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41B1 -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41B1
KR960010241B1 KR1019930702477A KR930702477A KR960010241B1 KR 960010241 B1 KR960010241 B1 KR 960010241B1 KR 1019930702477 A KR1019930702477 A KR 1019930702477A KR 930702477 A KR930702477 A KR 930702477A KR 960010241 B1 KR960010241 B1 KR 96001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roll
side gate
cooling
coo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097A (ko
Inventor
케니찌 미야자와
다께히꼬 토
도시아끼 미조구찌
요시유끼 우에시마
Original Assignee
미노루 다나까
신니뽄세이데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다나까, 신니뽄세이데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노루 다나까
Publication of KR93070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22D11/0662Side dams having electromagnetic conf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A도는 평면도이며, 제1B도는 제1A도의 좌측면도.
제2도는 제1B도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3도는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 사이에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제3A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이며, 제3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부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부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6A도는 평면도이며, 제6B도는 제6A도의 좌측면도.
제7도는 제6B도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단부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단부평면도.
제10도는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박판주조의 측면위어 사이에 갭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냉각롤2a,2b : 롤축
3a,3b : 측면게이트7 : 유입노즐
4a,4a-1,4b,4b-1 : 자극(DC 자장 인가용)
5a,5b,6a,6b : 전극(DC 전류 인가용)
8 : 용융금속9 : 박판 주조스트립
10 : 유입용기부11,18,19 : 갭
12 :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3a,13b : DC 전원
14 : 링형태의 양호한 전기콘덕터15 : 절연체
16,20 : 측면게이트 열절연부17,21 : 양호한 전기콘덕터
22 : 롤표면에 형성된 고체화 셸
23,24 : 측면게이트 표면에 형성된 고체화 셸
본 발명은 소위 동시·연속주조방법에 의해 생산품의 두께에 가까운 박판두께를 가진 박판주조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롤의 상단부 사이에서 형성된 주입용기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막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시 연속주조방법은 주조스트립과 금형의 내벽 사이에 상대속도차를 일으키지 않는 특히, 쌍롤식 연속주조방법이다.
최근 금속의 연속주조분야에 있어서,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최종두께에 가까운 두께(2 내지 10mm)인 박판주조스트립을 주조하고,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내부에 냉각구조를 갖춘 냉각롤을 사용하며, 신규물질을 생성하는 등의 기술인 다양한 제안이 있어 왔다.
앞서 공지된 주조기술에 있어서, 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소위 박판을 연속주조방법은 회전가능한 한쌍의 냉각롤을 롤 사이에 적당한 갭을 제공하는 동안 서로 평행으로 마주보게 하기 위하여 각기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며, 갭위에 용융금속용 유입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냉각롤의 양단부 표면에 대하여 두개의 측면게이트를 압축시키고, 유입용기내 용융금속을 냉각시키는 동안 갭을 통해 박판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진다.
냉각롤의 주변외부가 회전하는 동안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0-166149호, 제63-180348호 및 제63-183750호와 이와 유사하게 다양한 폭의 스트립 주조기술을 공지한 것에 있어서, 쌍롤식 시스템은 주조스트립의 폭을 임의대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0-166149호에 공지된 연속주조기계에 있어서, 회전냉각드럼은 그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드럼표면위에 장착된 보호판은 유입용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나머지 드럼의 측면에 대하여 스프링으로 압축되고, 이로써 주조스트립의 폭이 변화가능하다.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3-180348호는 냉각롤의 원주방향으로 진동하는 동안에 주조가 효과적인 주조방법을 공지하였다. 측면게이트는 냉각롤의 축방향과 나머지 냉각롤의 원주표면을 향해서 이동된 하나의 냉각롤의 측표면에 접하여 있다. 그리고,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3-183750호는 용융금속이 냉각드럼과 측면게이트 사이를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냉각드럼의 원주표면과 인접한 뾰족한 단부를 구비한 측면게이트를 공지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기술로 측면위어(weir)까지 한방향 또는 진동적용으로 냉각롤에 대하여 측면위어를 기계적 압축함으로써, 용융금속이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위어 사이의 갭 즉, 냉각롤의 원주표면과 측면위어 사이에 갭을 침투(즉, 용융금속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는 용융금속으로 하여금 주조스트립위에 주조거스러미(cast fin)를 형성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갭을 침투하게 한다. 이 거스러미는 측면게이트의 내화재료를 바람직하지 않게 밀어내는데, 그 내화재료는 용융금속의 누출을 일으킨다.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2-104653호는 롤의 축방향에서 냉각롤의 단부로부터 롤내부로 전자기력을 인가하기 위해 각 냉각롤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DC 자속 발생기에 의해, DC 전류와 동일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용융금속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DC 자속을 띠고 있는 냉각롤 사이의 공간에 들어 있는 용융금속에 DC를 인가하기 위해 쌍롤 시스템의 에너지를 가하는 냉각롤의 표면(원주표면)으로 전극을 미끌어뜨려 넣음으로써, 냉각롤의 선단부로부터 누출되려하는 용융금속을 보지시키고 용융금속의 선단면의 형성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 제62-77154호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공지하였다. 그 기술은 용융금속에 에너지를 가하는 전극이 쌍롤식 시스템으로 냉각롤의 지지축에 장치되어 냉각롤의 양쪽외부면(단부표면)에 제공된 에너지를 가하는 판으로 된 용융금속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류를 앞서 언급된 전류의 반대방향으로 용융금속에 공급하기 위하여 용융금속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로써, 롤의 측표면으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가하는 판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에서 전자기 반발력을 발생한다.
