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68B1 -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 Google Patents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68B1
KR890005368B1 KR1019860005548A KR860005548A KR890005368B1 KR 890005368 B1 KR890005368 B1 KR 890005368B1 KR 1019860005548 A KR1019860005548 A KR 1019860005548A KR 860005548 A KR860005548 A KR 860005548A KR 890005368 B1 KR890005368 B1 KR 89000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circuit
terminal
hold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343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68B1/ko
Publication of KR88000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6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lock-out or secrecy provision in party-li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의 블럭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블럭도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페이스 회로부 200 : 홀드 회로부
300 : 네트워크 회로부 400 : 스위치부
500 : 다이얼 회로부 600 : 뮤트 회로부
HS : 후크스위치 SW : 홀드스위치
L1, L2 : 국선 TX : 송화기
RX : 수화기 BD : 브리지회로
TR1-TR6 : 트란지스터 SCR : 실리콘 제어정류기
R1-R9 : 저항 C1, C2, C3 : 콘덴서
LED : 발광다이오드 D1 : 제너다이오드
D2, D3 : 다이오드 JD : 바리스터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홀드(hold)상태 즉 통화 보류상태를 해제시킬 경우에 전화기 사용자가 다시 홀드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스스로 전압을 감지하여 홀드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전화기의 홀드회로와 홀드상태에 있을 동안에 송화기가 뮤트(mute)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에 있어서는 통화중에 잠시 통화를 보류시키고자 할때에는 홀드스위치를 눌러야 되고 그리고 홀드상태를 해제시킬때도 다시 홀드스위치를 누르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전화기에 있어서는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여러가지 부품소자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품가격의 상승요인이 된다는 결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 있어서도 홀드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홀드스위치를 다시 눌러야 한다는 등의 번거로운 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의 홀드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다시 홀드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전화기의 핸드셋(handset)을 들면 자동적으로 홀드상태가 해제되도록된 전화기의 홀드회로와 그리고 홀드상태에 있을 동안에는 송화기가 뮤트상태가 되도록 하는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전화기회로의 블럭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블럭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회로도이다.
라인 및 회로망의 인터페이스 회로부(100)는 통상 48V의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국선(L1)(L2)의 단자와 전화기상의 단자를 전극에 관계없이 임의로 접속시켜도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기 위해 브리지회로(B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치부(400)는 후크스위치(HS), 홀드스위치(SW), SCR, 콘덴서(C2) 및 두개의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후크스위치(HS)의 한쪽단에는 SCR이 그리고 다른 한쪽단에는 홀드스위치(SW)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SCR의 게이트와 홀드스위치(SW)사이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SCR의 게이트와 출력단 사이에는 저항(R2)과 콘덴서(C2)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부(400)의 한쪽단과 인터페이스 회로부(100)의 "-"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홀드 회로부(200)는 LED, 제너다이오드(D1), 트랜지스터(TR1)(TR2), 콘덴서(C1) 및 저항(R3)(R4)(R5)(R6)(R7)(R8)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LED에는 +단자에는 저항(R3)이, 그리고 그 -단에는 저항(R4)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LED의 보호용으로 제너다이오드(D1)가 LED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R4)의 한쪽단에는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트랜지스터(R4)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부(400)에 있는 상기 SCR의 출력단에는 저항(R3)이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가 상기 저항(R3)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와 베이스사이에는 저항(R5)이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저항(R6)(R8)이 직렬로 연결되어서 접지되고, 저항(R6)과 저항(R8)사이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잇다.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콘덴서(C1)와 저항(R7)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서 접지되어 있다.
스위치부(400)를 경유하여 공지의 다이얼 회로부(500)와 네트워크 회로부(300)가 연결되어 있고, 뮤트 회로부(600)가 상기의 다이얼 회로부(500)와 네트워크 회로부(300)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뮤트 회로부(600)는 다이오드(D2), (D3)와 트랜지스터(TR3)(TR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D2)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는 또 다이얼 IC의
Figure kpo00001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오드(D3)는 송화기(TX)에 열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3)(TR4)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의 -단에 열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셋을 들면 후크스위치(HS)가 접촉되어 루프가 형성되면서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다이얼 회로부(500)와 네트워트 회로부(300)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사용자가 통화중 대기하기 위해 홀드스위치(SW)를 누르면 전류가 저항(R1)을 통해 흐르면서 SCR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SCR이 작동가능하게 되고 또 저항(R2)을 경유하여 홀드회로(2)에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저항(R2)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C2)는 SCR의 케이트에 트리거 신호가 안전하게 입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홀드회로부(200)에 인가된 전류는 저항(R5)(R7)을 경유하여 흐르게 되는데 이때의 전류는 선로상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십 내지 수백 ㎂정도이다.
