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61Y1 -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61Y1
KR920000761Y1 KR2019880016949U KR880016949U KR920000761Y1 KR 920000761 Y1 KR920000761 Y1 KR 920000761Y1 KR 2019880016949 U KR2019880016949 U KR 2019880016949U KR 880016949 U KR880016949 U KR 880016949U KR 920000761 Y1 KR920000761 Y1 KR 920000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main power
standby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310U (ko
Inventor
양이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761Y1/ko
Publication of KR900009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기전원 인가 표시부 2 : 대기전원 표시 제어부
3 : 주전원 인가 표시부 D1 : 다이오드
R1-R3 : 저항 Q1 : 트랜지스터
LED1, LED2 : 발광 다이오드
본 고안은 원격 조작할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 있어서, 대기 전원 투입 상태와 주전원의 투입여부를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으로 식별하기 위한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 상태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조정용 텔레비젼은 대기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대기전원으로 발광 다이오드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킴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불빛을 보고 대기전원이 투입되어 있음을 알수 있으나 주 전원이 공급될 때에는 이를 표시해 줄수 있는 표시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텔레비젼 동작시 콘트라스트(CONTRAST)와 브라이트(BRIGHT)가 최저(minimum)상태로 조정되어 있게 되면 주전원이 공급되어 텔레비젼이 동작되고 있음을 파악할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대기전원 투입 상태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대기전원 투입은 표시해 주었으나 주전원 인가를 표시해 주는 표시소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주전원이 투입될 때 콘트라스트와 브라이트가 최소 상태로 조정되어 있게 되면 주전원 투입을 회면상으로 확인할수 없어 고장등으로 오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색이 다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대기전원과 주전원 투입시 각각 구동되게 하므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불빛으로 쉽게 대기전원과 주전원 투입상태를 알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원격 조정용 텔레비젼에 있어서, 대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는 대기 전원 인가 표시부(1)와, 주전원 공급에 의하여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를 점등시키는 주전원 인가 표시부(3)와, 상기 주전원 인가 표시부(3)의 주전원 공급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켜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오프´시키는 대기전원 표시제어부(2)로 구성되어진다.
즉 본 고안은 대기 전원 정류부를 통하여 발생되는 대기 전원이 입력단자(I0)로 인가되어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통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에 인가되게 대기전원 인가 표시부(1)를 구성하고 파워 스위치 ´온´시 인가되는 주전원이 입력단자(I1)로 인가되어 저항(R3)을 통한후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에 인가되게 주전원 인가 표시부(3)를 구성함과 동시에 주전원이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하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은 발광 다이오드(LED1)의 애노드측에 연결되게 대기전원 표시 제어부(2)를 구성한 것으로써 대기전원 투입시에는 대기전원 인가 표시부(1)의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구성시키고 주전원 투입시에는 주전원 인가 표시부(3)의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WD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대기 전원 표시 제어부(2)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오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I0)에 대기전원이 인가되게 되면 인가되는 대기전원은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통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발광시켜 줌으로써 대기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즉 대기전원이 투입되게 되면 입력단자(I0)에서 다이오드(D1)을 통한후 전류제한용 저항(R1)을 통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온´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적색으로 빛나는 발광 다이오드(LED1)의 불빛을 보고 대기전원이 투입되었음을 알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대기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를 ´온´시켜 주전원을 투입시키게 되면 주전원은 입력단자(I1)로 입력되어지며 인가된 주전원은 저항(R3)을 통하여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를 ´온´시켜 녹색의 불빛을 발광시켜 줌으로써 매인 전원이 투입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저항(R2)으로 인가된 메인전원은 트랜지스터(Q1)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저항(R1)을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LED1)로 인가되는 대기전원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흘러 접지에 인가되므로 대기전원 투입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오프´시키게 된다.
즉 주전원이 투입되면 주전원 인가 표시부(3)의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를 ´온´시켜 사용자에게 주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대기전원 표시 제어부(2)의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대기전원 인가 표시부(1)의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오프´시켜 주게 된다.