또한,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 제63-97431호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공지하였다. 그 기술은 쌍롤식 시스템으로 냉각롤의 측면 단부표면위에 자석을 장치하여 레이들(ladle)안에 있는 전극과 금속주조판위에 제공된 접촉부 사이에서 흐르는 DC로써 힘의 자력선방향으로 서로 반발하는 자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DC는 레이들안에 있는 전극과 금속주조판위에 제공된 접촉부 사이에서 흐른다. 이로써, 냉각롤 사이에서 용융금속을 정지시키는 전자기력을 일으킨다.
앞서 공지된 기술에 있어서, DC가 전체 용융금속에 인가되기 때문에, 냉각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있는 공간이 큰 경우 전자기력은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되고, 전류 및 강한 자계에 의해 발생된 보통 전자기력은 용융금속을 보지시키기 어렵고, 다음에는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위에서 공지한 방법으로 제공된 전자기력이 유입용기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완전히 멈출 수 없으므로, 용융금속이 예컨대, 50mm 혹은 그 이상의 높이를 가질 경우에 진동은 결과적인 주조스트립의 단부를 동요하게 함으로써, 주조스트립 단부는 나중단계에서 절단되어지며, 이는 주조기계와 주조스트립 산출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며 주조스트립의 단부에 있는 주조거스러미의 발생, 유입용기에 있는 갭에서 용융금속의 누출 혹은 용융금속의 진동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판의 주조를 열 혹은 측면게이트의 강제진동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측면게이트상에 금속의 증착을 최소화하도록 매끄럽게 실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판을 주조하는 후속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쌍롤식 시스템의 연속주조장치로서,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그 각각의 표면에 한쌍의 측면게이트 사이에 있는 갭은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쌍롤식 시스템의 연속주조장치에 DC 자계는 용융금속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유입용기내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에 인가된다. 동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안으로 DC를 집중적으로 흐르게 하는 위에 공지한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미끌어지도록 접촉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기력을 앞서 언급된 DC 자계와 DC에 의해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게 한다. 따라서, 주조는 용융금속의 모서리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안 실행될 것이다.
DC를 공급하는 전극을 슬라이드 접촉부와 접촉시키는 냉각롤의 위치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DC인 경우에 전류 및 전기저항의 곱은 전극을 통하는 전압이다. 전기저항은 전류의 도통거리가 증가할수록 증가되기 때문에 전류가 균일한 전기저항을 갖는 재료를 통해 흐르는 경우, 전류값은 도통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양극에서 DC 전류가 낮은 전기저항 혹은 짧은 도통거리를 가진 곳을 통해 흐르는 경우 전류값은 높으며, 반대로, DC 전류가 높은 전기저항 혹은 긴 도통거리를 가진 곳을 통해 흐르는 경우 전류값은 낮다.
일본 미심사 특허공개(고카이) 제62-104650호에 공지한 바와 같이, 전류는 또한 롤의 축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극을 한쌍의 냉각롤 원주표면의 하부에 접촉시킬 때, 분포전류는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안으로 흐름으로써, 발생된 전자기력이 작아서 용융금속이 측면게이트와 롤 사이에 갭을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접촉부에 부분에서 롤표면의 연마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일어난다. 반대로,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전극의 슬라이드 접촉부는 전류를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을 통해 흐르게 하며, 이는 용융금속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현저한 증가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가 절연체에 장치된다. 절연체는 다량의 전류를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안으로 흐르게 할 목적으로 냉각롤의 단부표면위에 도포된다. 특히,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표면과 전극의 슬라이드 접촉부는 전류를 냉각롤의 본체안으로 흐르지 않게 하며 양호한 전기콘덕터를 통해서만 흐르게 하기 때문에, 전류가 용융금속안으로 흐르는 경우 전자기력은 집중적으로 게이트를 발생한다.
양호한 전기콘덕터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게이트안에 합체될 때, 갭은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 사이에 있으므로,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는 매우 짧은 거리를 두고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양호한 전기콘덕터 사이에 끼어 있으며, 이는 회로의 전기저항을 낮게 함으로써, 용융금속의 모서리부안으로 흐르는 전류의 값이 커지게 하고 따라서, 최대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력이 용융금속의 모서리부 부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그 장점은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 사이에 공간으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금속의 적하 혹은 주조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으며, 용융금속의 모서리부가 상기 언급된 갭의 출현으로 인한 공기 냉각방식으로 냉각되므로 열전대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 등이다.
