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649Y1 -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649Y1
KR0123649Y1 KR2019950003792U KR19950003792U KR0123649Y1 KR 0123649 Y1 KR0123649 Y1 KR 0123649Y1 KR 2019950003792 U KR2019950003792 U KR 2019950003792U KR 19950003792 U KR19950003792 U KR 19950003792U KR 0123649 Y1 KR0123649 Y1 KR 0123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workpiece
strip
band
bel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428U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국웅
무등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웅, 무등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국웅
Priority to KR2019950003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649Y1/ko
Publication of KR960031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1/00Apparatus for splic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1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2Suction grippers being reciprocated in a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띠형가공물 권취장치
나. 그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과제
종래 띠형가공물을 잇는 방법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잇는 방법과 미리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에 접착시킨 뒤 남은 부위는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이음작업을 신뢰할 수 없으며,작업자가 항시 대기하여야 하고,생산성이 낮아지는 단점을 갖는 것임.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끝단을 광센서에 의해 감지하고,에어실린더에 의해 접착용 테이프가 접착된 상태로 진공흡착구에 부착된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받침판에 대고 밀착시켜 접착용 테이프가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에 접착되어 이어지도록 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띠형가공물 권취장치 및 띠형가공물의 이음작업이 필요한 장치

Description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2:고정대
3:진공흡착구 4:에어실린더
5:공기흡입관 6:고정대
7:스프링 8:받침판
9:광센서 10:고정대
11:장력유지용로울러 12:에어실린더
13:고정로울러 13a:가변로울러
14:작업중인 띠형가공물 15:대기중인 띠형가공물
16:접착용 테이프
본 고안은 띠형가공물의 연속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띠형가공물은 대개 릴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공정라인의 롤러에 의해 풀려지면서 가공되어 지므로 작업중인 릴에 감겨있는 띠형가공물의 가공작업이 끝나면 곧바로 대기중인 릴의 띠형가공물을 이어주어 공정라인이 멈추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띠형가공물을 잇는 방법은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다가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끝날 부분을 육안으로 감지한 후 수동으로 접착용 테이프에 의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과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접착시키는 방법과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일정길이를 확보하여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의 첨단을 접착시킨 뒤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남은 부위는 절단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작업자의 육안의 의한 감지 및 빠른 손동작에 의해 띠형가공물끼리이어주는 방법이므로 숙련도에 따라 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상당시간 작업자가 기계에 대기하여야만 한다. 또한 1인이 여러대의 기계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품질저하 및 생산성저하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중인 띠형가공물과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의 이음작업을 작업자의 육안 및 손에 의존하지 않고 센서에 의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끝단을 감지하도록 하며,또 미리 접착용 테이프에 접착시켜둔 띠형가공물(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진공흡착구에 흡착시켜 대기시킨후 센서감지에 의해 동작되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구가 전진하면서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에 접착용 테이프가 접착되도록 하여 띠형가공물의 이음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띠형가공물 이음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동에 의한 작업보다 이음작업을 신뢰할 수 있게 되고, 한사람의 작업자가 여러대의 기계를 감당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의 향상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미도시된 릴에 권취되어 있는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은 기판(1)에 형성된 고정로울러(13)에 의해 지지되면서 릴측으로 부터 공정측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 역시 릴에 권취되어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은 첨단의 일부분이 접착용 테이프(16)에 접착된채로 진공흡착구(3)에 부착되어 가변로울러(13a)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이때 진공흡차구(3)는 고정대(2)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에 의해 전후진되며, 공기흡입관(5)이 연결되어 진공흡착구(3)의 내부를 진공상태를 만들어 대기상태인 띠형가공물(15)을 부착하고 있게 된다. 상기 진공흡착구(3)의 진행방향전방에는 고정대(6)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된 스프링(7)이 장착된 받침판(8)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이 릴에서 모두 풀리게 되면 고정로울러(13)와 받침판(8) 사이에 형성한 광세서(9)에 의해 감지되어 에어실린더(4)가 전진하게 되고,상기 진공흡착구(3)가 받침판(8)에 밀착하는 순간 접착용테이프(16)에 의해 일부분이 접착된 상태의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에 접착되어져 공정측으로 함께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제까지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을 지지하고 있던 가변로울러(13a)가 미도시된 에어실린더에 의해 기판(1)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은 고정로울러(13)에 얹히게 되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이 된다. 이와같이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의 위치로 바뀌게 되면 작업자는 새로운 릴에 감겨있는 띠형가공물의 첨단의 일부분에 접착용 테이프(16)을 접착시켜 다시 돌출된 가변로울러(13a) 위에 얹고 진공흡착구(3)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하여 띠형가공물을 대기상태로 만드는 작업을 하여 상기와같은 공정이 반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릴과 받침판(8)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존재하므로 릴에서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가 풀리게 되면 이제까지 띠형가공물(14)에 유지되던 장력이 없어져 이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릴과 고정로울러(13) 사이에 고정대(10)에 의해 기판(1)에 고정되고, 에어실린더(12)에 의해 전후진하는 장력유지용 로울러(11)를 상기 로울러(11)의 진행방향에 가변로울러(13a)의 저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릴에 형성된 센서로 부터 띠형가공물이 완전히 풀렸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는 순가 장력유지용 로울러(11)가 진행해 가변로울러(13a)에 밀착되므로써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을 붙잡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작업중인 띠형가공물과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의 이음작업을 작업자의 육안 및 손에 의존하지 않고 센서에 의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의 끝단을 감지하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작업중인 띠형가공물에 접착되도록 하므로써 띠형가공물의 이음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따라서 한사람의 작업자가 여러대의 기계를 관리하게 되므로 인력절감 및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작업중인 띠형가공물과 대기중인 띠형가공물을 이어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기판(1)과,상기 기판(1)에 설치된 고정로울러(13)에 얹혀 공정측으로 진행되는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의 상부와 하부에 광센서(9)를 형성하고, 상기 광센서(9)의 신호에 의해 진행되는 에어실린더(4)에는 공기흡입관(5)이 연결된 진공흡착구(3)가 결합되고, 상기 진공흡착구(3)가 첨단의 일부분에 접착용 테이프(16)가 접착된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을 부착하고 있다가 에어실린더(4)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상기 진공흡착구(3)가 진행방향 전면에 형성한 스프링(7)에 의해 탄발력을 갖는 받침판(8)에 밀착하게 되고, 이때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이 접착용 테이프(16)에 의해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에 접착되어 이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중인 띠형가공물(15)이 가변로울러(13a)에 의해 지지되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릴과 고정로울러(13) 사이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12)에 의해 전후진하는 장력유지용 로울러(11)가 가변로울러(13a)에 밀착되도록 하므로써 작업중인 띠형가공물(14)을 붙잡아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KR2019950003792U 1995-03-02 1995-03-02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KR0123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92U KR0123649Y1 (ko) 1995-03-02 1995-03-02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92U KR0123649Y1 (ko) 1995-03-02 1995-03-02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428U KR960031428U (ko) 1996-10-22
KR0123649Y1 true KR0123649Y1 (ko) 1998-08-17

