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926B1 - 비데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메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926B1
KR0123926B1 KR1019920010476A KR920010476A KR0123926B1 KR 0123926 B1 KR0123926 B1 KR 0123926B1 KR 1019920010476 A KR1019920010476 A KR 1019920010476A KR 920010476 A KR920010476 A KR 920010476A KR 0123926 B1 KR0123926 B1 KR 012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recorder
case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692A (ko
Inventor
치후유 타나까
켕이찌 나가사와
타케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야마지 게이조
케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45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78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03171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9377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지 게이조, 케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지 게이조
Publication of KR93000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8/00Facsimile and static presentation processing
    • Y10S358/906Hand-held camera with recorder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데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의 케이스 위쪽에 촬상광학계와 뷰파인더가 배치되어 있다. 또, 촬상광학계와 뷰파인더를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서로 중복시키지 않고 또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축의 연장선상에서 보아서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로와 뷰파인더의 광로가 서로 중복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레코더케이스의 위쪽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하고, 레코더케이스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아래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코더 케이스의 한쪽면에는 손잡이를 설치하고, 촬상광학계의 뒤쪽에는 촬상광학계의 배율변경용 기구를 구동하는 조작부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비데오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우측면도.
제2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
제5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계수납부 2: 렌즈개구부
4 : EVF유닛 6 : VTR케이스
7 : 줌스위치 10 : 조작부
15 : 테이프카세트 16 : 카세트홀더
17 : 덮개 18 : 록해제레버
23 : 마이크로폰 27 : 원격제어기
31 : 촬상광학계 33 : 파워줌모터
34 : 포커스모터 37 : 레코더홀더
38 : 레코더기구부 41 : CCD
43 : 제4회로기판 45 : 제5회로기판
51 : 제1회로기판 54 : 제2회로기판
56 : 제3회로기판
본 발명은 비데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를 구비한 비데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레코더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일례로서는 카메라일체형 비데오테이프레코더(VTR)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소형화 및 경량화는 최근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종류의 장치가 더욱 보급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비데오 카메라에 있어서, VTR부(레코더부)의 메카니즘에 대하여 카메라부의 촬상광학계나 전자뷰파인더(EVF)를 어떻게 배치하는가가 이런 종류의 카메라일체형 VTR의 취급의 용이성을 결정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구성은, VTR케이스의 앞면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하고, 상부면에 EVF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EVF가 VTR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VTR케이스를 높은 위치까지 올릴 필요없이 촬영시 조작자(사용자)가 EVF안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또, 최근, 레코더케이스의 한쪽면에 촬상광학계 및 EVF를 배치한 구성의 카메라일체형 VTR이 제품화되고 있다.
이런 유형의 카메라일체형 VTR에 있어서는, 장치전체를 극히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구성에 있어서는, 촬상광학계가 VTR케이스의 앞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상광학계의 돌출길이분만큼 VTR케이스의 길이보다 카메라 일체형 VTR의 전체길이가 길어져, 카메라일체형 VTR의 콤팩트화를 추구하는 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후자의 구성에 있어서는, 측면으로부터 본 크기는 극히 작아 콤팩트화가 가능하나, VTR케이스에 대해서 촬상광학계 및 EVF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치전체의 두께가 증가되어 버린다. 이러한 구성을 백 등에 넣어가지고 다니는 휴대용의 카메라일체형 VTR에 적용할 경우에는, 이 두께때문에 그 자체의 휴대성을 해치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이러한 두께를 지니는 카메라 일체형 VTR을 여행가방등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폭을 지니는 여행가방을 이용해야만 한다.
또, 이러한 종류의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는, 한측면에 촬상광학계 및 EVF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반대쪽에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각종 조작키를 장치의 상부면 또는 배면에 배치시켜야만 한다. 그 결과, 조작키의 배치자유도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배치할 충분한 공간도 없어지게 된다. 또, 촬상 광학계나 EVF상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손잡이의 유지감각이 손상되고, 또 유지위치에 대해서 카메라일체형 VTR의 균형중심이 멀어지는 단점이 있어, 사용자는, 균형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카메라일체형 VTR의 무게를 지지하는 부담을 지면서 촬영을 수행해야만 한다.
