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924Y1 -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924Y1
KR0120924Y1 KR2019950016392U KR19950016392U KR0120924Y1 KR 0120924 Y1 KR0120924 Y1 KR 0120924Y1 KR 2019950016392 U KR2019950016392 U KR 2019950016392U KR 19950016392 U KR19950016392 U KR 19950016392U KR 0120924 Y1 KR0120924 Y1 KR 0120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onstant current
current sourc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953U (ko
Inventor
박찬홍
안종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6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924Y1/ko
Publication of KR970006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전류원과, 상기 정전류원에서 공급된 전류를 분배하는 저항부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저항부 사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또 다른 동작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스위치부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하나의 발광소자로 다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가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제 1 도는 오실로스코프에 사용된 종래 기술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도.
제 2 도는 오실로스코프에 사용된 본 고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정전류원 2, 3:제1, 2 스위치
4: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특수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가 사용된 각종 기계·전기·전자장치의 서로 다른 동작상태를 여러가지 색상의 광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가 오실로스코프에 사용된 일 실시예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실로스코프의 트랜스와 접속도니 제 1 저항(R1)과, 상기 제 1 저항(R1)과 병렬로 접속되고 접지에 연결된 커패시터(C)와, 상기 제 1 저항(R1) 및 상기 커패시터(C)와 병렬로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상기 제 2 저항(R2)과 직렬로 접속되고 접지와 연결되어 일정값의 전류가 흐르는 동안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트랜스(도시되지 않음)가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일정한 전압값을 상기 동작상태 표시회로에 공급하면 상기 제 2 저항(R2)을 따라 일정값의 전류가 상기 발광다이오드(11)에 흐른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내부에 흐르는 상기 일정값의 전류에 의해 녹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발광다아오드(11)는 오실로스코프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녹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오실로스코프가 작동중임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녹색광의 점멸로 상기 오실로스코프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는 한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로 하나의 동작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다른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전원공급회선이 필요하여 상기 동작상태 표시회로가 복잡해지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경우 상기 발광다아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명확히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된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입력 전류값을 조절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로 다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여러가지 색상의 광으로 인해 사용자가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는 정전류원과, 상기 정전류원에서 공급된 전류를 분배하는 저항부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저항부 사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또 다른 동작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스위치부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가 오실로스코프에 사용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류원(1)과, 상기 정전류원(1)과 병렬로 접속되고 접지에 연결된 커패시터(C)와, 상기 정전류원(1)에서 공급된 전류(IS)를 분배하고 각각 접지에 연결된 제 1, 2 저항(R1, R2)과, 상기 정전류원(1)과 상기 제 1 저항(R1) 사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아날로그상태의 오실로스코프를 디지털상태로 전환시키는 스토리지 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제 1 스위치(2)와, 상기 정전류원(1)과 상기 제 2 저항(R2) 사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오실로스코프를 디지털 신호 처리상태로 전환시키는 디지털 신호처리 동작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제 2 스위치(3)와, 상기 정전류원(1) 및 상기 제 1, 2 스위치(2, 3)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가변저항(R3)과, 상기 가변저항(R3)과 직렬로 접속되고 접지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류값(ILED)에 따라 녹색광, 청색광 및 적색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정류원(1)은 20mA의 전류(IS)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2 스위치(2,3)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오실로스코프의 동작상태를 전환시키는 버튼스위치이며, 상기 발광다이오드(4)는 광도가 기존 발광다이오드의 100배에 달하고 휘도면에서 효과가 뛰어나며 입력되는 전류값(ILED)이 20mA이면 녹색광, 5mA이면 적색광, 4mA이면 청색광을 각각 방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의 동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누르면 상기 오실로스코프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전류원(1)이 상기 동작상태 표시회로에 20mA의 전류(IS)를 공급한다.
