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36Y1 -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36Y1
KR0121836Y1 KR2019940034822U KR19940034822U KR0121836Y1 KR 0121836 Y1 KR0121836 Y1 KR 0121836Y1 KR 2019940034822 U KR2019940034822 U KR 2019940034822U KR 19940034822 U KR19940034822 U KR 19940034822U KR 0121836 Y1 KR0121836 Y1 KR 0121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jig
extension lever
detec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610U (ko
Inventor
조원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34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836Y1/ko
Publication of KR960020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 성형물등의 제품의 취출시 쓰이는 취출로보트에 부착된 제품검지장치의 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지방법은 마이크로스위치(6)에 연장레버(8)를 연결해서 사용했다.
이때 마이크로스위치가 제품에 직접 부딛혀서 마이크로스위치가 파괴되거나, 연장레버의 변형과 연장레버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생기는 관성에 의해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지장치를 감지부와 제품접촉부로 분리하여 감지부를 지그(4)이 외부에 설치하고 제품접촉부를 지그의 내부에 설치한다.
따라서 근복적으로 제품검지장치와 제품의 충돌을 막고 연장레버를 제거함으로 오동작에 의한 착오를 없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품을 검지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제1도는 취출로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
제2도의 (a)(b)도는 종래의 제품검지장치를 나타낸 지그부분의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제품검지장치에 장착된 마이크로스위치의 실시예시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을 나타낸 지그부분의 단면도 및 작동관계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지그에 장착된 흡착패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2를 나타낸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3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X축 2:Y축
3: Z축 4:지그
5:접촉패드 6:소형실린더
7:제품 8:마이크로스위치
9:연장레버 10:진공확인스위치
11:흡착패드 12:진공발생기
13:스프링 14:호스
15:수평레버 16:흡입관
17:스톱핀 18:마이크로스위치
19:후면돌기 20:수평레버
21:스프링
본 고안은 사출 성형물등의 제품의 취출시에 쓰이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취출하는 제품의 제품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취출로보트는 제1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X축(1), Y축(2), Z축(3)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각 축의 유기적인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지그(4)가 사출기에 사출되어 있는 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이런 형태의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종래의 제품검지장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유접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4)이 상하측에는 접촉패드(5)가 마주보게 하여 소형실린더(6)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7)이 지그(4)내에 들어오면 소형실린더가 작동하여 접촉패드로서 제품을 잡고, 이때 지그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스위치(8)가 인입되는 제품에 의해 그 접점이 붙어서 제품을 검지하는 방식이었다.
이때에 쓰이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제3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통상적인 마이크로스위치(8)의 작동간에 제품과의 원활한 접촉을 위해 강성튜브를 만들어진 연장레버(9)를 장착하여 외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연장레버(9)에 의해 길게 연장된 마이크로스위치(8)를 이용한 사출 성형물등의 제품검지장치는 제품의 기종을 전환시킬때 Y축(2)의 스토크(STOKE)가 과다하게 전진될 우려가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제품이 마이크로스위치에 부딪쳐서 마이크로스위치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제품의 기종을 전환시킬때 마다 Y축(2)의 스크로크도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또 제3도에서 보여진 연장레버(9)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연(9)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연장레버의 굽은 상태가 처음 같이 유지되지 않고 점진적인 변형이 일어나서 제품검지와는 무관하게 마이크로스위치의 오동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했다.
종래기술의 또다른 문제점은 연장레버(9)가 강성이고 무게가 있기 때문에 Z축(3) 하강시에 연장레버 자체의 무게에 의한 관성으로 인해 마이크로스위치가 잘못 동작된다는 것이다.
즉, 연장레버가 마이크로스위치의 유접점에 근접한 상태에서 취출로보트가 작동할 때마다 그 연장레버가 요동하여 유접점을 터치시킴으로써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는것이다.
이런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검지장치의 수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제품검지장치의 오동작에 의해 발생한 착오때문에 착오를 수정하기 위한 또다른 노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경젝적, 시간적손실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검지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오동작에 의한 착오를 없에서 제품검지를 완벽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리나 착오수정에 따른 경제적손실을 없애고, 유실시간을 극소화하여 장비가동시간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품검지장치를 감지부와 제품접촉부로 나누고, 제품접촉부만을 지그이 내부에 설치하며, 감지부는 지그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검지장치이다.
즉 지그의 내부에 제품접촉부를 구비하고, 감지부는 지그의 외부에 설치하여, 제품과 제품접촉부의 직접접촉에 의해 발생한 반응을 감지부가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검지장치가 제품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도록 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나 본 고안의 구성과 효과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4도의 (a)(b)도에서 보여진 실시예1은 진공확인스위치(10)를 감지부로 채용하고, 제품접촉부로는 흡착패드(11)를 채용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한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4b도에 도시된 상태로 제품을 취출할때, 제품이 지그(4)의 내부에 인입되면 소형실린더(6)가 작동되면서 진공발생기(12)도 동시에 작동된다.
