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15B1 - 벨트 전동식 작업차 - Google Patents

벨트 전동식 작업차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15B1
KR0124315B1 KR1019930021543A KR930021543A KR0124315B1 KR 0124315 B1 KR0124315 B1 KR 0124315B1 KR 1019930021543 A KR1019930021543 A KR 1019930021543A KR 930021543 A KR930021543 A KR 930021543A KR 0124315 B1 KR0124315 B1 KR 012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elt
pulley
transmission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845A (ko
Inventor
노보루 히가시오
가즈오 후루카와
사토루 다니
다케오 구보시다
히로시 오오츠보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1446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536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45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83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051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8698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츠이 고헤이
Publication of KR94001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엔진(7)의 횡방향 출력축(7A)과, 그 경사진 후방 아래측에 배열설치한 미션케이스(9)의 횡방향 입력축(9A)을 벨트전동장치(8)로 연동연결하고, 상기 엔진(7)의 전단측을 부시형 방진고무(58)를 통하여 프레임(3A)에 횡축심 주위에 상하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 지지 연결하는 동시에 엔진(7)의 후단측을 상하 방향의 방진고무(59)를 통하여 지지하고 있는 작업차의 엔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트전동장치(8)에 부하가 걸려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엔진(7)의 출력축(7A)과 미션케이스(9)의 압력축(9A)사이에 서로 평행한 관계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벨트전동장치(8)가 무부하상태인 상태에 있어서, 뒤부분쪽이 앞부분쪽보다도 설정량만큼만 윗쪽으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또한 상기 횡방향 출력축(7A)의 배설측 횡측부가 그 반대측 횡측부보다도 설정량만큼만 윗쪽으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되는 상태로 상기 엔진(7)을 상기 프레임(3A)에 대하여 부착 지지하고 있는 작업차의 엔진지지구조.

Description

벨트 전동식 작업차
제1도는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벨트전동기구 및 흙받이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벨트전동기구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하면도.
제4도는 이앙기의 앞부분 측면도.
제5도는 엔진부착부의 평면도.
제6도는 엔진부착부의 정면도.
제7도는 벨트전동기구의 변속조작시의 벨트자세와 흙받이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흙받이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전륜과 차축케이스와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10도는 엔진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11도는 엔진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의 검출치와 출력축의 회전위상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프레임 7 : 엔진
7A : 엔진의 출력축 8 : 벨트전동장치
9 : 트랜스미션 케이스 9A : 트랜스미션의 입력축
10 : 구동측 풀리 11 : 종동측 풀리
12 : 전동벨트 13 : 고정 시이브
14 : 가동 시이브 16 : 고정부
17 : 상승캠기구 18 : 조작구
19 : 로드 22 : 진흙받이커버
23 : 긁어내기편 24 : 개구부
58 : 부시형 방진고무 59 : 상하방향의 방지고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벨트전동식 작업차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에서 트랜스미션 케이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가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측 풀리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압력축에 연결된 종동측 풀리와, 상기 구동측 풀리와 상기 종동측 풀리에 걸쳐서 뻗어 설치된 전동벨트로 구성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이 전동벨트의 감기직경이 변경자재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벨트식의 무단변속장치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측 풀리와 상기 종동측 풀리는 각각 축고정된 고정시이브와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시이브를 갖춘 분할 풀리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벨트가 가동시이브와 고정시이브 사이에 감아 걸려 있기 때문에 이 전동 벨트의 장력에 의해서 가동 풀리는 시이브간격(가동시이브와 고정 시이브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가압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압작용에 대항하여 가동시이브를 고정 시이브측으로 슬라이드시켜 풀리간격을 좁게 할때, 인위작용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그 조작이 무거워진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구동기구가 대형화로 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소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고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력이 전동축(엔진의 출력축 또는 트랜스미션의 입력축) 및 상승 캠기구를 통해 가동시이브에 전달될 때 이 상승 캠기구가 가동시이브를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기 때문에 가동시이브의 슬라이드가 종래 보다도 경쾌하게 가능해진다.
더욱이, 청구항4에 기재된 구성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고무 장착부 때문에 불안정한 상태의 엔진측의 가동시이브를 내측(엔진에 가까운 쪽)에 설치하기 때문에 설령 엔진이 진동되어도 무단변속을 제어하는 캠부분의 변동이 이 가동시이브를 바깥측(엔진에서 먼쪽)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적고 안정된 동력전달이 행해진다.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 쪽의 가동시이브에 관해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 배치하는(즉 트랜스미션 케이스에서 가까운 쪽에 시이브를 먼쪽에 가동시이브를 설치하는)것에 문제는 없다.
