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08B1 -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508B1
KR0122508B1 KR1019940014249A KR19940014249A KR0122508B1 KR 0122508 B1 KR0122508 B1 KR 0122508B1 KR 1019940014249 A KR1019940014249 A KR 1019940014249A KR 19940014249 A KR19940014249 A KR 19940014249A KR 0122508 B1 KR0122508 B1 KR 012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olysilicon film
doped polysilicon
undoped
polysilic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884A (ko
Inventor
김형수
안창남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1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508B1/ko
Publication of KR96000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01L21/7680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involving intermediate temporary filling with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콘택홀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에서 스페이서를 이용한 미세콘택홀 형성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기판 상부에 형성된 하부절연층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종착하고 마스크공정으로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두 개의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이 갖는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측면식각하고 감광막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를 평탄화시킨 다음, 상기 두 개의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감광막을 마스크로 하는 상기 하부절연층 식각공정으로 미세콘택홀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기판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제1도는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미세콘택홀 형성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기판 3 : 하부절연층
5 :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 5' :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
7 :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 7' :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
9 : 감광막패턴 11 : 감광막
20 : 콘택홀
본 발명은 미세콘택홀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집적화되는 반도체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의 식각선택비를 이용하여 미세콘택홀을 형성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최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필요로 하는 256 M DRAM와 같은 초고집적소자에 필요한 미세선폭을 형성할 수가 없다.
종래에는 반도체기판 상부에 하부절연층을 증착한 다음, 절연막을 일정두께 증착하고 상기 절연막을 이방성식각하여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부절연층을 식각함으로써 미세콘택홀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이방성식각 공정시 많은 결함이 발생되고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가 기판조건에 매우 민감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방성식각 공정시 상기 스페이서의 각(angle) 조정이 어려워 정확한 크기의 식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기판 상부에 증착된 하부절연층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마스크공정으로 상기 두 개의 다결정실리콘막을 식각하고 상기 두 개의 다결정실리콘막의 식각선택비를 이용하여 상기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을 측면식각한 다음, 감광막을 이용하여 전체 상부 구조를 평탄화시키고 상기 두 개의 다결정실리콘막을 제거한 다음, 상기 하부절연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미세콘택홀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반도체기판 상부에 하부절연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을 일정두께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 상부에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고 습식 또는 건식방법으로 상기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일정두께 측면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같은 높이로 감광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건식 또는 습식방법으로 제거하고 상기 감광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부절연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반도체기판이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미세콘택홀 형성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도는 반도체기판(1) 상부에 하부절연층(3)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절연층(3)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5)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7)을 일정두께 증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는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7) 상부에 감광막패턴(9)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막패턴(9)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7)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5)을 순차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7')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5')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상기 감광막패턴(9)을 제거하고 습식 또는 건식방법으로 상기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5')을 측면식각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식각공정은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5')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7')의 식각선택비를 이용하여 실시하며 습식식각시 식각용액은 HF나 CH3COOH 등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7')과 같은 높이로 감광막(11)을 도포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상기 노출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7',5')을 건식 또는 습식방법으로 제거하고 상기 하부절연층(3)을 식각함으로써 미세콘택홀(20)을 형성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 콘택홀 형성공정중에서 스페이서 형성시 많은 결함이 발생되고 정확한 크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하지 않고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콘택홀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미세콘택홀 형성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 상부에 하부절연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을 일정두께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 상부에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 패턴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고 습식 또는 건식방법으로 상기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일정두께 측면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같은 높이로 감광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을 건식 또는 습식방법으로 제거하고 상기 감광막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부절연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반도체기판이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방법은 도핑된 다결정실리콘막패턴과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실리콘막패턴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방법은 HF나 CH3COOH등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KR1019940014249A 1994-06-22 1994-06-22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KR012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49A KR0122508B1 (ko) 1994-06-22 1994-06-22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49A KR0122508B1 (ko) 1994-06-22 1994-06-22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84A KR960001884A (ko) 1996-01-26
KR0122508B1 true KR0122508B1 (ko) 1997-11-11

Family

ID=1938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249A KR0122508B1 (ko) 1994-06-22 1994-06-22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84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8304B2 (en) Methods to reduce the critical dimension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related semiconductor devices
JPH09181180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US529429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hole of a semiconductor device
JP2741175B2 (ja) 半導体素子の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
KR0122508B1 (ko) 미세콘택홀 형성방법
KR100289660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형성방법
JP259742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258020A (ja) 素子分離パタ−ンの形成方法
KR100256809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999000353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47642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0146254B1 (ko)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35647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281269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전극 형성방법
KR100338091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0256808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017279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0281147B1 (ko) 콘택홀 형성방법
KR014832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014422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 형성 방법
KR100413043B1 (ko)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209279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960008563B1 (ko) 더블 스페이서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홀 형성방법
KR20000052195A (ko) 반도체소자의 미세 배선 형성방법
KR19990042192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