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082Y1 -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082Y1
KR0121082Y1 KR2019950010423U KR19950010423U KR0121082Y1 KR 0121082 Y1 KR0121082 Y1 KR 0121082Y1 KR 2019950010423 U KR2019950010423 U KR 2019950010423U KR 19950010423 U KR19950010423 U KR 19950010423U KR 0121082 Y1 KR0121082 Y1 KR 0121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inner shell
electric coil
shel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498U (ko
Inventor
엄재문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50010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082Y1/ko
Publication of KR960036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Electro Magnetic Stirrer Roll)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외피(2)가 허브(3)에 의해 베어링블록(7)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롤외피(2)에 내장되는 전기코일내피(5)의 외주면에 전기코일(5-1)이 감기며, 상기 전기코일내피(5)의 내측을 흐르는 냉각수가 순환공(22)을 통해 상기 전기코일내피(5)와, 롤외피(2) 및 허브(3) 사이에 공급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에 있어서, 상기 롤외피(2) 및 허브(3)와, 전기코일내피(5) 사이에 롤내피(1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롤내피(11)의 양단에 너트(13) 및 패킹(14)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Electro Magnetic Stirrer Roll)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외피에 내장되는 전기코일내피의 외주면에 전기코일을 감고, 이 전기코일에 전기를 인가하여 롤외피를 통과하는 주편내 용강에 유도자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주편내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Electro Magnetic Stirrer Rol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법에 의해 생성되는 주편은 냉각수 살수로 급격히 냉각되는데, 이는 조괴법에 의해 응고상 전면에서의 온도경사를 크게 하여 이로 인한 주상정의 성장을 촉진시켜 주편의 내부 품질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즉, 냉각수에 의한 주편의 급냉각은 주편의 내부중앙에 크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주편의 내부품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강의 온도를 낮추어 주상정의 발달을 억제하고, 등축정구역을 확대시키는 작업방법을 실시하여야 하나, 이렇게할 경우 침지노즐의 막힘 등 작업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강의 청정도를 나쁘게 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작업성 및 강의 청정도를 개선하면서 주편의 내부품질에서도 저온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Electro Magnetic Stirrer Roll)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전자교반장치롤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외피(2)에 전기코일내피(5)가 내장되어 있고, 주조중인 주편의 표면이 롤외피를 통과할 때 전기코일내피(5)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전기코일(5-1)의 전기작용으로 주편내 용강(1500∼1560℃)에 유도자장을 형성하여 자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교반력을 일으키게 하고, 이로써 등축정 확대 및 결정립미세화, 비금속게재물의 분산효과를 이루어주면 주편 내부의 품질향상을 기하는데 효과가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교반장치롤은 고정볼트(1)에 의해서 연속주조설비에 고정되어 있으며, 주편의 계속되는 인출에 따라 롤외피(2)가 회전되며, 롤외피와 연결되는 허브(3)도 롤러베어링(4)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롤외피(2)의 내부에는 통과되는 주편의 열(700∼1300℃)로부터 전기코일내피(5)를 보호하기 위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냉각수가 흐르고 있으며, 고정된 전기코일내피(5)와 회전되는 허브(3) 사이에는 냉각수 누출방지용 오링(6)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오링(6)은 회전되는 허브(3)와 고정된 전기코일내피(5)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허브와 마찰을 일으키게 하고, 또한 롤외피(2)를 통과하는 주편의 고열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롤외피(2)와 전기코일내피(5) 사이를 흐르는 냉각수가 누수되고, 이 때문에 롤외피(2)와 전기코일(5-1)의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아니라 이에 따른 롤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롤외피와 전기코일내피 사이에 롤내피를 고정 설치하고, 롤내피의 양단측을 패킹과 너트로 밀봉하여 롤내피와 전기코일내피 사이를 흐르는 냉각수의 누수를 완전 차단함으로써 수명을 영구화할 수 있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Electro Magnetic Stirrer Roll)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볼트 2 : 롤외피
3 : 허브 4 : 롤베어링
5 : 전기코일내피 5-1 : 전기코일
6 : 오링 7 : 베어링블록
8 : 냉각수공급박스 11 : 롤내피
12 : 미끄럼베어링 13 : 너트
14 : 패킹 20 : 냉각수공급관