상기 종래의 카메라일체형 VTR의 소형·경량화는, 단순히 외형의 소형화 및 장치전체의 경량화만을 도모한 것이었다. 즉, 종래의 카메라일체형 VTR의 소형,경량화는, 비데오 카메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에 대한 잡음의 영향 및 비데오 카메라내의 촬상센서에 대한 열의 영향 등의 외란의 제거를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화, 박형화 및 조작성등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구성을 지닌 비데오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레코더기구부(38)위쪽에 배치된 촬상광학계(31)와; 상기 레코더기구부(38)위쪽에서,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출사하는 광선의 광로에 있어서 상기 촬상광학계(31)뒤쪽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얻어진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41)와; 상기 레코더기구부(38)위쪽에서,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출사하는 광선의 광로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41) 뒤쪽위치에 배치된 전자뷰파인터(4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音)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음입력수단과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사이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레코더기구부를 포함하고, 또, 이 레코더기구부의 위쪽에 촬상광학계가 배치되고, 이 촬상광학계위쪽에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성 및 장점 등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우측면도, 정면도, 상면도, 좌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제1도에 있어서, 광학계수납부(1)는, 렌즈개구부(2)뒤에 정렬된 복수의 렌즈소자를 포함하는 촬상광학계를 수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촬상광학계에 있어서는, 초점거리의 변경시 또는 초점조절을 수행할때, 피사체에 가장 가까운 렌즈소자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배열된 렌즈유닛, 소위 리어포커싱(rear focusing) 렌즈유닛을 이용하고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 리어포커싱렌즈유닛은, 구동되는 렌즈의 위치제어가 복잡하게 되는 반면 광축방향을 따른 길이를 감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이러한 리어포커싱렌즈유닛의 상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광학계수납부(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일체형 VTR의 본체의 피사체축에 배치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유닛을 수납하는 원통부를 지니고 있다. 이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폭이 가는 부분(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폭이 가는 부분(3)의 우측면에는, EVR유닛(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EVR유닛(4)은 광학계 수납부(1)에 가까운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EVF유닛(4)의 접안부(5)는 제1도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소위 로우앵글(low-angle)촬영시 용이하다.
상기 EVF유닛(4)은, CRT나 액정표시장치 등의 소형모니터와, 이 소형모니터에 표시된 영상은 접안부(5)에 안내하는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도에 도시한 통상 촬영상태에 있어서, 이 EVF유닛(4)내의 광학계와 촬상광학계는 그들의 광로가 촬상광학계의 광축의 연장선상의 지점에서 보아서 서로 중복되도록 즉 양 광로가 본체의 앞쪽에서 보다 서로 중첩관계로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VTR케이스(6)의 상부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VF유닛(4)내의 광학계의 광로와 촬상광학계의 광로가 서로 극히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차는 극히 감소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EVF유닛(4)은 VTR케이스(6)의 상부면에 설치되므로, 조작자가 그의 눈을 접안부(5)에 대고 카메라일체형 VTR을 유지한 경우, 조작자는 팔을 겨드랑이에 붙인 채로 촬영할 수 있어, 조작자는 촬영시 VTR본체를 확고하고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VTR케이스(6)는 회전헤드드럼 및 카세트수납/유지부 등의 기구와, 전기회로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계수납(1)와 EVF유닛(4)을 이 VTR케이스(6)의 상부면에 배치하여, 이 카메라일체형 VTR의 전체두께를, VTR케이스(6)에 필요한 최소 두께로 감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VTR케이스(6)의 상부면에 있어서, 상기 폭이 가는 부분(3)의 좌측면에는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줌스위치(7)가 배치되어 있어 공간의 유효한 활용이 도모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일체형 VTR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VTR케이스(6)의 좌측면을 조작자가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좌측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부분에 줌스위치(7)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줌스위치(7)를, 광학계수납부(1)의 축길이를 짧게 하므로서 형성되는 그의 뒤쪽의 공간에 배치해둠으로써, 이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계수납부(1)와 VTR케이스(6)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원격제어기(리모콘)(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일체형 VTR의 유지시 조작자를 돕는 손잡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케이스(6)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원격제어기(27)는, 걸어맞춤부(8a), (8b)를 지녀, 이 각각의 걸어맞춤부(8a), (8b)에 의해서 VTR케이스(6)의 좌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9a), (9b)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부(8a), (8b)에 의해 규정된 축을 중심으로 120°정도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27)의 뒷면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는, 이 조작부(10)를 조작하면서 카메라일체형 VTR의 재생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작부(10)에 배치된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서 통상재생, 특수재생, 테이프 고속급송, 정지, 큐검색(cueing search) 또는 음성질환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촬영을 위한 동작, 예를 들면, 기록개시/정지, 초점거리의 가변, 날짜나 목차의 삽입 또는 페이딩 등의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원격제어기(27)의 앞쪽부에는, 상기 조작부(10)에 배치된 각종 조작키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외광을 적외광발광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외광발광부(11)로부터 방출된 적외광은, VTR 케이스(6)의 앞면좌측에 설치된 적외광수광부(12)에 의해서 수광되어, 장치본체의 시스템제어기로 입력된다.