전자기력을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동일 효과는 또한 주조가 다양한 스트립폭의 주조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될 때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냉각롤은 냉각롤의 축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장착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주조장치의 개략도이다. 이 장치는 서로 평행으로 축(2a),(2b)을 갖춘 냉각롤(1a,1b), 냉각롤(1a,1b)을 마주보게 하기 위하여 각기 제공된 측면게이트(3a,3b) 및 유입용기부(10)안으로 용융금속(8)을 유입하는 노즐(7)로 이루어진다. 박판주조에 있어서, 냉각롤(1a),(1b)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A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융금속을 냉각하여 고체화하며, 동시에 접촉점(Kissing point)(냉각롤의 원주표면(1a-1,1b-1) 사이에 가장 접근한 점)에서 고체화 셸을 압축하여 접착시킴으로써 계속해서 박판(9)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일 먼저 앞서 설명한 장치에 있어서, 갭(11a),(11b)은 냉각롤의 단부표면(1a-2),(1b-2) 사이에 제공되며, 표면(3a-1),(3b-1)은 그 측면게이트(3a),(3b)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이러한 갭은 주조하는 동안 발생한 열전대의 출현을 방지할 목적으로 특히 제공된다. 이는 제3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롤의 단부표면(1a-2,1b-2)은 단부표면을 마주하는 측면게이트의 표면(3a-1)과 접촉하여 있고, 고체화 셸(22a,22b)은 냉각롤의 원주표면(1a-1,1b-1)위에 형성되며, 많은 경우에 있어서, 고체화 셸(23a)은 또한 측면게이트(3a)위에 형성된다(특히, 예열도 강제적인 진동도 인가되지 않을 때).
고체화 셸(22a,22b)은 냉각롤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아래로 이동한다. 동시에, 고체화 셸은 측면위어에 형성된 고체화 셸(23a)과 결합하며, 결과적인 조합은 아래로 이동한다. 이러한 고체화 셸이 접촉점을 통과할 때, 고체화 셸은 냉각롤 사이에 갭을 넓혀서 국부적으로 증가된 두께 즉, 열전대를 가진 주조스트립을 형성한다.
주조스트립에서 국부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 이외에도, 열전대가 후속하는 문제점으로 일어난다. 고체화 및 냉각율은 음향부에서보다 낮기 때문에, 주조스트립은 주조스트립의 감기 및 운반중에 쉽게 부러지며 박판형태의 주조스트립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것을 방해한다. 측면게이트의 강제진동 혹은 예열이 열전대의 형성을 방해할 목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조차도 열전대의 형성을 완전하게 막기는 어렵다.
더욱이, 용융금속의 적하 혹은 주조거스러미는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이와 접착상태로 있는 측면게이트 사이에 갭에서 용융금속이 누출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쉽다. 측면게이트가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강하게 압축될 때, 주조된 혹은 그와 같은 것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모는 측면게이트에서 일어나고, 보수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는 달리,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게이트(3a)와 냉각롤의 단부표면(1a-2),(1b-2) 사이에 미소공간이 제공될 때, 갭(11a,11b)에 있는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가 냉각되기 때문에 어떠한 고체화 셸도 형성되지 않으며, 측면게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고체화 셸(24a)의 폭이 너무 작아져서 고체화 셸(24a)이 고체화 셸(22a),(22b)과 결합하지 않음으로써 열전대의 형성을 방지한다. 특히, 냉각롤의 측면위에 고체화 셸은 용융금속이 유입용기부의 메니스커스부(meniscus) 혹은 중간부에 도착할 때까지 측면게이트의 측면위에 고체화 셸과 결합하지 않을 때, 용융금속의 유입율은 유입용기부의 하부 즉, 접촉점 부근에서 높아지기 때문에, 측면게이트에 있는 고체화 셸의 발달은 억제되고 이로써, 고체화 셸이 서로 결합할 어떠한 가능성도 없으며, 열전대 형성을 피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표면 사이에 공간이 제공될 때, 갭안으로의 용융금속의 침투, 또한, 용융금속의 누출이 바람직하지 않게 일어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력은 측면게이트 부근에 한부분 특히, 앞서 설명한 갭에 존재하는 용융금속의 모서리부에서 주로 집중적으로 작용하며, 그 모서리부안에 있는 용융금속을 보지시킨다. 이로써, 열전대의 형성, 주조거스러미와 같은 주조결함 및 용융금속의 누출을 동시에 방지한다.
전자기력이 측면게이트 부근에서 용융금속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인가하는 수단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쌍롤식 주조장치에 있어서, DC 자계를 공급하는 자극(4a,4a-1,4b,4b-1)이 측면게이트(3a,3b)의 위 아래에 장착되고, DC를 공급하는 전극(5a,5b,6a,6b)은 냉각롤(1a,1b)의 단부표면(1a-2,1b-2)과 경사지게 접촉하여 있다. 도면부호(13a,13b)는 각각 DC 전원을 나타낸다.
앞서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주조하는 동안에 자극(4a-1)(N극)에서 자극(4a)(S극)을 향한 상승 DC계와 자극(4b-1)(N극)에서 자극(4b)(S극)을 향한 하강 DC 자계가 인가된다. 더욱이, 전극(5a,5b,6a,6b)을 DC를 공급하기 위하여 A방향으로 회전되는 냉각롤의 단부표면(1a-2,1b-2)에 접촉시킨다.