상기 정전류원(1)에서 공급된 20mA의 전류(IS)는 제 1, 2 스위치(2,3)가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가변저항(R3)을 통해 발광다이오드(4)로 공급되고, 그로인해 상기 발광다이오드(4)는 녹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오실로스코프가 작동중임을 표시한다.
그 후, 아날로그상태의 오실로스코프를 디지털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 1 스위치(2)를 누르면 상기 제 1 스위치(2)가 온되어 상기 정전류원(1)에서 공급된 20mA의 전류(IS)가 상기 제 1 저항(R1), 가변저항(R3) 및 발광다이오드(4)의 내부저항(rled)에 의해 분배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4)에 입력되는 전류값(ILED)은 아래 계산식(1)과 같이 적당한 제 1 저항값(R1), 가변저항값(R3) 및 발광다이오드(4)의 내부저항값(rled)에 의해 5mA가 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4)는 상기 5mA의 입력 전류값(ILED)으로 인해 녹색광 대신 적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오실로스코프의 스토리지 회로가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4)가 녹색광 또는 적색광을 방출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제 2 스위치(3)를 누르면 상기 제 1 스위치(2)가 오프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스위치(3)가 온되어 상기 정전류원(1)에서 공급된 20mA의 전류(IS)는 제 2 저항(R2), 가변저항(R3) 및 발광다이오드(4)의 내부저항(rled)에 의해 분배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4)에 입력되는 전류값(ILED)은 아래 계산식(2)과 같이 적당한 제 2 저항값(R2), 가변저항값(R3) 및 발광다이오드(4)의 내부저항값(rled)에 의해 4mA가 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4)는 상기 4mA의 입력 전류값(ILED)으로 인해 녹색광 또는 적색광 대신 청색광을 방출하여 상기 오실로스코프의 디지털 신호처리 동작회로가 작동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에서 방출된 광의 색상으로 상기 오실로스코프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는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하나의 발광소자로 다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가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기 다른 동작상태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정전류원과, 상기 정전류원에서 공급된 전류를 분배하는 저항부와, 상기 정전류원과 상기 저항부 사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또 다른 동작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정전류원 및 상기 스위치부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입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녹색광, 청색광 및 적색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KR2019950016392U 1995-07-04 1995-07-04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KR0120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392U KR0120924Y1 (ko) 1995-07-04 1995-07-04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392U KR0120924Y1 (ko) 1995-07-04 1995-07-04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53U KR970006953U (ko) 1997-02-21
KR0120924Y1 true KR0120924Y1 (ko) 1998-08-17

Family

ID=1941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392U KR0120924Y1 (ko) 1995-07-04 1995-07-04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9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53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0590B1 (en) Method for continuously controlling color of display device
US6535186B1 (en) Multicolor display element
EP0660648A1 (en) Dimming circuit for a LED
KR100974136B1 (ko) 조명 장치의 색상 및 휘도를 세팅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EP0508791A1 (en) Colour differential type light display device
JP2007299788A (ja) Led点灯検査装置
US6653798B2 (en) Voltage dimmable LED display producing multiple colors
KR0120924Y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US6414662B1 (en) Variable color complementary display device using anti-parallel light emitting diodes
WO1985003795A1 (en) Data display apparatus
JP2605874Y2 (ja) マルチチップled
JPH08194439A (ja) 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JP3520777B2 (ja) 発光ダイオード複合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JPH0228976A (ja) 二色発光型表示灯
CN211702455U (zh) 一种用于电脑配件的灯控电路
GB2475773A (en) LED lighting apparatus uses no-load voltage from unlit LED to measure LED light intensity
AU2006202217B2 (en) Multicoloured led 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2177475A (ja) 遊技機
KR200205621Y1 (ko) 두개의 접점을 가진 바이컬러 엘이디 램프
JP2971305B2 (ja) 調光装置
RU2055369C1 (ru) Индик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KR920000761Y1 (ko)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RU20322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JP2000332299A (ja) Ledの階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