촬영시, 원격제어기(27)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가 은폐되도록 되어 있어 손잡이의 일부로서 가능하나, 장치의 VTR부만을 조작할때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27)가 120°회전하여 조작부(10)가 노출되도록 된다. 여기에서, 제1도에 도시한 VTR의 우측면에는, 촬영시 조작되는 조작키보드(13a), (13b), (13c)외에 돌출부(14a), (14b), (14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우측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카메라일체형 VTR을 평면상에 얹어놓으면, 이 돌출부(14a), (14b), (14c)가 다리의 역할을 하여, 카메라 일체형 VTR은 3지점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하게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일체형 VTR을 놓으면, 상기 돌출부(14a), (14b), (14c)에 의한 3지점 지지에 의해 극히 안정하게 놓일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재생용 조작키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60°정도 경사져서 장치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마치 재생전용의 비디오데크를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프카세트(15)는 카세트홀더(16)에 의해서 VTR케이스(6)내의 소정의 위치에 장전되어, 이 카세트홀더(16)를 팝업(pop-up)하므로서, 테이프카세트(15)를 장치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채택된 구성으로서는, VTR케이스(6)의 상부면에 광학계수납부(1)와 EVF유닛(4)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세트(15)는 VTR케이스(6)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학계수납부(1)가 VTR케이스(6)의 상부면에 배치되어도, 카세트홀더(16)의 팝업량을 어느정도 크게 할 필요없이 카세트(15)의 삽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기구전체의 크기를 증대시킴이 없이 장치전체의 두께를 효율적으로 감축하는 구성이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덮개(17)는 카세트(15)의 배출부분을 덮기 위한 것으로서, VTR케이스(6)의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촬영시, 이 덮개(17)는, 각각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록기구에 의해 로킹되어 있다. 예시하지 않았으나, 덮개(17)가 이러한 로킹상태일때 카세트(15)의 장전이 완료되는 것은 물론이다. 덮개(17)의 로킹상태는 록해제레버(18)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덮개(17)의 양단부에는, 손잡이끈용의 훅(19),(20)이 설치되고, 이 손잡이끈용의 훅(19),(20)사이에는 손잡이 끈(21)이 부착되어 있다. 촬영시, 조작자가 로킹된 덮개(17)에 손바닥의 하부를 대고, 손바닥의 중앙부가 원격제어기(27)와 접속할때까지 손잡이끈(21)과 덮개(17)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손을 삽입하면, 조작자는 카메라일체형 VTR전체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소자의 치수는, 조작자가 그의 인지와 중지를 사용해서 줌스위치(7)를 조작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한 VTR케이스(6)의 앞면에는 마이크로폰(23) 및 입출력단자조립체(57)용의 덮개(24)가 설치되고, 그의 후면에는 배터리(25)가 부착되어 VTR케이스(6)의 전면이 극히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는 레코더의 케이스위쪽에 촬상광학계와 뷰파인더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데오 카메라전체의 두께는 현저하게 감축되어, 콤팩트화가 향상된다. 또, 전자뷰파인더는 비데오카메라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VTR케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뷰파인더의 광축과 촬상광학계의 광축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영시의 시차를 감소할 수 있다.
레코더케이스의 위쪽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하고 이 레코더케이스 아래쪽으로부터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비데오 카메라전체의 두께는, 기록매체의 유지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박형화될 수 있다.