제2도는 전극(5a,5b)과 접촉하여 있는 냉각롤의 단부표면 측면위에 자기력의 발생상태와 전류흐름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DC 전원(13)에 남아 있는 DC 전류(J)는 전극(5b)에서 나와 냉각롤(1b-2)의 단부표면을 통해 냉각롤(1b)안으로 흐른다. 대부분의 DC 전류(J)는 냉각롤의 단부표면(1b-2) 부근에서 흐르고, 용융금속(8)과 냉각롤(1a)을 통해 지나고나서 전극(5a)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DC 전류(J)가 인가될 때, 냉각롤의 축방향을 따라 냉각롤의 중심을 향하는 전자기력(F)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DC 자계안에 자계(B)의 기능으로 인해 측면게이트(3a) 부근에 주로 있는 용융금속에 작용한다.
자극(4a,4a-1)이 각기 N극 및 S극일 경우, DC가 전극(5a)에서 나온 전극(5b)을 향해 공급된다면, 냉각롤의 폭중심을 향하는 전자기력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측면게이트(3a)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DC 자계의 방향이 반대일 경우조차도, 전자기력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DC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롤의 폭방향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전극(6a,6b)과 접촉하여 있는 냉각롤 단부표면의 측면위에 용융금속에 대하여, 전자기력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주요점하에 용융금속에 작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박막형태인 절연체(15a,15b)가 제1도에 도시된 냉각롤(1a,1b)의 각 단부표면(1a-2,1b-2)에 부착해 있으며, 링형태인 양호한 전기콘덕터(14a,14b)가 단부표면위에 장착된다. 전극(5a,5b)은 양호한 전기콘덕터(14a,14b)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조에 있어서, 자극(4a-1)에서 자극(4a)까지의 DC 자계가 용융금속에 인가된 전극(5b)에서 전극(5a)까지의 DC를 띠고 있는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에 인가될 때, 양호한 전기콘덕터(14b)와 접착한 전극(5b)은 냉각롤(1b)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하므로, DC 전원(13a)에 남아 있는 DC 전류(J)는 절연체(15a,15b)의 효과 덕택에 양호한 전기콘덕터(14b)를 통해서만 흐르고,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를 포함한 용융금속의 단부표면을 통해 집중적으로 흐른 다음 양호한 전기콘덕터(14a)를 통해 전극(5a)으로부터 DC 전원(13a)까지 되돌아온다.
따라서, DC 전류(J)가 용융금속의 단부를 통해 집중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큰 전자기력(F)은 DC 자계의 기능 덕택으로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에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강도가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행된 것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는 주조거스러미 및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17)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게이트위어(3a,3b)(측면위어(3b)는 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갭(11a,11b)과 대향하며, 용융금속의 각 모서리부의 한 단부가 측면게이트 영역에 있는 측면게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에 도달한 측면게이트의 제한영역에 있어서, 측면게이트 영역에 있는 측면게이트는 유입용기부의 메니스커스 부근에서 접촉 부근까지의 영역에 대응하며, 양호한 전기콘덕터(17-1,17-5)는 굴곡부(17-2,17-3,17-4)에서 서로 이어진다. 그러한 측면게이트로 만들어지고, 수직 DC 자계가 전극(5b)에서 나와 DC 전원(13a)을 통해 전극(5a)까지 공급되는 DC 전류로써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측면게이트 부근에서 용융금속에 인가될 때,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양호한 전기콘덕터 사이에 아주 작은 도통거리로 인해 전기저항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류가 냉각롤의 단부로 유입됨으로써, 이러한 다량의 전류가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안으로 집중적으로 흐른다. 그 결과,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보다 큰 전자기력(F)은 자극(B)의 기능으로 앞서 설명한 모서리부에서 발생한다. 전자기력(F)이 용융금속의 중심부분을 향하기 때문에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는 더욱 효과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결합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 결합은 더욱 커진 전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측면게이트내에 합체된 양호한 전기콘덕터가 용융금속보다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용융점이 유입온도보다 낮을 때,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용해를 막으려고, 측면게이트안에서 집중적으로 냉각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용융금속이 스테인리스강일 경우, 탄소강 혹은 그와 같은 것, 몰리브덴 혹은 구리는 측면게이트안에 양호한 전기콘덕터로 사용가능하다. 구리가 사용되는 경우, 내부 냉각수가 바람직하다.
자계밀도를 큰값으로 용융금속내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비자성 재료(내화물과 같은), 상자성 재료(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구리 및 몰리브덴)가 측면게이트를 구성하는 물질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스트립의 폭을 다양하게 주조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실행되어짐을 이하 설명할 것이다.
제6A도 및 제6B도에 있어서, 냉각롤은 비교적 축(2a,2b)의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되며, 측면게이트(3a)는 냉각롤(1a)의 원주표면(1a-1)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공되고 측면게이트(3b)와 함께 냉각롤(1b)의 단부표면(1b-2)은 냉각롤(1b)의 원주표면(1b-1)과 냉각롤(1a)의 단부표면(1a-3)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공됨에 따라 유입용기부(10)를 형성한다.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으로서 S극(4a)은 측면게이트(3a)위에 제공되며,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으로서 N극(4a-1)은 측면게이트(3a) 아래에 제공된다. 이와는 반대로,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으로서 N극(4b-1)은 측면게이트(3b)위에 제공되며,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으로서 S극(4b)은 측면게이트(3b) 아래에 제공된다.
