B1 (ko) * 2001-06-30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956A (en) * 1996-06-25 1999-05-18 Motorola, Inc. Method for identifying active handset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GB2326310B (en) * 1997-06-11 2002-04-17 Dsc Telecom Lp Establishing a wireless link between a central terminal and a subscriber terminal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267854B1 (ko) * 1997-11-25 2000-10-16 윤종용 무선전화기에서다수의휴대장치호출방법
US6941181B1 (en) * 2000-06-03 2005-09-06 Trevor R Mathurin Voice activated portable audio/video request, play and record system
KR20010090057A (ko) * 2001-08-31 2001-10-18 안명훈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DE102007003196A1 (de) * 2006-01-23 2007-07-26 Abb Patent Gmbh Kommunikationssystem
US9462340B1 (en) 2011-10-13 2016-10-04 Trevor Mathurin Voice/manual activated and integrated audio/video multi-media, multi-interface system
CN105227750A (zh) * 2014-06-30 2016-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话方法、装置及联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693B2 (ja) * 1987-05-15 1996-11-27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US5020094A (en) * 1987-12-23 1991-05-28 Rash Mark S Cordless telephone network
GB2219466B (en) * 1988-06-06 1992-10-07 Plessey Co Plc Reducing power channel acquisit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JPH0271623A (ja) * 1988-09-06 1990-03-12 Seiko Inst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EP0465509A4 (en) * 1989-03-27 1992-05-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informational displays
US5179721A (en) * 1990-11-05 1993-01-12 Motorola Inc. Method for inter operation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unking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08B1 (ko) * 2001-06-30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093A (ko) 1996-06-17
CN1133537A (zh) 1996-10-16
GB9522812D0 (en) 1996-01-10
CN1064807C (zh) 2001-04-18
GB2298552B (en) 1997-06-25
GB2298552A (en) 1996-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6253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rejection
US7120454B1 (en)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es
US5570413A (en)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ning a voice channel with a source telephone without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therewith
DK161236B (da) Fremgangsmaade og anlaeg til overfoersel af telefonsamtaler til et baerbart, traadloest telefonapparat
JP2941963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4897864A (en) Control method and appartus for a radio telephone system
JP2002527961A (ja) 複数の電話番号を用いる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機
KR0125478B1 (ko) 무선전화시스템의 멀티휴대장치의 개별적 호출방법
US7483721B1 (en)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diverse audio signals to indicate receipt of a call or message
US6999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notification of reception limitation status of mobile telephone
JP2692640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における子機間再接続方式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20070037702A (ko) 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방법
KR100186218B1 (ko) 이동무선교환기 시스템의 일제 지령 방법
JPH0661935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10026075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JP4183147B2 (ja) 通信端末、制御方法
KR96000472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예약 방법
JPS62204631A (ja) 不在着呼検出方式
JP3678393B2 (ja) 移動体通信端末の基地局選択処理方式
JPH11313378A (ja) 無線固定端末装置及び発呼側ダイアル番号判別方法
JPH04150425A (ja) 移動局装置
JPH04258029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