21 : 전원케이블 22 : 순환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롤외피가 허브에 의해 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롤외피에 내장되는 전기코일내피의 외주면에 전기코일이 감기며, 상기 전기코일내피의 내측을 흐르는 냉각수가 순환공을 통해 상기 전기코일내피와, 롤외피 및 허브 사이에 공급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에 있어서, 상기 롤외피 및 허브와, 전기코일내피 사이에 롤내피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롤내피의 양단에 너트 및 패킹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고열의 주편과 접촉을 하면서 회전되는 롤외피(2)에는 그 양단측에 각각 허브(3)가 다수의 볼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베어링블록(7)에 삽입되는 허브는 롤베어링(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롤외피(2) 및 허브(3)에 내장되는 전기코일내피(5)는 양단이 너트(13)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고, 롤외피측에 내장되는 외주면에 전기코일(5-1)이 감겨져 있으며, 이 전기코일은 전기코일내피에 삽입되는 전원케이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롤외피(2) 및 허브(3)와, 전기코일내피(5) 사이에는 롤내피(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롤내피(11)는 그 양단측이 각각 너트(13)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너트(1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롤내피(11)의 양단면에는 각각 고무재질의 패킹(14)이 부착되어 있어 전기코일내피(5)와 롤내피(11) 사이를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롤내피(11)는 양단측에 각각 미끄럼베어링(12)이 장착되어 허브(3)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롤외피(2)가 고열의 주편과 접촉되면서 회전되면 허브(3)는 롤베어링(4)과 미끄럼베어링(12)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이때, 전원케이블(21)에 연결되는 전기코일(5-1)에 전원이 공급되면 롤외피(2)를 통과하는 주편내의 용강에 유도자장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써 주편내의 용강은 교반을 일으키면서 등축정 확대 및 결정립의 미세화, 비금속개재물의 분산효과가 있어 주편의 내부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고열의 주편에 의해 전자교반장치롤의 과열을 막기 위하여 냉각수공급관(20)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면 냉각수는 냉각수공급박스(8)를 통해 전기코일내피(5)의 좌측으로 공급되어 전기코일내피의 우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전기코일내피(5)를 화살표(→)방향으로 흐르는 냉각수는 전기코일내피(5)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순환공(22)을 통해 전기코일내피와 롤내피(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배출된다.
또한, 전기코일내피(5)와 롤내피(11) 사이를 흐르는 냉각수는 롤내피(11)의 양단측에 결합되는 너트(13) 및 패킹(14)에 의해 완전 밀봉된 상태로 고열의 주편에 의해 과열된 롤외피(2)와 전기코일(5-1)을 냉각하게 된다.
한편 롤내피(11)는 고정된 상태로 양단에 너트(13) 및 패킹(14)이 결합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냉각수 누수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롤외피와 전기코일내피 사이에 롤내피를 고정 설치하고, 롤내피의 양단측을 패킹과 너트로 밀봉하여 롤내피와 전기코일내피 사이를 흐르는 냉각수의 누수를 완전 차단함으로써 수명을 영구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롤외피(2)가 허브(3)에 의해 베어링블록(7)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롤외피(2)가 내장되는 전기코일내피(5)의 외주면에 전기코일(5-1)이 감기며, 상기 전기코일내피(5)의 내측을 흐르는 냉각수가 순환공(22)을 통해 상기 전기코일내피(5)와, 롤외피(2) 및 허브(3) 사이에 공급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에 있어서, 상기 롤외피(2) 및 허브(3)와, 전기코일내피(5) 사이에 롤내피(1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롤내피(11)의 양단에 너트(13) 및 패킹(14)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의 전자교반장치롤.
KR2019950010423U 1995-05-17 1995-05-17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KR0121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423U KR0121082Y1 (ko) 1995-05-17 1995-05-17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423U KR0121082Y1 (ko) 1995-05-17 1995-05-17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498U KR960036498U (ko) 1996-12-16
KR0121082Y1 true KR0121082Y1 (ko) 1998-08-01

Family

ID=1941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423U KR0121082Y1 (ko) 1995-05-17 1995-05-17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0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498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4945B2 (ja) 幅の広い横断面の金属製品の連続鋳造機用の撹拌ロール
KR20060016659A (ko) 고 용해효율 전자기 연속주조장치
KR0121082Y1 (ko) 연속주조설비의 전자 교반장치롤
KR960010241B1 (ko)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US5197535A (en) Liquid metal stirring during casting
US6471509B2 (en) Strip guiding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struction for changing supporting rolls having cooling means
JP4157616B2 (ja) 鋳造装置
US3103605A (en) Water-cooled eddy current coupling
JP2019161764A (ja) 回転電機
KR100533132B1 (ko) 전자기교반기의 냉각장치
JP4428545B2 (ja) 高周波誘導加熱用のコイル装置
KR100494105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
JP3547202B2 (ja) 大型回転電機カップリング分解方法
JP2019157907A (ja) 軸受箱及び軸受箱の冷却方法
SU1617043A1 (ru) Установка нанесени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 на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KR200180096Y1 (ko) 연주기 시그멘트의 아이들롤 리볼브 유니트
JP3348838B2 (ja) 半凝固金属の連続鋳造装置
KR100419884B1 (ko) 전자기주조에서 몰드 및 주편 냉각 장치
KR101858834B1 (ko) 세그먼트 롤 장치
JP2731984B2 (ja) 誘導発熱ローラ装置
KR100433580B1 (ko) 빌렛 연속주조공정의 몰드 전자기 교반장치
JP2000271706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方法とその装置
JP3570124B2 (ja) 連続鋳造装置
JPS5942199Y2 (ja) 電磁撹拌装置
KR20140110258A (ko) 전자기 교반 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