DC를 인가하는 전극(5a,5b)은 냉각롤(1a,1b)의 단부표면(1a-2,1b-2)에 접착하여 제공되고 전극(6a,6b)은 냉각롤(1a,1b)의 단부표면(1a-3,1b-3)에 접착하여 제공한다.
도면부호(7)는 유입노즐을 나타내고, 도면부호(13a,13b)는 DC 전원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장치에 있어서, 박판이 생산될 때 최초에, DC 자계는 자극으로서 N극(4a-1)에서 냉각롤의 단부표면(1a-2,1b-2)의 측면위 S극(4a)까지 인가된다. 동시에, DC 자계는 N극(4b-1)에서 냉각롤의 반대 단부표면(1a-3,1b-3)의 측면위에 S극까지 인가된다. 또한, DC는 냉각롤(1a)을 지나 측면게이트(3a,3b)를 통하여 전극(5b)에서 전극(5a)까지 그리고 전극(6b)에서 전극(6a)까지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용융금속(8)은 유입노즐(7)을 통해 유입용기부안에 유입된다. 측면게이트 부근에서 용융금속안으로의 전자기력은 전류의 공급 및 전류의 기능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기능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것이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부분도이며, DC 전류(J)의 상태, DC 자계(B) 및 냉각롤의 표면과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전자기력(F)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전류(J)는 DC 전원(13a)에서 전극(5b)과 냉각롤(1b)안에 냉각롤의 단부표면(1b-2)를 통해 흐르고, 냉각롤(1a)안에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8)을 통해 흐른 다음, 냉각롤의 단부표면(1a-2)과 전극(5a)을 통해 DC 전원(13a)으로 되돌아온다. DC 자계(B)의 인가는 힘의 자력선으로 하여금 도면의 종이표면으로부터 상부의 곧은 방향으로 흐르게 하고,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앞서 설명한 전류의 조합은 용융금속의 중앙부를 향하여 전자기력(F)을 발생한다. 앞서 공지한 구조에 있어서, DC 전류가 냉각롤(1b)안으로 흐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류는 냉각롤의 단부표면(1b-2) 부근에서 흐르게 되고 이로써, 다량의 전류는 용융금속의 흐름을 용융금속의 중앙부로 향하도록 큰 전자기력(F)을 발생하기 위하여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안으로 흐른다. 이러한 큰 전자기력은 용융금속이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원주표면 사이에 갭(18)이나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표면 사이에 갭(19)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제8도는 앞서 공지한 실시예보다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에서 더욱 집중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형태인 절연체(15a,15b)는 냉각롤(1a,1b)의 각 단부표면(1a-3,1b-2)위에 부착되고, 링형태인 양호한 전기콘덕터(14a-1,14b-1)의 표면에 접착된다. DC 전류(J)는 DC 전원(13a,13b)에 의해 공급되어 전극(5b)에서 전극(5a)으로, 전극(6a)에서 전극(6b)으로 향하게 된다. 전극(5b,6a)과 양호한 전기콘덕터(14a,14b)와의 접착은 양호한 전기콘덕터(14b,14a)를 흐르는 DC 전류(J)가 절연체(15b,15a)의 기능으로 인해 냉각롤의 본체안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가 용융금속의 단부로 흐르게 함으로써, 전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보다 더욱 큰 강도로 측면게이트 부근에 용융금속의 단부안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에 대하여, 수직 DC 자계가 측면게이트 부근에서 인가될 때, 전자기력(F)은 용융금속의 단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DC 자계는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큰 강도로 용융금속의 모서리부에서 발생된다.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하게 양호한 전기콘덕터(21)가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는 측면게이트(3a)에 끼워짐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전기콘덕터(이 실시예에 있는 양호한 전기콘덕터(21-1,21-4)는 모서리부(12a,12b)가 측면게이트 표면과 접착한 최소 부분에서 끼워져야 한다. 이 구조에 있어서, DC 전류(J)는 용융금속의 모서리부(12a,12b)안으로 집중적으로 흐름으로써 더욱 커진 전자기력(F)은 DC 전자계(B)의 기능으로 모서리부에서 발생될 수 있다.
쌍롤식 시스템 박판주조에 본 발명의 적용에 대해서, 본 발명은 1m 또한 그 이상 폭을 가진 넓은 주조스트립의 주조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주조재료에 대해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재료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실리콘강, 탄소강 및 알루미늄과 구리합금 등에 적용시킬 수 있다.
주조스트립의 폭이 앞서 설명된 다양하거나 다양하지 않은 쌍롤식 시스템의 실시예라 하더라도, 본 발명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예열 혹은 강제진동이 측면게이트에 적용되는 경우, 예열 혹은 강제진동에 부가한 본 발명의 실시는 주조를 더욱 안정하게 실행하는 효과를 가진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있어서, 300A의 전류와 0.3 테슬라의 DC 자계가 측면게이트 부근에 인가될 때,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표면 사이에 갭 즉, 측면게이트의 측면과 냉각롤의 원주표면 사이에 갭은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용으로 0.1 내지 0.4mm의 범위,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용으로 0.1 내지 0.5mm의 범위 및 우물모양 단부인 주조스트립을 제공하는 견지에서는 제5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용으로 0.1 내지 1.5mm가 바람직하다.