레코더케이스위쪽에 배치된 촬상광학계의 뒤쪽에는 촬상광학계의 배율변경용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가 배치되고, 레코더케이스의 한쪽에는 손잡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레코더케이스의 상부면상의 공간을 극히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이런 유형의 비데오 카메라의 콤팩트화에 바람직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유닛의 조립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촬상광학계(31)에는 16미터(32), 파워줌모터(33) 및 포커스모터(34)등의 작동기가 내포되어 있다. 이 촬상광학계(31)는, 촬상광학계(31)에 형성된 장착부(36)를 나사에 의해 각각의 유지부(40)에 고정 하므로서, 레코더홀더(37)상에 설치된 유지부(40)에 고정유지되어 있다. 상기 각 작동기는 촬영중에 끊임없이 작동하므로, 작동기로부터 발생되어 마이크로폰(23)에 의해 입수되는 작동음의 레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기를 촬상광학계(31)의 상부면에 배치 하므로서, 마이크로폰(23)과 각 작동기간의 거리를 크게 해서 마이크로폰(23)이 작동음을 쉽게 입수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디자인의 견지로부터도, 촬상광학계의 광축위치를 보다 낮게 하는 것이, 동일한 외형일지라도 외관상 작고 안정한 모양으로 보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기를 촬상광학계(31)위쪽에 배치하고, 촬상광학계(31)와 레코더기구부(38)를 접근시켜 배치하고 있다.
또, 적외광수광유닛(58) 및 토탈 LED(59)를 장치앞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원격제어기(27)를 사용해서 촬영자자신을 촬영할때에, 렌즈개구부가 촬영자에게 향하도록 하는 동시에 원격제어기(27)로부터 방출된 적외광을 직접 수광할 수 있어, 촬영자는 적외광의 수광여부의 확인도 토탈 LED(59)에 의해 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27)에 의해 VTR을 조작할때에도 원격제어기(27)의 적외광발광부(11)로부터 방출된 적외광을 적외광수광부(12)(제7도에서는 적외광수광유닛(58))에 의해 수광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콤팩트하고 합리적인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51)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2회로기판(54)에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시스템 제어회로 및 오디오/비데오신호처리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3회로기판(56)에는 오디오/비데오출력단자조립체(57), 적외광수광유닛(58), 토탈 LED(59) 및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증폭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3개의 회로기판 (51), (54), (56)에는 VTR부의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회로기판(51), (54), (56)은 레코더기구부(38)의 세측면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회로기판(51)과 (54)간의 전기접속 및 회로기판(54)과 (56)간의 전기접속은, 소형경량이고 값싸며 조립이 용이한 회로기판코넥터(52),(55)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배선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업가화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VTR부의 전체면은, 작동키보드 등의 각종 구성소자의 배치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오디오/비데오입출력단자조립체(57)를 장치의 앞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일체형 VTR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도 오디오/비디오 입출력단자조립체(57)에 AV케이블(28)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3)은 제3회로기관(56)상의 코넥터(60)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마이크로폰잭(29)도 제3회로기판(56)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증폭회로에 관련된 소자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로는 전기적 잡음에 쉽게 영향받지 않으며 접속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성능 및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제1회로기판(51)은, 배터리(25)가 부착된 배면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배터리(25)와 전원회로간의 거리가 단축되어, 효율적인 전원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51)상에 리튬전지를 장착하면, 장치의 특징인 “오토데이트”또는 “디지틀 타이틀”기능을 제공하는 메모리용의 백업전원의 공급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시스템의 간략화 및 효율화를 성취할 수 있다.
소자(41)는 전하결합디바이스(CCD)이며, 이 CCD(41)와 후술할 제4회로기판(43)은 가요성인쇄기판(FPC)(4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4회로기판(43)에는 비데오 카메라부의 CCD(41)와 관련된 클록, 동기발생기 및 샘플호울드회로등의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제4회로기판(43)과 후술할 제5회로기판(45)은 FPC(4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5회로기판(45)에는 카메라신호처리회로, 오토포커스(AF)용 마이크로컴퓨터 및 “디지틀 타이틀”용 회로등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비데오 카메라부의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CCD(41)는, 고온하에서 암(暗)전류에 의해 화질의 균일성을 저해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CCD(41)내의 암전류는 화질열화의 요인이다.
