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149Y1 -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149Y1
KR0125149Y1 KR2019930029746U KR930029746U KR0125149Y1 KR 0125149 Y1 KR0125149 Y1 KR 0125149Y1 KR 2019930029746 U KR2019930029746 U KR 2019930029746U KR 930029746 U KR930029746 U KR 930029746U KR 0125149 Y1 KR0125149 Y1 KR 0125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ok state
state detection
uni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47U (ko
Inventor
유성종
박일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30029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149Y1/ko
Publication of KR950021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34Codec; PCM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교환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가입자 회선에 상태 변화신호선과 직렬데이타 입력에 필요한 칩선택(chip select)신호선을 공통으로 사용하므로서, 신호선 및 논리게이트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가입자의 후크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와,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의 탐지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에 인가하는 동시에 기본클럭을 출력하는 공통제어부와, 상기 공통제어부의 기본 클럭과 상기 후크상태검출부로부터 가입자 회선 칩선택(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제1도는 종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공통제어부 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도의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코덱/필터부 및 공통제어부 상세도.
제5도는 제3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크상태 검출부 20,50 : 공통 제어부
30,40 : 코덱/필터부 41 : 디코더
51 : 병렬/직렬 변환부 52 : 제어부
본 고안은 전자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회선의 상태 변화 신호선과 직렬데이타 입력에 필요한 칩선택(chip select)신호선을 공통으로 사용토록하여 신호선 및 논리게이트수를 절감 토록한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 제 1 도는 종래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의 블록도로서, 가입자 회선의 후크 온/오프(Hook ON/OFF)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10)와,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의 검출신호(detect :)를 입력받아 가입자의 회선을 선택하기 위한 칩선택신호(chip select :)를 출력하는 공통제어부(20)와, 상기 공통제어부(20)의 칩선택신호를 받아 선택된 가입자 회선을 연결시켜 주는 코덱/필터부(30)로 구성 되었다.
상기에서 공통 제어부(20)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상태 검출부(10)로부터 입력된 후 후크상태 표시신호(0-32)의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변환하여 주는 직렬/병렬 변환부(21)와,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21)의 직렬데이타를 입력받아 후크데이타를 출력하는 동시에 기본 클럭을 출력하고 칩선택신호의 어드레스(A0-A4)를 디코더부(23)로 출력하는 제어처리부(22)와, 상기 제어처리부(22)의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 칩선택병렬 데이터(0-32)를 출력하는 디코더(23)로 이루어 진다.
도면중0-n은 해당 채널의 후크상태 신호로서, 가입자 회로측에서는 출력신호이고,0-n은 해당채널의 칩선택 가능신호로서 가입자 회선수에 비례한 신호들이다.
그리고 EN은 후크상태의 제어신호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제 1 도 내지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크상태 검출부(10)는 공통 제어부(20)에서 얻어지는 하이인에이블(EN)신호를 받아 가입자 회선의 후크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값을 공통 제어부(20)에단자를 통하여 입력 한다.
이때, 공통 제어부(20)에 입력된신호는 병렬 데이터이므로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직렬 변환부(21)에서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어 처리부(22)로 입력 된다.
제어처리부(22)는 기본클럭을 코덱/필터부(30)의 한 입력단에 입력시킴과 아울러 타입력단에는 칩선택에 대한 어드레스를 입력 한다.
여기서 가입자 후크상태를 표시해주는신호의 제어신호인 EN신호는 하이인에이블 신호이다.
즉,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이면신호는 공통제어부(20)로 입력되어 후크상태를 표시해 주게 되며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이면신호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신호의 제어선을 항상 하이로 하여신호에 가입자의 후크상태가 항상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교환기 가입자 회선에서는 각각의 가입자 회선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티티엘(TTL)신호로 공통제어부(20)로 송출하여 주며, 시간 슬롯(slot)지정과 같이 각 회선에 대한 제어를 위한 직렬데이타 입력은 공급되어지는 데이터 클럭에 동기되어 칩선택() 신호에 의하여 각각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후크상태 탐지신호()의 신호 감시 기능과 직렬 데이터 입/출력 동작은 상호 다른 모드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두 기능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자교환기의 후크 상태 탐지선 공유회로는 회선상태 데이터인신호와 제어를 위한신호가 서로 분리되어서 각각 제어되므로 회선수에 비례하는 신호선이 필요하게 되어 가입자 회선이 많은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신호선의 증가로 인하여 회로 구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입자 회선의 상태 변화 신호선과 직렬데이타 입력에 필요한 칩선택(chip select)신호선을 공통으로 사용토록하여 신호선 및 논리게이트수를 절감 토록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후크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와, 후크상태 검출부에서 얻어지는 탐지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후크상태 검출부에 인가함과 동시에 기본클럭을 출력하는 공통제어부와, 공통제어부에서 얻어지는 기본 클럭을 입력받고 후크상태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가입자 회선 칩선택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코덱/필터부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구성도로써, 가입자 회선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10)와,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가입자의 회선을 제어하는 공통제어부(50)와, 상기 공통제어부(50)에서 얻어지는 기본 클럭신호와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에서 공통제어부(50)로 입력되는 침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가입자 회선을 연결시켜주는 코덱/필터부(40)로 구성 되었다.