보기
1. 주조스트립 폭이 변화하지 않을 경우
(1) 실험 조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을 박판으로 생산하는 실험은 구리합금으로 제조되고 300mm의 롤직경과 200mm의 폭으로 된 쌍롤식 주조기계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되었다. 주조율은 0.15 내지 1.5m/sec이었고, 롤과 주조금속과 접착한 호의 길이는 대략 85mm(롤 사이 갭에 있는 용융금속의 용기깊이:대략 80mm)이었다. 0.3 테슬라의 DC 자계는 쌍롤에 수직으로 인가되었고, 0 내지 500A의 DC 전류가 인가되었다. 후속하는 네가지 경우에 대한 실험은 상기 언급한 조건하에서 실행되었다. 측면게이트가 사용되었을 때, 측면게이트와 롤의 단부표면 즉,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단부표면 사이에 갭(17a,17b)은 0 내지 2m의 범위에서 변화되었다.
경우 1 : 어떠한 측면게이트도 사용되지 않았다.
경우 2 :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측면게이트가 사용되었다.
경우 3 : 제4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부착물은 절연체(15a,15b)로서 박막형태로 도포되었고, 5mm-두께인 링형태의 구리합금은 양호한 전기콘덕터(14a,14b)와 같이 제공되었으며, 알루미늄 측면게이트가 사용되었다. 동일한 구조가 또한 냉각롤의 단부(1a-3,1b-3)에서 사용되었다.
경우 4 :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내화재료는 측면게이트로 사용되었고, 구리는 양호한 전기콘덕터로 사용되었다. 동일한 구조가 냉각롤의 단부표면(1a-3,1b-3)에서 또한 사용되었다.
(2) 실험 결과
경우 1에 있어서, 본 실험조건하에 전자기력은 냉각롤의 단부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박판형태의 양호한 주조스트립을 제공할 수 없다.
경우 2에 있어서, 주조가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압축되는 측면게이트로서 300A의 인가전류에서 실행될 때, 열전대가 종종 발생하더라도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 사이에 갭이 대략 0.1 내지 0.4mm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우 열전대, 주조거스러미 및 용융금속의 누출이 조금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대략 1 내지 3mm의 두께와 대략 200mm의 폭을 가지는 박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 3에 있어서, 인가전류가 다소 증가될 때, 주조율에 따라 대략 1 내지 3mm의 범위의 두께와 대략 200mm의 두께를 가지는 양호한 주조스트립은 계속해서 발생될 수 있다. 300A인 인가전류의 경우에 우물모양의 단부로 이루어진 주조스트립은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에 있는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단부표면 사이에 갭이 대략 0.1 내지 0.8mm의 범위내에 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경우 4에 있어서, 300A의 DC로 실시된 실시예의 결과는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가된다. 열전대가 종종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 사이에 갭이 0일때, (즉, 주조갭이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압축되어 있는 측면게이트로 실시될 때) 주조거스러미도 용융금속의 누출도 일어나지 않는다. 갭이 대략 0.1 내지 1.5mm의 범위일 때, 어떠한 열전대, 주조거스러미 혹은 용융금속의 누출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우물모양의 단부표면으로 된 주조스트립이 발생될 수 있다. 갭이 대략 1.5mm 혹은 그 이상일 때, 주조거스러미와 용융금속의 미세한 누출이 일어난다. 인가전류가 증가할 때, 주조거스러미도 용융금속의 누출도 넓은 갭조건하에서 조차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졌다.
2. 주조스트립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
(1) 실험 조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을 박판으로 생산하는 실험은 구리합금으로 제조되고 300mm의 롤직경과 200mm의 폭으로 된 쌍롤식 주조기계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되었다. 주조율은 0.15 내지 1.5m/sec이었고, 롤과 주조금속과 접착한 호의 길이는 대략 85mm(롤 사이 갭에 있는 용융금속의 용기깊이:대략 80mm)이었다. 0.3 테슬라의 DC 자계는 두개의 냉각롤에 수직으로 인가되었고, 0 내지 500A의 DC 전류는 인가되었다. 후속하는 세가지 경우에 대한 실험은 상기 언급한 조건하에서 실행되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냉각롤중에서 한 냉각롤은 롤의 축방향에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서 주조스트립의 폭이 100mm 혹은 150mm가 되었다. 측면게이트의 측면과 냉각롤의 원주방향 사이에 갭(제7도 내지 제9도에 있는 도면부호(18))은 0.2mm이었고,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표면 즉,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표면 사이에 갭(제7도 내지 제9도에 있는 도면부호(18))은 0 내지 2mm의 범위에서 변화되었다.
경우 5 : 제7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측면게이트가 사용되었다.
경우 6 : 제8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경우 3과 동일한 절연체 및 양호한 전기콘덕터와 알루미늄 측면게이트가 사용되었다.
경우 7 : 제9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경우 4와 동일한 측면게이트 및 양호한 전기콘덕터가 사용되었다.
(2) 실험 결과
경우 5에 있어서, 경우 2와 같이, 주조가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압축된 측면게이트로 300A의 인가전류에서 실행될 때 열전대가 종종 발생하더라도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 사이에 갭이 대략 0.1 내지 0.4mm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우, 어떠한 열전대, 주조거스러미 혹은 용융금속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대략 1 내지 3mm의 두께와 대략 100mm 혹은 150mm의 폭을 가진 박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주조스트립의 폭은 변화될 수 있다.