제품이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실린더와 동시에 작동된 진공발생기에 의해 흡찹패드(11)가 제품면을 흡입하게 된다. 이때 제품접촉부로 사용되는 흡착패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이 탄성에 의해 제품이 접촉한다. 즉 제품이 지그 내부에 인입되면서 흡착패드(11)에 닿게 되고, 제품이 지그 내부에 완전히 진입하면서 흡착패드를 밀면 스프링(13)에 의해 제품과 흡착패드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소형실린더(6)와 동시에 작동된 진공발생기(12)가 호스(14)와 수평레버(15)의 중앙에있는 흡입관(16)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진공발생기(12)의 동작에 의해 호스(14)와 흡입관(16) 내부의 진공도가 높아지다가 진공도가 완전히 도달하게 되면 진공발생기(12)에 부착된 진공확인스위치(10)가 제품검지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전달하여 제품검지를 수행한다.
제품검지가 끝나면 소형실린더가 작동하여 취출된 제품이 지그의 내부로 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1회 제품검지가 끝나면 흡착패드(11)는 스프링(13)의 작용으로 스톱핀(17)에 의해 정지될때 까지 앞으로 전진하여 원상태 대로 복귀된다.
실시예1에서 제품 뒷면이 흡착패드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작음 홈이 제품 뒷면에 있거나 제품 뒷면에 구멍이 뚫려 있다면 흡착패드가 제품 뒷면에 바르게 흡착될 수가 없을 것이다.
실시예2는 위와 같은 경우에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착패드가 제품의 뒷면이 아닌 제품의 윗면에 접촉하여 제품과 원활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3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통상의 마이크로스위치(18)를 지그의 외부에 설치하여 감지부로 사용하고 끝부분이 후면돌기(19)로 형성된 수평레버(20)를 제품접촉부로 사용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룰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품이 지그 내부로 들어오면서 수평레버(20)를 뒤로 밀면 끝부분의 후면돌기(19)가 마이크로스위치(18)를 작동시켜 제품검지를 한다.
제품이 지그 내부에서 벗어나면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수평레버(20)는 앞으로 전진한다. 이때 스톱핀(17)에 의해 수평레버(20)가 정지되면서 처음의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몇가지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일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품 접촉부와 감지부를 분리하여 충돌에 의한 제품검지장치의 파괴를 하고, 강철튜브로 만들어진 연장레버를 제거함으로써 연장레버의 변형에 의한 착오나 연장레버 자체의 무게에 의한 관성때문에 발생하는 오동작을 예방하여 수리에 필요한 시간과 경비의 낭비를 배제하고, 착오 수정에 필요한 수고의 원인을 제거하여 경제적, 시간적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그(4)의 상단과 하단에 제품파지용 소형실린더(6)가 구비되고, 상기 지그(4)를 관통하여 스프링(13)과 스톱핀(17)에 의해 제한된 직선운동을 하는 수평레버(15)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수평레버(15)의 선단에 진공발생기(12)와 호스(14)를 통하여 연결된 흡착패드(11)를 설치하고 상기 진공발생기(12)의 일측에 진공확인스위치(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버(15) 및 흡착패드(11)를 지그(4)의 내부상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KR2019940034822U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KR0121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22U KR0121836Y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22U KR0121836Y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610U KR960020610U (ko) 1996-07-18
KR0121836Y1 true KR0121836Y1 (ko) 1998-08-01

Family

ID=1940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822U KR0121836Y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8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6841B2 (en) 2009-12-17 2018-09-18 Kuka Deutschland Gmbh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anipulator
KR20210153399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유니온프라스틱 취출장치
KR102517702B1 (ko) * 2022-11-21 2023-04-04 주식회사 이레테크 사출성형품 취출 및 배출 자동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6841B2 (en) 2009-12-17 2018-09-18 Kuka Deutschland Gmbh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anipulator
KR20210153399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유니온프라스틱 취출장치
KR102517702B1 (ko) * 2022-11-21 2023-04-04 주식회사 이레테크 사출성형품 취출 및 배출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610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836Y1 (ko) 취출로보트의 제품검지장치
CN110739481A (zh) 入壳设备
CN105269554A (zh) 一种能够消除偏移程序累积误差的机器人手爪
JP5385623B2 (ja) ロケートクランプ装置及びワークパネルのクランプ方法
CN206297119U (zh) 一种带复位检测功能的注塑模具和顶针复位检测系统
JP4702262B2 (ja) ハンドラの半導体チップ検出方法及びハンドラ
JP3891655B2 (ja) 部品吸着装置
CN216707308U (zh) 组装治具
JPH0925219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CN104692116A (zh) 一种物料组装机构
JPS6331931Y2 (ko)
CN216480096U (zh) 一种皮带安全防护图像识别装置
JPH0547898A (ja) 部品吸着搬送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212963899U (zh) 工件压损气密检测机
KR102346851B1 (ko) 취출장치
CN110589123A (zh) 一种塑料瓶瓶口正反向检测装置
CN113500370B (zh) 糖果罐后加工设备
KR102518414B1 (ko) 반도체용 엘피엠에 구비되는 풉의 탑재안내모듈
JPH05229649A (ja) 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
KR0126739Y1 (ko) 스크류체결용 로보트의 스크류체결장치
CN206711843U (zh) 断路器的防指触片的自动装配装置及断路器生产线
JPH02106292A (ja) ロボットハンド
JPH04118933U (ja) ワツシヤ−装着装置
JPH1022307A (ja) ダイボンダーのコレットタッチ検出機構
KR0129443Y1 (ko) 로보트 아암 장착용 진공흡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