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719Y1 -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719Y1
KR890005719Y1 KR2019860003456U KR860003456U KR890005719Y1 KR 890005719 Y1 KR890005719 Y1 KR 890005719Y1 KR 2019860003456 U KR2019860003456 U KR 2019860003456U KR 860003456 U KR860003456 U KR 860003456U KR 890005719 Y1 KR890005719 Y1 KR 890005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resistor
circui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571U (ko
Inventor
신현정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주식회사
임종염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주식회사, 임종염,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3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719Y1/ko
Publication of KR870015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1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 H04M1/715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extensions p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로 상태 감지회로가 전화기 회로에 병렬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블럭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두대의 전화기가 하나의 국선에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페이스 회로부 2 : 사용상태 표시부
3 : 스위치 회로부 4 : 국선전압 감지부
5 : 통화 감지부 6 : 통화 보류 스위치부
7 : 통화보류 표시부 8 : 통화보류 회로부
9 : 전화기 회로부 LED1: 통화표시램프
LED2: 통화보류 표시 램프 HS : 후크 스위치
PB : 푸시 버튼 스위치 SCR : 실리콘 제어정류기
본 고안은 하나의 국선에 병렬로 연결된 두대의 전화기중 어느 한쪽이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을때 그 전화기가 사용중에 있음을 다른 전화기에 표시해 주는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국선(L1,L2)에 병렬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두대의 전화기는 서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어서, 종래에는 어느 한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전화기가 사용중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서 핸드 셋(hand set)을 든 후 본의 아니게 도청을 하여야만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전화기가 잠시 통화보류(hold)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실수로 다이얼을 돌리게 된다는 등 사용상 여러가지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출원인이 최근에 개발하여 1986년 3월14일자로 실용 신안등록 출원한 "전화기의 선로상태 감지회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하나의 국선에 병렬로 연결된 두대의 전화기 중 어느 한대의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음을 다른 전화기에 표시해 주도록 한 것이기는 하였으나 그 다른 전화기의 핸드셋을 들어야 비로소 그 전화기에 부착된 LED가 점등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이기는 하였으나, 핸드셋을 들어야만 전화기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번거로운 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하여 하나의 국선에 병렬로 연결된 두대의 전화기 중 어느 한대의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어서 통화중이거나 통화도중에 통화보류( hold)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다른 전화기에 통화표시 램프(LED1)가 자동적으로 점등되어 있도록 하여서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즉시 용이하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병렬선로상태 감지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한대의 전화기 회로에 대한 블럭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블럭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대의 전화기가 하나의 국선(L1,L2)에 병렬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의 병렬 선로 상태 감지회로는 국선(L1,L2)에 연결된 인터페이스회로부(1)와 전화기 회로부(9)사이에 사용상태표시부(2), 스위치 회로부(3), 국선 전압감지부(4), 통화감지부(5), 통화보류 스위치부(6), 통화보류 표시부(7) 및 통화보류 회로부(8)드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그 각 구성부의 구성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국선(L1,L2)에 직접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회로부(1)는 통상48V의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국선(L1,L2)의 단자와 전화기 상의 단자를 전극에 관계없이 임의로 접속시켜도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될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리지 회로(BD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회로(BD1)의 +단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상태 표시부(2)에는 다른쪽의 전화기가 사용중임을 표시해 주기 위하여 온(ON)되어 불이 켜지는 통화 표시램프(LED1)가 있고, 그 통화 표시램프(LED1)의 +단에는 저항 (R1)이 연결되어 있으며 -단에는 저항(R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인 통화 표시램프(LED1)와 저항(R2)에는 제너 다이오드(ZD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세개의 트랜지스터(TR1,TR2,TR3)와 회로의 동작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두개의 콘덴서(C1,C2) 및 두개의 저항(R3,R4)으로 구성된 스위치 회로부(3)에서 두개의 트랜지스터(TR1)(TR2)트랜지스터(TR2)가 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1)도 온 되도록 그 콜렉터들이 저항(R2)에 함께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으며, 그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R2)의 에이터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브리지 회로(BD1)의 +단에 저항(R1)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3)에 연결되어서 저항(R4)을 통해 접지되는 한편,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도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는 직접 접지되어 있다.
