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625Y1 -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25Y1
KR0124625Y1 KR2019950040056U KR19950040056U KR0124625Y1 KR 0124625 Y1 KR0124625 Y1 KR 0124625Y1 KR 2019950040056 U KR2019950040056 U KR 2019950040056U KR 19950040056 U KR19950040056 U KR 19950040056U KR 0124625 Y1 KR0124625 Y1 KR 0124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rod
pin
bush
torque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210U (ko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625Y1/ko
Publication of KR970043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10)에 관한 것으로, 토크로드(5)의 내주연에 부착된 부시(1)의 내측으로는 사각형상 관통공(2)을 형성하고, 상기한 토크로드(5)와 결합하는 토크로드 핀(9)의 선단으로는 토크로드(5)의 부시(1)에 형성한 사각형상의 관통공(2)과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의 돌출돌기(6)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토크로드(5)와 토크로드 핀(9)의 결합과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토크로드와 토크로드 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토크로드 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토크로드와 토크로드 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시 2 : 관통공
5 : 토크로드 6 : 돌출돌기
9 : 토크로드 핀
본 고안은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토크로드의 내측에 삽입되는 부시에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한 토크로드와 결합되도록 한 토크로드 핀의 선단으로는 부시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관통공과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의 돌출돌기를 형성하므로써 토크로드와 토크로드 핀의 결합과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로드(torque rod)는 일측이 트러니언 브래킷에 연결되고 선단으로는 종감속기어의 하우징에 부착된 토크로드 핀에 연결되므로써 종감속기어의 회전에 따른 반동에 의해 종감속기어의 하우징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부재로써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토크로드(35)의 내주면 일측과 토크로드 핀(39)의 일측에 키이홈(35A,39A)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한 토크로드(35)의 키이홈(35A)과 토크로드 핀(39)의 키이홈(39A)이 일치되도록 하여 토크로드(35)의 내측으로 토크로드 핀(39)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키이(32)를 압입시키므로써 토크로드(35)와 토크로드 핀(39)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토크로드(35)의 내측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부시(31)를 삽입하므로써 토크로드(35) 및 토크로드 핀(39)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한 부시(31)는 장시간의 경과시 경화에 의해 기능이 급속히 저하되므로써 일정한 기간마다 교체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10)는 강제압입한 키이(31)에 의해 토크로드(35)와 토크로드 핀(39)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써 토크로드(35)와 토크로드 핀(39)을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강제압입한 키이(31)를 탈거해야 하므로 토크로드(35)와 토크로드 핀(39)의 분해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토크로드(35)나 토크로드 핀(39)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으며, 부시(31)의 교체완료 후 토크로드(35)와 토크로드 핀(39)의 재결합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토크로드와 토크로드 핀의 분해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우수한 고정력에 의해 토크로드로부터 토크로드 핀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의 특징은, 토크로드의 내측으로 토크로드 핀을 결합하도록 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토크로드의 내주연에 부착된 부시의 내측으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한 토크로드와 결합하는 토크로드 핀의 선단으로는 토크로드의 부시에 형성한 사각형상의 관통공과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의 돌출돌기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토크로드 핀의 사시도이고, 제3도은 본 고안에 의한 토크로드와 토크로드 핀의 결합상태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토크로드의 결합구조(10)는, 선단 일측이 차량의 후륜에 부착된 트러니언 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토크로드 핀(9)과 일체로 결합되어 종감속기어의 회전에 따른 반동에 의해 종감속기어의 하우징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토크로드(5)의 내주연에 부착된 부시(1)의 내측으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을 형성하고, 상기한 토크로드(5)와 일체로 결합하여 토크로드(5)를 지지하도록 한 토크로드 핀(9)의 선단으로는 토크로드(5)의 부시(1)에 형성한 사각형상의 관통공(2)과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의 돌출돌기(6)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토크로드(5)의 부시(1)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관통공(2)의 측면에는 돌출부(2A)를 형성하고, 상기한 관통공(2)으로 삽입되는 토크로드 핀(9)의 돌출돌기(6)에는 요홈(6A)을 형성하므로써 접촉면적을 넓혀 토크로드(5)와 토크로드 핀(9)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한편,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10)는 통상 구조를 갖는 토크로드와 같이 종감속기어의 회전에 따른 반동에 의해 종감속기어의 하우징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트러니언 브래킷에 연결하고 선단에는 토크로드 핀(9)을 연결하게 되며, 이와같이 토크로드(5)와 토크로드 핀(9)을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토크로드(5)에 부착된 부시(1)의 관통공(2)으로 토크로드(5) 선단의 돌출돌기(6)를 삽입시키고, 상기한 토크로드 핀(9)을 종감속기어의 하우징에 부착시키므로써 간단히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은 각각 트러니언 브래킷과 차동기어의 하우징에 각각 부착되므로써 구조상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은 트러니언 브래킷이나 차동기어의 하우징에 부착된 통상의 상태에서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시(1)의 점검이나 교체를 위해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트러니언 브래킷이나 차동기어의 하우징으로부터 토크로드(5) 또는 토크로드 핀(9)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토크로드 핀(9)을 전방으로 인출하므로써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10)는 넓은 접촉면적에 의해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이 결합되므로써 강한 고정력을 갖게 되는 한편,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된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의 분리시에도 토크로드(5) 및 토크로드 핀(9)의 손상없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인력소모를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높이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토크로드의 내측으로 토크로드 핀을 결합하도록 한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토크로드(5)의 내주연에 부착된 부시(1)의 내측으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을 형성하고, 상기한 토크로드(5)와 결합하는 토크로드 핀(9)의 선단으로는 토크로드(5)의 부시(1)에 형성한 사각형상의 관통공(2)과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의 돌출돌기(6)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KR2019950040056U 1995-12-12 1995-12-12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KR0124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56U KR0124625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56U KR0124625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10U KR970043210U (ko) 1997-07-29
KR0124625Y1 true KR0124625Y1 (ko) 1998-09-15

Family

ID=1943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056U KR0124625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6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1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CR20130013A1 (it) Boccola elastica perfezionata
US4378858A (en) Driven steering shaft assembly
KR0124625Y1 (ko) 차량용 토크로드의 결합구조
JP2787789B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スクリュー連結構造
CN209817715U (zh) 一种电动尾门推杆可拆卸式连接结构
KR0167955B1 (ko) 스티어링너클의 샤프트 결합구조
KR200152188Y1 (ko) 자동차 트림 취부용 클립구조
CN220557171U (zh) 车轮与车轴的连接结构及其宠物玩具
KR100794467B1 (ko) 차량용 프론트 액슬 장치
KR0140277B1 (ko) 대형차량의 토오크 로드 부싱 결합장치
KR0139446Y1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200219190Y1 (ko) 착탈이 용이한 무한궤도 차량용 트랙링크
CN217029871U (zh) 一种齿轮连接结构
KR0166313B1 (ko) 뒷 바퀴 너클암의 부시 연결구조
KR0116888Y1 (ko) 자동차 현가장치 아암의 볼트 결합 구조
KR100239393B1 (ko) 솔라카용 휠의 녹크핀 장착구조
JPH0613002Y2 (ja) 2輪・4輪切換え装置
KR10035306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19990031880U (ko) 고정핀 겸용 와셔
KR200162153Y1 (ko) 수동 변속기용 릴리스 포크 조립 구조
JPS6215546Y2 (ko)
KR19980049037U (ko) 자동차 뒤차축하우징과 디퍼런셜하우징의 결합구조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19990005177U (ko) 착탈용 기어와 샤프트 조립 장치.
KR950005736Y1 (ko) 자동차의 물펌프용 호오스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