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065Y1 -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065Y1
KR0123065Y1 KR2019950040158U KR19950040158U KR0123065Y1 KR 0123065 Y1 KR0123065 Y1 KR 0123065Y1 KR 2019950040158 U KR2019950040158 U KR 2019950040158U KR 19950040158 U KR19950040158 U KR 19950040158U KR 0123065 Y1 KR0123065 Y1 KR 0123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lange
rear bumper
flange
bracket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153U (ko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40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065Y1/ko
Publication of KR970035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진 브라켓을 엔드 맴버에 접합시킨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오목부(42)가 형성된 리어범퍼의 상부 플랜지(41)와, 상기 오목부(42)와 밀착되도록 볼록부(34)가 형성된 수평면(33)및 이 수평면(33)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32)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면(32)과 엔드패널(25)의 플랜지(26) 및 엔드 패널(21)의 플랜지(22)를 일체적으로 접합시키고, 웨드스트립(50)으로 카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를 견고히 고정하고, 이에따라 시일링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제1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제2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제3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플랜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1 : 상부 플랜지 2 : 트렁크 리드
3,25 : 엔드 맴버 4 : 리테이너
5 : 그로메트 6 : 스크류
7 : 브라켓 8 : 너트
9 : 볼트 21 : 엔드 패널
31 : 브라켓 34 : 볼록부
50 : 웨드스트립
본 고안은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진 브라켓을 엔드 맴버에 접합시킨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제1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로서, 트렁크 리드(2)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1)는 엔드 멤버(3)쪽을 향한 상부 리브(11)와, 하부 리브(12) 및 하방으로 향한 체결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1)의 전면에는 리테이너(4)가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1예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가 엔드 멤버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강한 충돌시 리테이너가 엔드멤버와의 충돌시 바디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종래의 제 2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로서, 트렁크 리드(2)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1)는 리브가 없는 평평한 형태로서, 엔드 멤버(3)의 경사면(15)에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된다. 엔드 멤버의 경사면의 후부에는 상기 스크류와 체결되기 위한 그로메트(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2에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상에 스크류가 체결되므로 트렁크 리드의 오픈시 외관이 좋지 않게 된다.
제3도는 종래의 제3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의 단면도로서, 트렁크 리드(2)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1)는 하방으로 굴절된 접합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면(13)은 엔드 멤버(3)의 수직면(16)에 볼트(9), 너트(8) 및 브라켓(7)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3에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를 엔드 멤버의 수직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트렁크 룸쪽에서 볼트(9)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 공정이 불편하고, 더욱이 엔드 패널의 수직부에 볼트 체결용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데, 이 구멍으로 누수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진 브라켓을 엔드 멤버에 접합시켜, 엔드패널, 앤드멤버, 및 브라켓을 웨드스트립으로 카바하여,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를 견고히 고정하고, 이에따라 시일링이 향상되게 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 구조의 일예로서, 오목부가 형성된 리어범퍼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오목부와 밀착되도록 볼록부가 형성된 수평면 및 이 수평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면과 엔드 패널의 플랜지 및 엔드 패널의 플랜지를 일체적으로 접합시키고, 웨드스트립으로 카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는 트렁크 리드(2)의 하부와 맞닿는 웨드 스트립(50)과, 리어범퍼의 외피의 상부 플랜지(41)와, 상기 상부 플랜지(41)를 지지하는 앤드 멤버(25)와, 상기 엔드멤버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엔드 패널(21)과, 상기 상부 플랜지(41)를 고정시키는 브라켓(31)으로 구성된다.
트렁크 리드(2)의 하부에 위치하는 엔드 멤버(25)는 상부 플랜지(26)및 경사면(27)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패널(21)은 상기 엔드 멤버(25)의 상부 플랜지(26)와 접합되는 상단 플랜지(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41)에는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31)은,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오목부(42)와 밀착되도록 볼록부(34)가 형성된 수평면(33) 및 이 수평면(33)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상기 수직면(32)과 엔드패널(25)의 상부 플랜지(26) 및 엔드 패널(21)의 상단 플랜지(22)를 일체적으로 접합시키고, 웨드스트립(50)으로 카바한다.
단, 브라켓(31)의 볼록부(34)는 상부 플랜지(41)의 오목부(42)에 밀착되어, 상부 플랜지(4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고, 이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진 브라켓을 엔드 멤버에 접합시켜, 엔드패널, 엔드멤버, 및 브라켓을 웨드스트립으로 카바하여,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를 견고히 고정하고, 이에따라 시일링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목부(42)가 형성된 리어범퍼의 상부 플랜지(41)와, 상기 오목부(42)와 밀착되도록 볼록부(34)가 형성된 수평면(33) 및 이 수평면(33)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32)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면(32)과 엔드패널(25)의 플랜지(26) 및 엔드 패널(21)의 플랜지(22)를 일체적으로 접합시키고, 웨드스트립(50)으로 카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KR2019950040158U 1995-12-12 1995-12-12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KR0123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158U KR0123065Y1 (ko) 1995-12-12 1995-12-12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158U KR0123065Y1 (ko) 1995-12-12 1995-12-12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53U KR970035153U (ko) 1997-07-26
KR0123065Y1 true KR0123065Y1 (ko) 1998-10-15

Family

ID=1943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158U KR0123065Y1 (ko) 1995-12-12 1995-12-12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0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53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919A (ko) 자동차의 상부차체구조
KR0123065Y1 (ko) 리어 범퍼의 상부 플랜지 고정구조
JPH1129065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JPH0136669Y2 (ko)
JPH0546996Y2 (ko)
JPH0313395Y2 (ko)
JPS6137555Y2 (ko)
JP3452663B2 (ja) マッドガード
JPH0733978Y2 (ja) 排水用クリップ
JPH0431899Y2 (ko)
JPH0533412Y2 (ko)
JPS6338118Y2 (ko)
KR100208205B1 (ko) 자동차의 루프 몰딩 고정구조
JP2532853Y2 (ja) 車両のスポイラ取付構造
KR960001130Y1 (ko) 자동차 후드의 시일 스트립의 고정구조
JPS636369B2 (ko)
JPH0712219Y2 (ja) 車両のル−フサイド部構造
KR900003994Y1 (ko) 자동차의 루우프 구조
JPH09109927A (ja) ルーフサイド部の排水溝構造
JP2553081Y2 (ja) 自動車用モールの取付構造
JP2506590Y2 (ja) 樹脂製リヤバンパの取付構造
JPH0796851B2 (ja) 片持ちアルミカ−ポ−トの支柱、梁固定装置
KR960004747Y1 (ko) 자동차후사경의 덮개착탈구조
JPH0972052A (ja) 建物の壁際構造
KR200143785Y1 (ko) 정션박스 결합용 브래킷과 리이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