이와같이 대기전원 정류부를 통하여 발생되는 대기전원이 입력단자(I0)에 인가되면 다이오드(D1)과 저항(R1)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1)에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LED1)가 적색으로 발광되어짐에 따라 대기전원 투입상태를 쉽게 식별할수 있어 스탠바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수 있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 베이스측에 주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으로(즉 파워 스위치 ´오프´상태) 대기전원 인가표시부(1)에 아무런 영향을 줄수 없게 되나 입력단자(I1)에 파워 스위치가 ´온´되면서 주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3)를 통해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에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LED2)를 녹색으로 발광시켜 주전원이 인가되어 있음을 식별할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저항(R2)로 인가된 주전원은 트랜지스터(Q1)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써 저항(R1)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LED1)로 인가되는 대기전원은 트랜지스터(Q1) 콜렉터측에서 에미터측으로 흘러 접지에 인가되므로 발광 다이오드(LED1)는 ´오프´상태가 되고 발광 다이오드(LED2)만 발광하게 된다.
이때 파워 스위치가 오프되어 주전원이 입력단자(I1)에 인가되지 않게되면 발광 다이오드(LED2)가 ´오프´되어 주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음을 알림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켜주어 대기전원이 저항(R1)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1)로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LED1)를 발광시킴으로써 대기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대기전원과 주전원의 투입시 각각 색이 다른 발광 다이오드를 ´온´시켜 각각의 전원 투입상태를 알려주도록 한것으로써 색이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 쉽게 전원 투입상태를 알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격 조정용 텔레비젼에 있어서, 대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는 대기 전원 인가 표시부(1)와, 주전원 공급에 의하여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LED2)를 점등시키는 주전원 인가표시부(3)와, 상기 주전원 인가 표시부(3)의 주전원 공급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켜 발광 다이오드(LED1)를 ´오프´시키는 대기전원 표시제어부(2)로 구성된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KR2019880016949U 1988-10-18 1988-10-18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KR920000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949U KR920000761Y1 (ko) 1988-10-18 1988-10-18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949U KR920000761Y1 (ko) 1988-10-18 1988-10-18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310U KR900009310U (ko) 1990-05-04
KR920000761Y1 true KR920000761Y1 (ko) 1992-01-23

Family

ID=1928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949U KR920000761Y1 (ko) 1988-10-18 1988-10-18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7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310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6098A1 (en) Timepiece device
US20170064793A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KR920000761Y1 (ko) 대기전원과 주전원 인가상태 표시회로
WO1985003795A1 (en) Data display apparatus
CN210016671U (zh) 一种按键背光电路及按键背光装置
KR910007182Y1 (ko) 컬러 tv의 전원구동 표시회로
JPH1083701A (ja) 電子発光電球
CN219759430U (zh) 发光旋钮
KR920007546Y1 (ko) 프로세트 모우드 표시회로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KR950005510Y1 (ko) 티브이의 동작상태 표시장치
KR940005233Y1 (ko) 리모콘 기능 표시 발광회로
KR200365961Y1 (ko) 4색 엘이디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계
JP3031176U (ja) スイッチオフ表示器
KR0174345B1 (ko) 신발의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0120924Y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CN215297497U (zh) 一种背光电路及具有该背光电路的电能表
AU2003229273A1 (en) Circuit for operating a light signal
RU2055369C1 (ru) Индик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KR920008100Y1 (ko) 다기능의 모우드 표시회로
JP4711535B2 (ja) 発光表示スイッチ装置
KR910008277Y1 (ko) 텔레비젼의 x선 방출시 주전원 차단 회로
JPH06265848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KR880002038Y1 (ko) 리모콘 텔레비젼용 전원회로에서의 매스터스위치 '온/오프'표시회로
KR910003661Y1 (ko) 페일 세이프 동작 표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