경우 6에 있어서, 인가전류가 다소 증가될 때, 주조율에 의존적으로 대략 1 내지 3mm의 범위내에 두께와 대략 100mm 혹은 200mm의 두께를 가진 양호한 주조스트립이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주조스트립의 폭은 변화될 수 있다. 300A의 인가전류의 경우에 있어서, 우물모양의 단부로 된 주조스트립은 측면게이트와 냉각롤의 단부에 있는 양호한 전기콘덕터의 표면 사이에 갭이 대략 0.1 내지 0.5mm의 범위일 때 발생될 수 있다.
경우 7에 있어서, 주조가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압축되어 있는 측면게이트로 실시될 때, 열전대가 종종 발생되더라도, 주조거스러미도 용융금속의 누출도 일어나지 않는다.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 사이에 갭이 대략 0.1 내지 1.5mm의 범위에 있을 때, 어떠한 열전대, 주조거스러미 혹은 용융금속의 누출도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우물모양의 단부로 된 주조스트립을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주조스트립의 폭은 100mm 내지 150mm에서 변화될 수 있다.
앞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측면게이트와 냉각롤 사이에 존재하는 용융금속의 모서리부가 연속주조 동안 충분히 정지되기 때문에, 측면게이트의 예열 혹은 진동없이도 용융금속의 누출 뿐만 아니라 주조거스러미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하여 측면게이트를 강하게 압출할 필요는 조금도 없으며, 어떠한 마모도 측면게이트에서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양호한 모양인 박판을 장시간 동안 안정하게 주조할 수 있으며, 이것은 주조가 주조스트립의 폭이 변화되도록 실시될 때 특히 본 발명이 매우 유용함을 나타낸다.

Claims (14)

  1. 서로 평행인 각 축을 갖춘 한쌍의 회전가능한 냉각롤과 냉각롤의 단부표면을 대향하도록 각기 장치된 한쌍의 측면게이트를 제공하여 용융금속용 유입용기를 형성하고, 박판금속을 연속적으로 주조하기 위해 상기 냉각롤로써 상기 용융금속을 급속하게 고체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진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갭이 상기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각 표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게이트 사이에 제공되어 용융금속의 수직방향으로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유입용기부내 용융금속에 인가된 DC 자계로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를 냉각시키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상기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경사지게 접촉시켜 DC를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안으로 집중적으로 흐르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DC 자계 및 상기 DC에 의해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에서 자기력을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자기력의 장점을 취함으로써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안 주조가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C 자계는 한 측면게이트에 인가된 자계방향이 나머지 측면게이트에 인가된 자계방향과 마주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측면게이트에 인가되며, 이러한 DC 자계에서 DC는 결과적인 자기력이 용융금속의 중앙부를 향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냉각롤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는 각각의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장치된 양호한 전기콘덕터를 통해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는 각각의 측면게이트에 장치된 양호한 전기콘덕터를 통해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5. 서로 평행인 각 축과 함께 축의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냉각롤을 갖춘 한쌍의 회전가능한 냉각롤을 배치하하고 한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나머지 냉각롤의 원주표면이 측면게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측면게이트를 제공하여 용융금속용 유입용기부를 형성하고, 박판금속을 주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롤로써 상기 용융금속을 급속히 고체화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진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갭이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그 측면게이트에 서로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즉, 상기 냉각롤의 원주표면과 상기 측면게이트의 측면 사이에 제공되어 용융금속의 수직방향으로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유입용기부내 용융금속에 인가된 DC 자계로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를 냉각시키며, 동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상기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경사지게 접촉시켜 DC를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안으로 집중적으로 흐르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DC 자계 및 상기 DC에 의해 측면게이트 부근에 있는 용융금속에서 자기력을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자기력의 장점을 취함으로써 용융금속의 모서리부로부터 용융금속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안 주조가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DC 자계는 한 측면게이트에 인가된 자계방향이 나머지 측면게이트에 인가된 자계방향과 마주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측면게이트에 인가되며, 이러한 DC 자계에서 DC는 결과적인 자기력이 용융금속의 중앙부를 향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냉각롤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는 각각의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장치된 양호한 전기콘덕터를 통해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는 각각의 측면게이트에 장치된 양호한 전기콘덕터를 통해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9. 서로 평행인 각 축을 갖춘 한쌍의 회전가능한 냉각롤과 용융금속용 유입용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대향하도록 각기 장치된 한쌍의 측면게이트로 구성된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갭은 상기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각 표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게이트 사이에 제공되며,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은 상기 각각의 측면게이트 위,아래에 장치되고, DC를 인가하는 전극은 상기 냉각롤의 상기 단부표면위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각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절연체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상기 냉각롤의 상기 단부표면에 단부를 대향하는 그 부분에 있는 적어도 상기 측면게이트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12. 서로 평행인 각각의 축을 갖추며, 축의 방향으로 이동된 한쌍의 회전가능한 냉각롤과 한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나머지 냉각롤의 원주표면이 측면게이트가 서로 마주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장치된 측면게이트로 구성되어 용융금속용 유입용기부를 형성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갭은 냉각롤의 단부표면과 측면게이트에서 서로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즉, 상기 냉각롤의 원주표면과 상기 측면게이트의 측면 사이에 제공되며, DC 자계를 인가하는 자극은 각각의 측면게이트 위,아래에 장치되고, DC를 인가하는 전극은 상기 냉각롤의 상기 각 단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각 냉각롤의 단부표면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양호한 전기콘덕터는 상기 냉각롤의 상기 단부 및 상기 냉각롤의 원주표면과 상기 측면게이트의 측면 사이에 갭과 근접한 부분에 있는 단부를 대향하는 부분인 적어도 상기 측면게이트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연속주조장치.