국선 전압 감지부(4)는 두개의 저항(R5)(R6)과 제너 다이오드(ZD3)로 구성되어 있고, 통화감지부(5)는 저항(R7)과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화보류 스위치부(6)에는 실리콘 제어정류기(SCR)가 있고, 이 실리콘 제어정류기(SCR)의 게이트에는 트리거 입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PB)가 저항(R8)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그 출력단에는 또다른 저항(R9)과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통화보류 표시부(7)는 통화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통화보류 표시램프(LED2)가 실리콘 제어정류기(SCR)의 음극단과 통화보류부(8)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공지의 전화기 회로부(9)는 후크 스위치(HS)를 경유하여 브리지 회로(BD1)의 +단에 연결되어 있고, 통화보류 회로부(8)는 통화보류 표시램프(LED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상태 즉 두대의 전화기(A)(B)가 모두 사용되지 않을 경우 국선(L1,L2)에 인가된 DC48V의 전압이 모두 회로에 인가되어 진다.
상기의 인가된 전압을 저항(R1)을 통하여 통화램프(LED1)와 저항(R2)을통하여 트랜지스터(TR1)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까지 공급되고, 동시에 저항(R3)과 저항(R5)에도 동등한 DC 48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저항(R5)을 통한 DC 48V의 전압은 제너 전압이 30볼트인 제너 다이오드(ZD3)와 저항(R6)을 경유하여 흐르면서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동작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저항(R3)을 통하여 인가된 저압은 트랜지스터(TR3)을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2)는 오프상태로 되고 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도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역시 트랜지스터(TR1) 도 오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통화 표시램프(LED1)는 점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하는 것은 전화기(A)에서나 전화기(B)에서 모두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통화를 하기 위해 전화기(A)의 핸드 셋을 들게 되면 후크스위치(HS)가 접속되고 공지의 전화기 회로부(9)와 국선이 연결되어 통화 가능상태로 되어진다.
이렇게 되면 전화기 회로부(9)에 의한 전압강하에 의하여 국선(L1,L2)의 단자전압은 30V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화기(A)에서는 30V이하인 DC 전압이 저항(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동작전압을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3)은 온상태로 되므로 저항(R3)을 통과한느 전압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지 못하고 트랜지스터(TR3)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R1)(TR2) 오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통화표시 램프(LED1)는 동작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전화기(B)에도 30V이하인 국선전압이 인가되고 후크스위치(HS')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압 강하된 국선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3')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그 트랜지스터는 오프상태로 되고, 저항(R3')을 통과하는 저압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동작전압을 인가시켜 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트랜지스터(TR1')(TR2')가 온 사태로 되기 때문에 전압 상하된 국선 전압은 저항(R1'),통화 표시램프(LED1'),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1')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전화기(B)에는 통화표시 램프(LED1')가 온되어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한쪽 전화기(A)가 통화중일때 다른 전화기(B)에 있는 통화표시램프(LED1')가 온되어 불이 켜지기 때문에 상기 한쪽 전화기(A)가 통화중임을 알 수 있게된다.
미 설명된 푸시버튼 스위치(PB)는 통화중 잠시 보류 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스위치로서 이 푸시버튼 스위치(PB)를 온 시키면 국선전압이 푸시버튼 스위치(PB)와 저항(R8)을 통하여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의 게이트에 동작 전원전압을 인가 시키게 된다.
게이트에 동작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실리콘에 제어 정류기(SCR)는 도통상태로 되어 전압이 저항(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동작전압을 인가시킨다.
이때 트랜지스터(TR3)가 온의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TR1)(TR2)는 오프사태로 되고 또 통화 표시램프(LED1)도 역시 오프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핸드 셋을 내려 놓아도 통화표시램프(LED1)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중일때와 같은 현상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실리콘 제어정류기(SCR)를 통과하는 전압은 통화보류 중임을 표시하는 통화보류표시램프(LED2)을 온시켜 빛을 내게하고 또 공지의 통화보류 회로부(8)에 전압을 인가하여 동작하게 한다.