Family

ID=1940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792U KR0123649Y1 (ko) 1995-03-02 1995-03-02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6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01B1 (ko) * 2010-12-31 2013-08-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재료 자동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01B1 (ko) * 2010-12-31 2013-08-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재료 자동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428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103A (en) Process for peeling protective film off a thin article
US4775438A (en) Process for peeling protective film off a thin article
KR101408472B1 (ko)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TWI376740B (en) Method for cutting protective tape of semiconductor wafer and apparatus for cutting the protective tape
JPS63165258A (ja) 帯状材の自動接続装置
WO2005105441A1 (en) Robotic tape applicator and method
CN1085607C (zh) 在行进的卷筒纸上形成接头的设备和方法
KR960702729A (ko) 가스켓 도포 방법 및 자동화된 가스켓 도포기(automated gasket applic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0123649Y1 (ko) 띠형가공물의 이음장치
JPH069126A (ja) タイヤ組立ドラムに供給される帯材の把持及び搬送装置
JPS62285854A (ja) ウェブ接合装置
CN215744350U (zh) 一种针头清洁装置及点胶设备
KR101369699B1 (ko) 스펀지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JPH10157892A (ja) リール仕立装置のウエブ搬送装置
JP2928110B2 (ja) 自動管端テープ巻装置
CN221008037U (zh) 一种液晶屏安装设备组合
CN216376887U (zh) 一种不规则贴付不织布的自动设备
CN213520045U (zh) 一种小尺寸方形电池卷绕设备
JP3611064B2 (ja) 可撓性帯状材の接合装置
CN216471221U (zh) 一种轮胎加工装置及其帘布导开自动续料装置
JPH1086239A (ja) 帯状材料の自動巻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2264883A1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H05208725A (ja) 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2718128B2 (ja) 管端に粘着テープを巻回する装置
CN114373954A (zh) 一种小尺寸方形电池卷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