KR1019930702477A 1991-12-19 1992-12-18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KR960010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7147/1991 1991-12-19
JP33714791 1991-12-19
PCT/JP1992/001668 WO1993011893A1 (fr) 1991-12-19 1992-12-18 Procede et appareil du type a deux cylindres de coulee continue de toles f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097A KR930703097A (ko) 1993-11-29
KR960010241B1 true KR960010241B1 (ko) 1996-07-26

Family

ID=1830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477A KR960010241B1 (ko) 1991-12-19 1992-12-18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39046A (ko)
EP (1) EP0572681B1 (ko)
KR (1) KR960010241B1 (ko)
CA (1) CA2104375C (ko)
DE (1) DE69223239T2 (ko)
WO (1) WO1993011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692A (en) * 1994-03-31 1996-05-07 Inland Steel Company Electromagnetic confinement of molten metal with conduction current assistance
US5495886A (en) * 1994-04-29 1996-03-05 Inland Steel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idewall containment of molten metal with vertical magnetic fields
US6152210A (en) * 1994-10-14 2000-11-28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mpany Limited Metal casting
AUPM883894A0 (en) * 1994-10-14 1994-11-10 Bhp Steel (Jla) Pty Limited Metal casting
JPH0999346A (ja) * 1995-08-01 1997-04-15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鋳造装置
US7073565B2 (en) 1999-02-05 2006-07-11 Castrip, Llc Casting steel strip
AUPP852599A0 (en) 1999-02-05 1999-03-04 Bhp Steel (Jla) Pty Limited Casting steel strip
JP3684138B2 (ja) * 2000-05-17 2005-08-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双ドラム式連鋳サイド堰用セラミックプレート材
US7888158B1 (en) * 2009-07-21 2011-02-15 Sears Jr James B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photovoltaic unit
US20110036531A1 (en) * 2009-08-11 2011-02-17 Sears Jr James B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Casting Multilayer Metallic Structures
US20110036530A1 (en) * 2009-08-11 2011-02-17 Sears Jr James B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Casting Multilayer Metallic Structures
KR101243211B1 (ko) * 2010-12-28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주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4653A (ja) * 1985-10-30 1987-05-15 Kawasaki Steel Corp 溶湯の端面形状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S6380945A (ja) * 1986-09-24 1988-04-11 Nkk Corp 金属板の連続鋳造装置
JPH035048A (ja) * 1989-06-01 1991-01-10 Nisshin Steel Co Ltd 金属薄板の連続鋳造装置
JPH0335851A (ja) * 1989-07-04 1991-02-15 Nippon Steel Corp 薄肉鋳片の連続鋳造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3239T2 (de) 1998-06-10
DE69223239D1 (de) 1998-01-02
EP0572681A4 (en) 1994-05-25
EP0572681B1 (en) 1997-11-19
CA2104375C (en) 1998-08-25
US5439046A (en) 1995-08-08
CA2104375A1 (en) 1993-06-20
KR930703097A (ko) 1993-11-29
WO1993011893A1 (fr) 1993-06-24
EP0572681A1 (en) 199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41B1 (ko) 쌍롤식 박판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US20070095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confinement of molten metal in horizontal casting systems
US58363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iving vibration to molten metal in twin roll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S62104653A (ja) 溶湯の端面形状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2008525197A (ja) 電磁気場を利用したマグネシウムビレット又はスラブ連続鋳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4846255A (en) Electromagnetic augmentation for casting of thin metal sheets
CA2095722A1 (en) Liquid metal stirring during casting
JPH0542345A (ja) 双ロール式薄板連続鋳造におけるロール間の溶融金属の保持方法
US6152210A (en) Metal casting
JPH0335851A (ja) 薄肉鋳片の連続鋳造設備
JPS6144589B2 (ko)
JP2574550B2 (ja) 単ベルト方式連続鋳造装置
JPH078413B2 (ja) 双ロ−ル式連続鋳造装置
JPS6092052A (ja) 薄板連続鋳造方法
CA20771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gnetic stirring of molten metal in a twin roll caster
JPS63101056A (ja) 急冷金属薄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3275247A (ja) 双ロール式薄板連続鋳造方法
AU703835B2 (en) Metal casting
JPH08174159A (ja) 磁性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磁性金属ストリップ鋳造装置
JPS6216852A (ja) 薄板鋳造装置
JPH05138303A (ja) 双ロール式薄板連続鋳造における溶融金属の漏れ防止方法
JPH0275449A (ja) 薄板の連続鋳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5048A (ja) 金属薄板の連続鋳造装置
JPS6380944A (ja) 金属板の連続鋳造装置
JP2001246449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