그러나, 당 기술분야의 현행조류는, 열을 발생하는 회로기판간의 거리가 서로 가까운 소형의 카메라 일체형 VTR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카메라일체형 VTR에 있어서는, 회로기판간의 거리가 가깝게 구성됨으로써 발생하는 온도상승에 의해 CCD(41)가 쉽게 가열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6)에 수납되어 있는 열을 발생하는 각 회로기판과 광학계수납부(1)내에 수납되어 있는 CCD(41)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기구부품인 메코더홀더(37)의 상부판을 차폐판으로서 사용하여 CCD(41)를 회로기판의 열로 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측한 바, 종래의 카메라일체형 VTR 에 비해서 CCD(41)상의 온도상승을 20°정도 억제할 수 있음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화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제4회로기판(43)으로서는,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세라믹재로 이루어진 다층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예에 있어서는, 세라믹의 기계적 강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통상의 나사고정 등의 고정방법을 채용할 수 없었다. 대신에, 금속단자를 납땜에 의해 세라믹기판에 고정한 후, 그 금속단자를 나사고정해서 세라믹기판을 정위치에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홀더(39)를 탄성재료로 만들어, 이 홀더(39)의 탄성을 이용해서 제4회로기판(43)을 유지하므로, 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염가화가 가능하다.
또, EVF회로기판(49)상에 장착된 CRT유닛(48)은 케이스에 수납되어 EVF유닛(4)(제1도 참조)을 구성한다. 이때 EVF회로기판(49)과 케이스(6)의 제5회로기판(45)은, EFV 유닛(4)의 회동축(도시안함)을 통해서 삽입된 FPC(50)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음입력 수단과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사이에, 촬상광학계가 배치되어 있으며, 카메라일체형 VTR의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음입력수단에 구동부의 작동음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코더기구부위쪽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하고, 촬상광학계위쪽에 구동부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음입력수단과, 이 제1음입력수단과는 다른 제2음입력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은, 레코더구동부를 포위해서 설치된 복수의 회로기판중 하나의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적 잡음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지 않고 성능 및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콤팩트한 구성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촬상센서부와, 레코더기구부를 포위해서 설치된 복수의 회로기판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상센서부에의 열적영향을 제거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레코더기구부(38)위쪽에 배치된 촬상광학계(31)와; 상기 레코더기구부(38) 위쪽에서,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출사하는 광선의 광로에 있어서 상기 촬상광학계(31) 뒤쪽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얻어진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41)와; 상기 레코더기구부(38)위쪽에서, 상기 촬상광학계(31)로부터 출사하는 광선의 광로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41) 뒤쪽위치에 배치된 전자뷰파인더(4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더기구부를 수납하는 레코더케이스의 한쪽면에는 손잡이를 배치하고, 상기 촬상광학계의 뒤쪽에는 상기 촬상광학계의 배율변경용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더기구부를 수납하는 레코더케이스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아래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광학계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레코더의 케이스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아래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덮은 상태에서 로킹 가능한 덮개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6. 촬영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레코더의 케이스위쪽에 촬상광학계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한쪽면에는 손잡이를 배치하고, 상기 촬상광학계의 뒤쪽의 상기 케이스의 위쪽에는 상기 촬상광학계의 배율 변경용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7. 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아래쪽의 음입력수단과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쪽의 구동부사이에, 상기 촬상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레코더기구부를 또 구비하고, 이 레코더기구부의 위쪽에 상기 촬상광학계가 배치되고, 이 상기 촬상광학계의 위쪽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9. 레코더기구부와; 상기 레코더기구부를 포위해서 설치된 동시에 각각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로기판과; 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음입력수단과; 상기 제1음입력수단과는 다른 제2음입력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음력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중 하나의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0. 레코더기구부와, 상기 레코더기구부를 포위해서 설치된 동시에 각각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로기판과; 촬영센서부와; 상기 촬영센서부를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더기구부를 유지하기 위한 레코더유지부를 또 구비하고, 상기 촬상센서부는 상기 레코더기구부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레코더유지부의 일부는 상기 차폐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메라.