따라서 전화기(A)를 통화보류 상태로 유지시켜도 전화기(B)상의 통화표시램프(LED1)는 계속 온 되어 있으므로 전화기(A)가 계속 사용중에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병렬 선로상태 감지회로는 하나의 국선에 병렬로 연결된 두대의 전화기 중 어느 한 전화기(A)가 사용중에 있을때에는 그 전화기가 통화중이거나 통화 보류중일지라도 다른 전화기(B)의 통화표시램프(LED1')가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어느 한 전화기(A)의 상태를 표시해 주므로 다른 전화기(B)의 핸드 셋을 들지 않고서도 어느 한 전화기(A)의의 사용상태를 언제나 즉각 알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화중에 있는 전화기(A)를 잠시 통화보류 상태에 두기 위하여 푸시 버튼 스위치(PB)를 누르면 통화보류 표시램프(LED2)가 점등되어 그 전화기(A)가 사용중임도 표시해 줄 수 있는 탁원할 효과를 가져올수 있으면서도 단지 몇개의 제너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및 능동 소자들로 구성할 수 있어서 높은 경제성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새롭고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나의 국선에 두대의 전화기가 병렬로 연결되어서 사용되는 전화기에 있어서 국선(L1,L2)에 연결되어 있는 공지의 인터페이스 회로부(1)와 전화기 회로부(9)사이에, 저항(R1)(R2)과 제너 다이오드(ZD2) 및 통화표시램프(LED1)로 구성되어 인터페이스 회로부(1)의 +단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상태로 표시부(2)와, 트랜지스터(TR1)(TR2)(TR3)와 콘덴서(C1)(C2) 및 저항(R3)(R4)으로 구성된 스위치 회로부(3) 및 저항(R5)(R6)과 제너다이오드(ZD3)로된 국선 전압감지부(4)와, 저항(R7)과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후크 스위치(HS)의 한쪽에 연결괸 통화감지부(5)와, 통화보류표시램프(LED2)로 구성된 통화보류 표시부(7) 및, 공지의 통화보류 회로부(8)에 연결된 푸시버튼 스위치(PB),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를 경유하여 통화보류 회로부(8)에 연결되어 또 스위치 회로부(3)에 한쪽단에 연결된 통화보류 스위치부(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병렬 선로 상태 감지회로.
KR2019860003456U 1986-03-20 1986-03-20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KR890005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456U KR890005719Y1 (ko) 1986-03-20 1986-03-20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456U KR890005719Y1 (ko) 1986-03-20 1986-03-20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71U KR870015571U (ko) 1987-10-26
KR890005719Y1 true KR890005719Y1 (ko) 1989-08-25

Family

ID=1924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456U KR890005719Y1 (ko) 1986-03-20 1986-03-20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7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71U (ko) 198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9210A (en) Ringing detector for use by the deaf
CA1171988A (en) Button illumination for repertory dialer with low battery voltage indication
US4796290A (en) Ground start circuit
US5131030A (en) Light controlled telephone ringer
US4394544A (en) Line circuit for multiple line telephone
KR890005719Y1 (ko)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US4747133A (en) Telephone light adapter
US4546214A (en) Line use indicator for telephone sets sharing a single line
GB2154392A (en) Telephone in use indicator (line busy lamp)
US4918720A (en) Circui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uated state of an electric appliance
KR920005401Y1 (ko) 전화기
KR890005718Y1 (ko) 전화기의 선로상태 감지회로
US4656660A (en) Office line holding circuit with an automatic release function for direct connection telephone system
KR850000604B1 (ko) 전화기의 통화 보류장치
KR890000594Y1 (ko) 전화기의 다이얼 발광장치
KR950006752Y1 (ko)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전압 감지회로
KR890003764B1 (ko) 전화기의 통화 및 홀딩 표시회로
KR890004822Y1 (ko) 브랜치된 전화기의 통화상태 감지회로
KR900002478Y1 (ko) 전화선로의 사용상태 감지회로
KR960000654Y1 (ko) 홀드회로및 펄스를 이용한 자동 홀드 해제회로
CA1201542A (en) Line use indicator for telephone sets sharing a single line
KR890005368B1 (ko)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KR940007121Y1 (ko) 전화선로 상태 감지회로
KR0120924Y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동작상태 표시회로
JPH03371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