또, 특히 상기 작업차가 논 작업기인 경우, 논밭으로부터 진흙이 벨트전동장치에 튕겨서 부착되고, 이것이 엔진보닛의 내면에 튕겨져서 달라붙는 등의 결합이 있기 때문에 이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벨트전동장치에 대하여 전동벨트의 아래쪽 이동경로의 아래쪽 개소를 덮도록 설치된 흙받이커버를 설치하고, 다시 흙받이커버에 윗쪽에 향하여 돌출설치된 형상으로 상기 전동벨트의 아래쪽 이동경로 중간의 벨트감기 직경의 변경에 불구하고, 부동의 벨트이동위치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상태로 전동벨트에 부착된 진흙을 긁어 내는 긁어내기 부재를 설치하고, 다시 긁어내기 부재의 배설개소 전동벨트와 이동상부측 개소에 긁어내어진 진흙을 배출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전동기구의 윗쪽 부분은 개방되어 벨트전동기구로부터의 방열이 충분히 행해지는 동시에 긁어내기 부재에 의해 대략 확실하게 전동벨트에 부착된 진흙에 대해서는 배제할 수 있으며, 다시 전동벨트등에 부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그 긁어낸 진흙을 개구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으므로 진흙의 벨트전동기구에의 부착억제가 충분히 이루어지며, 또한 전동벨트로부터 다른 개소에 진흙을 튕겨 붙이는 등의 결함도 해소할 수 있다.
상승된 내용은 청구항2 및 청구항3에서 발휘하는 작용효과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작업차의 1예인 승용형 이앙기의 벨트전동식 작업차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본 발명에 관한 논 작업기의 1예로서의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한쌍의 전륜(1,1)과 후륜(2,2)에 주행가능하게 지지된 주행기체(3)의 뒷부분에 평행 4연 링크기구(4)를 통하여 묘목식부장치(5)를 장착하는 동시에 주행기체(3)의 전후중간부에 탑승좌석(6)을 설치하고, 또한 주행기체(3) 앞부분에 보닛(40)으로 덮인 엔진(7), 벨트전동기구(8), 트랜스미션 케이스(9)를 배치하고 있고, 트랜스미션 케이스(9)로부터의 동력이 전륜(1,1), 후륜(2,2) 및 묘목식부장치(5)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전동기구(8)는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엔진(7)의 출력축(7A)에 설치한 구동측 풀리(10)와 엔진(7)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트랜스미션 케이스(9)의 입력축(9A)에 설치한 종동측 풀리(11)에 걸쳐서 전동벨트(12)를 뻗어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측 풀리(10)와 종동측 풀리(11)는 각각 회전축심방향으로 풀리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분할 풀리식으로 구성하고, 또한 이들 풀리간격을 배반적으로 변경시켜서 무단계로 변속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측 풀리(10)의 풀리간격조절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동측 풀리(11)의 간격조절 구조도 동일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풀리(10)에 있어서의 한쪽의 고정시이브(13)를 출력축(17A)에 대하여 일체회전이 자유롭게 그리고 축심방향으로 위치고정상태로 바깥 끼움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가동시이브(14)를 출력축(7A)에 대하여 교합부(15)를 통한 일체 회전이 자유롭게 그리고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바깥끼움하고, 가동시이브(14)를 이들과 고정부(16)와의 사이에 끼워서 장착한 상승 캠기구(17)에 의해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여 벨트감기 직경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승캠기구(17)는 고정부(16)에 형성된 경사캠면과 가동시이브(14)에 베어링 지지된 조작구(18)로 형성된 경사캠면이 조작구(18)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승하고, 축심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7)측 및 트랜스미션 케이스(9)측 각각의 조작구(18,18)는 로드(19)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또한 전동실린더(20)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조작하여 변속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축 풀리(10)와 종동측풀리(11)의 각 가동시이브(14,14)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벨트감기직경의 배반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중, 21은 전동벨트(12)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풀리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7)은 그 아래면은 연결된 엔진부착베이스(55)가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9)의 앞부분에 연결된 탑재 프레임(3A)에 방진지지되어 있다.
