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08Y1 -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08Y1
KR0121708Y1 KR2019940014693U KR19940014693U KR0121708Y1 KR 0121708 Y1 KR0121708 Y1 KR 0121708Y1 KR 2019940014693 U KR2019940014693 U KR 2019940014693U KR 19940014693 U KR19940014693 U KR 19940014693U KR 0121708 Y1 KR0121708 Y1 KR 0121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ic
washing machine
commercial
micro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812U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4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08Y1/ko
Publication of KR960001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고안은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있어도 전원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지 않으면 전기부하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고안은,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와, 상기 상용교류전원이 상기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1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타 및 전기부하의 일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1릴레이와;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2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의 타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2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전원 공급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원코드 21 : 마이크로컨트롤러
22,23 : 모터 24 : 전기부하
RL1,2 : 릴레이 TA1,2,3 : 트라이악
W1,2 : 전선 P-SW : 전원 스위치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있어도 전원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지 않으면 전기부하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항시 물과 연관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만큼 전기 사고에 대한 위험이크다. 특히, 전류 누설에 의한 감전사고는 인명과 관련되어 있어 세탁기 생산업자들은 이에 대한 대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류 누설에 의한 감전사고는 여러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데, 그 일례를 제1도에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전원코드(10)가 미도시된 벽전원에 연결되고 주전원 스위치(P-SW)가 온(ON)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MCU; 11)는 그 자체에 내장된 초기화 프로그램동작에 의해 릴레이(RL1) 코일의 일측과 접속된 마이크로컨트롤러(MCU; 11)의 단자(P1)를 로우(low)로 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1)의 단자(P1)가 로우로 되면 릴레이(RL1) 코일의 타측과 접속된 직류전원(Vd)이 단자(P1)로 흐르게 된다. 릴레이(RL1) 코일에 전류가 흘러 여자되면 릴레이 접점이 오프상태에 온상태로 변환된다. 이로써, 세탁기의 전원 공급상태가 준비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전원코드(10)가 벽전원에 연결되고 주전원 스위치(P-SW)가 오프되어 있어도 상용교류전원은 마이크로컨트롤러(11)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그 각각에 접속된 트라이악(TA1,2,3)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2,13) 및 기타 전기부하(14)의 일단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만일 모터(12,13)또는 전기부하(14)등에서 전류누설이 발생되거나 전선이 벗겨져 전류누설이 발생할 경우, 이 누설 전류는 세탁기 몸체등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감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전원체계에서는 세탁기 사용자가 전원코드(10)만 벽전원에 연결하고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기의 전원코드만 벽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세탁기의 모든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는,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와, 상기 밧용교류전원이 상기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1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모타 및 전기부하의 일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1릴레이와,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2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의 타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2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는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감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벽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상용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전선의 제1선(W1)과 그 일단이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타(22,23) 및 전기부하(24)의 일측과 접속되는 스위치 접점(SW1)과 마이크로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C1)로 구성된 제1릴레이(RL1)와; 상기 전선의 제2선 (W2)과 그 일단이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22,23) 및 전기부하(24)의 타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W2)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C2)로 구성된 제2릴레이(RL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릴레이(RL2)의 스위치접점(SW2)과 모터(22,23), 전기부하(24)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21)의 제어에의해 동작되어 모터(22,23), 전기부하(24)를 구동하는 트라이악(TAI,2,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1,2릴레이(RL1,2)의 스위치접점(SW1,2)이 온되도록 하는 주전원스위치(P-SW)가 마이크로컨트롤러(21)와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코드(20)가 벽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스위치(P-SW)가 온되지 않은 경우는 제1,2릴레이(RL1,2)의 코일(C1,2)이 여자되지 않아 릴레이의 스위치접점(SW1,2)이 오프된다. 즉, 상용교류전원(AC)이 릴레이의 각 스위치접점(SW1,2)에만 머무르게 되어 모터(22,23), 전기부하(24) 및 미도시된 기타의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모터나 전기부하에 누설전류방지 부재들이 파손되어 있어도 감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코드(20)가 벽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스위치(P-SW)가 온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21)는 전원스위치(P-SW)의 접점신호를 인식하여 내장 프로그램의 제어에 의해 단자(P1,2)를 로우로하여 릴레이의 코일(C1,2)을 여자한다. 릴레이의 코일(C1,2)이 여자되면 릴레이의 각 스위치접점(SW1,2)이 온되어 모터(22,23), 전기부하(24) 또는 미도시된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21)가 트라이악(TA1,2,3)를 제어하면, 이 제어에 의해 모터(22,23), 전기부하(24)가 구동되어 소정의 작업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는, 교류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의 각단에 릴레이를 설치하고 주전원 스위치가 온될 경우에만 릴레이를 동작시켜 각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와, 상기 상용교류전원이 상기 복수의 모터 및 전기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1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타 및 전기부하의 일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1릴레이와, 그 일단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제2선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의 타측과 접속되는 스위치접점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코일로 구성된 제2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될 경우에 상기 제1,2릴레이의 접점이 온되어 상기 모터 및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KR2019940014693U 1994-06-22 1994-06-22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KR0121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693U KR0121708Y1 (ko) 1994-06-22 1994-06-22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693U KR0121708Y1 (ko) 1994-06-22 1994-06-22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12U KR960001812U (ko) 1996-01-19
KR0121708Y1 true KR0121708Y1 (ko) 1998-10-01

Family

ID=1938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693U KR0121708Y1 (ko) 1994-06-22 1994-06-22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59B1 (ko) * 2002-07-25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력향상장치
KR102429180B1 (ko) * 2018-01-12 2022-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12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6061A (ko) 건조기의 히터 제어장치
KR0121708Y1 (ko) 세탁기의 감전방지 장치
KR0184799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제어장치
KR100383072B1 (ko) 스타-델타 접촉기
KR100208353B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원회로 및 그 전원공급 제어방법
KR0179870B1 (ko) 모터 구동 제어 회로
JP3457570B2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
JP2904973B2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
CN211046802U (zh) 基于大功率电机软起动的控制电路
KR0116465Y1 (ko) 세탁기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KR19980035612A (ko) 모터 구동 교대운전 제어 장치
JPH04354374A (ja) ハイブリッドスイッチ
KR950003016Y1 (ko) 3상모터의 결상보호 자동제어장치
JPH10156084A (ja) 洗濯機
KR940006459Y1 (ko) 이종의 상용전원 자동전환장치
SU1319212A1 (ru) Двухдвига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KR200181803Y1 (ko) 돌입전류 제한회로
KR100283320B1 (ko) 차량의 스타트 불량방지 회로
KR0127512B1 (ko) 인버터 세탁기의 정전 보상회로
KR940008533B1 (ko) 3상모터의 단상전원 구동회로
SU11493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ухдвигатель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JP3784410B2 (ja) ワイパー装置のための回路装置
US20110006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izing an electric motor auxiliary winding and electric motor
SU892641A1 (ru) Система возбуждени дл синхронной машины
JPS60194788A (ja) 交流電動機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