상기에서 공통제어부(50)는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의 후크상태 탐지 병렬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51)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51)의 직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기본클럭을 출력하는 제어부(52)로 구성 되었다.
그리고, 코덱/필터부(40)는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10)의 가입자 회선 탐지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41)로 구성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크상태 검출은 공통제어부(50)에서 모드 1로 읽어들이기(READ)를 하는 신호로서 회선가입자가 후크오프하면 가입자 회선 탐지신호()는 로우가 된다.
이때, 공통제어부(50)에서는 이 데이터를 읽어가기 위하여 모드 1를 설정함과 동시에 인에이블 신호를 하이로 송출하여 후크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여기서 공통제어부(50)가 후크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시간은 코덱/필터부(40)에 직렬데이타를 써넣기/읽어들이기 하는 시간과 절대로 겹치지 않는다.
또한, 공통제어부(50)에서 코덱/필터부(40)에 데이터를 써넣고 읽어들이기를 하기 위한 모드2와 모드3에서는 제 5 도의 (a)에서와 같이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칩선택신호()를 8클럭동안만 로우신호를 보내어 주며, 클럭신호 또한 칩선택신호()에 맞추어 입력되어 진다.
이는 후크데이타 신호인신호가 로우로 되어 있을 때에도 코덱/필터부(30)의 칩선택신호가 인에이블 되어져 잘못된 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신호의 제어신호인 인에이블 신호 또한 로우를 송출하므로서 후크데이타와 칩선택신호()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오픈 콜렉터 출력신호인신호와신호를 공통으로 사용하므로써 신호선을 감소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한정된 크기의 인쇄회로 기판에 많은 회선을 집적시킬 수 있게 되어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가입자의 후크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와,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의 탐지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후크상태 검출부에 인가하는 동시에 기본클럭을 출력하는 공통제어부와, 상기 공통제어부의 기본 클럭과 상기 후크상태검출부로부터 가입자 회선 칩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필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제어부는 상기 후크상태검출부의 상태탐지병렬신호를 직렬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와, 상기 병렬/직렬변환부의 직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후크상태검출부에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기본클럭을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필터부는 상기 후크상태검출부의 가입자 회선 탐지신호를 복호화하는 2개의 디코더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KR2019930029746U 1993-12-27 1993-12-27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KR0125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746U KR0125149Y1 (ko) 1993-12-27 1993-12-27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746U KR0125149Y1 (ko) 1993-12-27 1993-12-27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47U KR950021947U (ko) 1995-07-28
KR0125149Y1 true KR0125149Y1 (ko) 1997-07-29

Family

ID=4556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746U KR0125149Y1 (ko) 1993-12-27 1993-12-27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1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142B1 (ko) * 1999-12-23 2001-12-12 송문섭 무선가입자 정합 장치의 후크 상태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47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613A (en) Time-domain boundary buffer method and apparatus
KR0125149Y1 (ko) 전자교환기의 후크상태 탐지선 공유회로
CA2328951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200821B1 (ko) 인터럽트신호의 멀티플렉싱회로
US6973025B2 (en) Device for selecting normal circuit in communication system
JP3388033B2 (ja) 表示制御装置
KR100242691B1 (ko) 업/다운 카운터의 카운트제어회로
KR0127155Y1 (ko) Pc 비디오 신호의 자동진단 시스템
US20030172211A1 (en) Dual input/output automatic selection device
JPH07131504A (ja) データ転送装置
JP3045002B2 (ja) 集積回路のモード設定回路
JP3408402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のデータ処理方法
KR100253507B1 (ko) 데이터 공유 버스라인의 공유를 위한 중재장치
JPH1031565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KR100506285B1 (ko) 하나의라인상에연결된두개의디지털전화기를구별하기위한회로및방법
KR910002120Y1 (ko) D플립플롭과 버퍼 겸용회로
SU10720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KR940001721A (ko) 4:3수상기에 16:9의 mac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팬 벡터 인터페이스회로
KR930000483Y1 (ko) 그래픽 보드의 아날로그 고해상도 비데오 신호 및 비데오 그래픽 어레이 신호 출력회로
KR900000112B1 (ko) 키보드의 키 입력 판독 회로
KR960038857A (ko) 다입력 vtr의 출력자동절환장치
JPH06167362A (ja) マスタ・スレーブ切り替え式計測装置
JPH0766307B2 (ja) キー入力回路
JPH02124635A (ja) カウンタ制御回路
JPH03138740A (ja) メモリ切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