상기 엔진(7)의 방진지지구조는 엔진부착 베이스(55)의 전단측이 축심을 횡방향으로 향한 부시형 방진고무(58)를 통하여 엔진 탑재프레임(3A)에 횡축심 주위에 상하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지지되고, 후단측이 엔진의 중심이 향하도록 내향의 경사자세로 배설된 방진고무(59)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엔진 부착베이스(55) 전단측의 방진구조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부착베이스(55)의 아래면에 연결된 좌우한쌍의 원통형상 브래킷(55A)과, 엔진탑재프레임(3A)에 연결된 좌우한쌍의 브래킷(3B)에 걸쳐서 봉형상의 피봇지지핀(60)을 삽입하고, 그리고 원통형상 브래킷(55A)과 피봇지지핀(60)과의 사이에 부시형 방진고무로서의 고무부시(58)를 안쪽 끼움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착베이스(55)측의 원통형상 브래킷(55A)과 엔진탑재프레임(3A)측의 브래킷(3B)과의 횡방향의 간극을 0.2∼0.3mm정도로 하여 횡방향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엔진부착베이스(55) 후단측의 방진구조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볼트(59A,59A)사이에 고무(59B)를 구워 붙임 고착하여 형성되는 방진고무(59)의 상부측의 볼트(59A)를 엔진 부착베이스(55)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에 하부측의 볼트(59A)를 엔진탑재프레임(3A)측의 브래킷(3C)에 형성된 볼트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전동장치(8)가 무부하상태인 상태에 있어서, 뒷부분쪽이 앞부분쪽보다도 설정량 만큼만 상부측에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또한 상기 엔진의 출력축(7A)의 배설측 횡측부가 그 반대측 횡측부보다도 설정량 만큼만 윗쪽으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되는 상태로, 엔진(7)을 상기 엔진탑프레임(3A)에 대하여 부착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지부착베이스(55) 후단측의 방진고무(59)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 설정하여 엔진(7)의 뒷부분쪽이 앞부분쪽보다도 설정각도만큼 윗쪽으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출력축(7A) 의 배열설치측 횡측부에 있어서, 엔진(7)의 부착부(52C)와 상기 엔진 부착베이스(55)를 이들 사이에 스페이서 부재(61)를 개재시켜서 같이 죄임상태로 볼트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출력축(7A) 즉 출력 풀리(10)가 바깥쪽일수록 약간 윗쪽으로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스페이서 부재(61)는 박판구조의 것임, 부하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적당한 매수를 겹쳐서 끼워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7)과 엔진부착베이스(55)와의 사이에 스페이서 부재(61)를 끼워 장착하는 구조에 대신하여, 엔진(7)이 설정시 경사자세로 되도록 엔진부착베이스(55) 혹은 엔진탑재프레임(3A)을 미리 소정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조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흙받이커버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3)의 기체프레임(3A)에 논밭에서 이 승용형 이앙기가 깔아앉는 일이 있어서 진흙이 전동벨트(12)측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진흙받이커버(2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1도 및 제4도 내지 제6도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할 목적으로 진흙받이커버(22)는 기입되어 있지 않다.
이 진흙받이커버(22)는 판금을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서 전동벨트(12)의 하부측 이동경로의 아래쪽 개소에 그 하부측이동 경로에 따른 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흙받이커버(22)의 윗면에는 상단이 전동벨트(12)의 하부측이동 경로의 전후방향으로의 중간위치(P)에 근접한 상태로 윗쪽에 향하여 전동벨트(12)에 부착된 진흙을 굵어내는 긁어내기 부재로서의 긁어내기편(23)을 돌출설치하도록 진흙받이커버(22)로부터 일으켜 세우고 있다.
또한, 진흙받이커버(22)에는 긁어내기편(23)에 있어서의 전통벨트(12)의 아래측 이동경로의 상부측, 즉 긁어내기편(23)의 후방측에 진흙배출용의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4)는 이 긁어내기편(23)을 일으켜 세울때의 오려내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진흙받이커버(22)는 벨트전동기구(8)의 아래쪽에만 배설되어 있고 윗쪽은 개방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벨트전동기구(8)에서 발열이 있어도 방열되기 쉬운것으로 되는 동시에, 가령 전동벨트(12)에 진흙이 부착하여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동벨트(12)의 상하방향에서의 변위가 거의 없는 상기 중간위치(P)에 근접시킨 긁어내기편(23)에 의해, 그 진흙이 제거된다. 그리고 그 제거된 진흙은 개구부(24)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전륜(1,1)과 차축베이스(25)와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6)을 내장한 차축케이스(25)의 좌우 양단에 킹핀케이스(27)가 대략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킹핀케이스(27)에는 전동축(26)과 베벨기어기구(28)를 통하여 연동연결된 중간축(29)을 베어링(30)으로 아래쪽에의 빠짐을 지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축(29) 하단의 베벨기어(31)에 맞물리고, 또한 전륜(1)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기어(32)를 내장한 요동케이스(33)를 원통형상의 킹핀베이스(27)에 중간축(29)의 축심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바깥끼움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이 요동케이스(33)에 너클아암(34)을 일체로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승용형 이앙기는 엔진부하의 변동에 불구하고 차속을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엔진(7)의 출력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엔진부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7)의 출력축(7A)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5)을 출력축(7A)에 대하여 설치하고 있다.