KR1019920010476A 1991-06-18 1992-06-17 비데오 카메라 KR0123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5993A JPH0537829A (ja) 1991-06-18 1991-06-18 ビデオカメラ
JP91-145993 1991-06-18
JP03171289A JP3119377B2 (ja) 1991-07-11 1991-07-11 ビデオカメラ
JP91-171289 1991-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92A KR930001692A (ko) 1993-01-16
KR0123926B1 true KR0123926B1 (ko) 1997-11-26

Family

ID=2647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476A KR0123926B1 (ko) 1991-06-18 1992-06-17 비데오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29291A (ko)
EP (1) EP0519456B1 (ko)
KR (1) KR0123926B1 (ko)
DE (1) DE692298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0011C (en) * 1993-08-24 2004-03-30 Masayoshi Morikawa Cassette eject mechanism, battery loading mechanism and mechanical chassis supporting mechanism
JP4065970B2 (ja) * 1998-03-16 2008-03-26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スチルカメラ
JP3012839B1 (ja) * 1998-10-15 2000-02-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2001320622A (ja)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US7857176B2 (en) * 2003-11-10 2010-12-28 Audiovox Corporation Seat mountable video system
JP2005192011A (ja) * 2003-12-26 2005-07-14 Sony Corp カメラ
KR20050090821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하우징 커버
KR100815573B1 (ko) * 2004-03-10 2008-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KR100695075B1 (ko) * 2005-07-01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JP4438737B2 (ja) * 2005-11-14 2010-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777A (en) * 1973-08-27 1976-02-24 Canon Kabushiki Kaisha Casing of a mechanical mounting for the interchangeable lenses and a camera system using the same
JPS56104704U (ko) * 1980-01-15 1981-08-15
JPS5739676A (en) * 1980-08-20 1982-03-04 Sony Corp Video recorder
JPH0119245Y2 (ko) * 1981-03-31 1989-06-05
US4652930A (en) * 1984-11-19 1987-03-24 Rca Corporation Television camera structure
US4769711A (en) * 1985-07-30 1988-09-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settable lens mounting surface
US4875107A (en) * 1986-12-04 1989-10-17 James C. Wickstead Camcorder
JPS63195633A (ja) * 1987-02-10 1988-08-12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
JPH0250569A (ja) * 1988-08-11 1990-02-20 Toshiba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13071A (ja) * 1988-06-30 1990-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一体形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628346B2 (ja) * 1988-07-01 1997-07-09 株式会社トプコン メモリカード格納装置
AU638457B2 (en) * 1989-05-30 1993-07-01 Sony Corporation Unified compact video camera and vcr
JP2840758B2 (ja) * 1989-05-30 1998-12-24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US5038213A (en) * 1990-02-16 1991-08-0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still camera
JPH03280787A (ja) * 1990-03-29 1991-12-11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H04130869A (ja) * 1990-09-21 1992-05-01 Hitachi Ltd Vtr一体型カメラ
US5294988A (en) * 1990-09-21 1994-03-15 Hitachi,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a watertight housing
JP2744129B2 (ja) * 1990-11-28 1998-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tr一体形カメラ
DE69225097T2 (de) * 1991-06-18 1998-10-15 Canon Kk Kamera mit integriertem Video-Aufnahmegerät
US5221964A (en) * 1991-08-05 1993-06-22 Dalsa Inc Electronically expandable modular ccd camera
CA2101040C (en) * 1992-07-30 1998-08-04 Minori Takagi Video tape recorder with a monitor-equipped built-in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9895T2 (de) 2000-04-20
KR930001692A (ko) 1993-01-16
EP0519456A1 (en) 1992-12-23
DE69229895D1 (de) 1999-10-07
EP0519456B1 (en) 1999-09-01
US5729291A (en) 199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272B1 (en) Image sensor
US20050254358A1 (en) Heat radiating structure of a digital camera
KR0123926B1 (ko) 비데오 카메라
JP4035488B2 (ja) 撮像装置
JPH1188750A (ja) 電子カメラ
JPH11331667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11355618A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
JP4397950B2 (ja) 撮像装置
US7660046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device
JPH09163197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554110Y2 (ja) カメラ
JPH11261858A (ja) 撮像装置
JP3119377B2 (ja) ビデオカメラ
US2005014739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6350127A (ja)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H10313423A (ja) ビデオカメラ
JP2832098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装置
JPH0918759A (ja) カメラ一体型vtr
JP4266750B2 (ja) 電子カメラ
JP3347048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2518975Y2 (ja) 電子的撮像装置
JPH11258671A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H118787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0122167A (ja) カメラ
JPH118786A (ja) 電子的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