검출수단(35)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상부재(36)를 용접한 보스(37)를 출력축(7A)에 바깥끼움 고정하고, 출력축(7A)과 소정간격을 두고 자기센서(38)를 배설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7A)의 회전위상에 따라 원주형상부재(36)와 자기센서(38)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 즉 원주형상부재(36)와 자기센서(38)가 가장 접근하는 상태일때 검출피크치가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여도 된다.
(1) 구동측 풀리를 종동측 풀리의 후방측에 위치시킬 것.
(2)파종기, 시비기, 예비수확기등의 논용작업기에 적용할 것.
(3)긁어내기편의 선단이 전동벨트에 맞닿도록 구성할 것.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거나,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엔진(7)에서 상기 엔진(7)의 경사진 후방 아래쪽에 배열 설비된 트랜스미션 케이스(9)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8)가, 상기 엔진(7)의 출력축(7A)에 연결된 구동측 풀리(10)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9)의 입력축(9A)에 연결된 종동측 풀리(11)와, 상기 구동측풀리(10)와 상기 종동측 풀리(11)에 걸쳐서 뻗어 설치된 전동 벨트(12)에서 상기 전동벨트(12)의 감기 직경이 변경 자재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측 풀리(10)와 상기 종동축 풀리(11)가 각각 축고정된 고정시이브(13,13)와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시이브(14,14)를 구비한 벨트전동식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전동벨트(12)의 감기 직경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측 풀리(10)와 상기 종동측 풀리(11)의 가동시이브(14,14)를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상승 캠기구(17,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승 캠기구(17,17)는 고정부(16)에 형성된 경사캠면과 가동 시이브(14,14)에 베어링 지지된 조작구(18,18)로 형성된 경사캠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측 풀리(10)의 조작구(18)와 상기 종동측 풀리(11)의 조작구(18)가 로드(19)에 의해서 연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식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벨트(12)의 아래측 이동경로의 아래측 개소를 덮도록 설치된 진흙받이커버(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식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받이커버(22)에는 상기 전동벨트(12)의 아래측 이동경로 중간의 상기 감기 직경의 변경에 불구하고, 부동의 벨트 이동위치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전동벨트(12)에 부착된 진흙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재(23)가 윗쪽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고, 다시 상기 진흙받이커버(22)상의 상기 긁어내기 부재(23)의 배설개소의 상기 전동벨트(12)의 이동윗쪽 개소에 제거된 진흙을 배출하는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식 작업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7)이 엔진탑재 프레임(3A)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엔진(7)의 상기 출력축(7A)에 연결된 상기 구동측 풀리(10)의 가동시이브(14)를 그 엔진(7)에 가까운 쪽에,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9)의 상기 입력축(9A)에 연결된 상기 종동측 풀리(11)의 가동시이브(14)를 그 미션케이스(9)에서 먼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식 작업차.
KR1019930021543A 1992-11-25 1993-10-16 벨트 전동식 작업차 KR0124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14465 1992-11-25
JP4314465A JPH06153613A (ja) 1992-11-25 1992-11-25 水田作業機の泥土よけ構造
JP92-345657 1992-12-25
JP4345657A JP2758331B2 (ja) 1992-12-25 1992-12-25 作業車のエンジン支持構造
JP93-160510 1993-06-30
JP16051093A JP2786986B2 (ja) 1993-06-30 1993-06-30 作業車のエンジン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45A KR940011845A (ko) 1994-06-22
KR0124315B1 true KR0124315B1 (ko) 1997-11-24

Family

ID=2732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543A KR0124315B1 (ko) 1992-11-25 1993-10-16 벨트 전동식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845A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3531B (zh) 履带行进装置
JP3863790B2 (ja) トラクタ
US3521718A (en) Transmission device of an endless-track vehicle
KR0124315B1 (ko) 벨트 전동식 작업차
JP3657598B2 (ja) 田植機
JPH0750300Y2 (ja) 乗用型農機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3194109B2 (ja) 移動農機
JP4766580B2 (ja) 田植機
JPH06153613A (ja) 水田作業機の泥土よけ構造
JPH0338978Y2 (ko)
JP7442431B2 (ja) 水田作業車
JP4458507B2 (ja) 田植機
JP3657321B2 (ja) 作業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6601323B2 (ja) セミクローラ型作業車両
JP3633768B2 (ja) 作業機
JP2023079589A (ja) 乗用田植機の植付装置
JP3597225B2 (ja) 移動農機
JP3198394B2 (ja) 移動農機
JPH06288436A (ja) 移動農機
JP2005186832A (ja) 作業車両のクローラ揺動規制装置
JP2014103869A (ja) 植付部のトルク平準化機構
JP2019199257A (ja) 作業車両
JPH06144034A (ja) 移動農機
JPH06144039A (ja) 移動農機
JPH0719339A (ja) 移動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