이와같이 전류가 저항(R5)(R7)을 경유하여 흐름에 따라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트랜지스터(TR1)가 온(ON) 상태로 되므로 전류는 그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저항(R6)(R8)으로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서 전위차(0.6V 이상)가 생겨 트랜지스터(TR2)도 온상태로 되어진다.
이와같이 트랜지스터(TR2)가 온 상태로 되면 이미 작동가능상태로 되어있는 SCR에 인가되는 전류는 저항(R3), LED, 저항(R4) 및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LED에서는 홀드상태를 표시하는 불이 켜지게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2)가 온 상태에 있을때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연결된 다이얼 IC의
Figure kpo00002
단자는 접지된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3)(TR4)는 오프상태에 있게 되고, 송화기(TX)는 오프 되어서 뮤트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대부분의 전류가 트래지스터(TR5)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회로부(300)내의 수화기(RX)쪽으로 흐르고, 단지 수십 내지 수백 μA의 전류만이 저항(R5)(R7)을 통해 흘러 결국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전압은 "전류 X저항(R7)"의 값으로서 매우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홀드를 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드셋을 제 자리에 다시 놓으면 후크스위치(HS)는 끈어진 상태가 되므로 다이얼 회로부(500)와 네트워크 회로부(300)를 흐르던 전류는 홀드 회로부(200)쪽으로만 모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저항(R7)(R8)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전압도 증가되게 된다.
이와같이 콘덴서(C1)에 높은 전압이 충전되어 있을때 다시 사용자가 핸드셋을 들게되면 다이얼 회로부(500) 및 네트워크 회로부(300)쪽으로 대부분의 전류가 다시 흐르게 되고 홀드 회로부(200)에 흐르는 전류는 다시 적어지게 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압이 그 에미터 전위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TR2)와 SCR이 오프되어 홀드 회로부(200)에는 다시 전류가 흐르지 않고 개방된 상태 즉 홀드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는 스위치부(400)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홀드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다시 홀드스위치(SW)를 누를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사용되는 부품소자의 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서 원가 절감의 효과도 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인터페이스 회로부(100), 홀드 회로부(200), 네트워크 회로부(300), 스위치부(400), 다이얼 회로부(500) 및 뮤트 회로부(600)로 구성되어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스위치부(400)는 그 게이트 단자가 저항(R1)을 경유하여 홀드스위치(SW)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그 입력단자는 후크스위치(HS)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SCR과, 이 SCR의 게이트 단자와 출력단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2) 및 콘덴서(C2)로 구성되어 있으며, 홀드 회로부(200)는 그 에미터 단자가 상기한 스위치부(400)의 SCR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그 콜렉터 단자는 저항(R6) 및 저항(R8)을 경유하여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에미터 단자와 베이스 단자 사이에는 저항(R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콘덴서(C1) 및 저항(R7)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1)와, 그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고, 그 콜렉터 단자는 저항(R4), LED 및 저항(R3)을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한 스위치부(400)의 SCR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베이스 단자가 저항(R6)과 저항(R8)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2)와, 저항(R3) 및 LED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우드(D1)로 구성되어 있어서 홀드상태가 자동 해제될 수 있으며 홀드상태시에 송화기가 뮤트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KR1019860005548A 1986-07-08 1986-07-08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KR89000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548A KR890005368B1 (ko) 1986-07-08 1986-07-08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548A KR890005368B1 (ko) 1986-07-08 1986-07-08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43A KR880002343A (ko) 1988-04-30
KR890005368B1 true KR890005368B1 (ko) 1989-12-23

Family

ID=1925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548A KR890005368B1 (ko) 1986-07-08 1986-07-08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43A (ko) 198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7175A (en) Power saving line circuit
US4686700A (en) Telephone off-hook detector circuit
US4319094A (en) Three-terminal power supply circuit for telephone set
US4329546A (en) Interface unit for pushbutton selector
KR890005368B1 (ko) 홀드회로와 뮤트회로가 내장된 전화기회로
US5105461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US4440981A (en) Electronic hold circuit
US4731830A (en) Nonsaturating interface supply
GB2143104A (en) Shunt regulator for hands free telephone
JPS62195963A (ja) 通話状態検出装置
US4447674A (en) Electronic hold release circuit
GB2182527A (en) Telephone circuit
US5144287A (en) Current level sensing circuit for use with gyrator circuitry
KR900008103B1 (ko) 전화기의 훅 감시 경보장치
US4656660A (en) Office line holding circuit with an automatic release function for direct connection telephone system
JPH02503254A (ja) 電話機回路装置
AU607195B2 (en) A circuit arrangement for a telephone station with earth connection
US4683351A (en) Impedance maintenance circuit for telephone interface
KR900004646Y1 (ko) 국선 감지회로
KR890005718Y1 (ko) 전화기의 선로상태 감지회로
KR930001225Y1 (ko) 전화기의 자동 보류 해제 장치
US5500896A (en) Code converter comprising protection circuit
KR900003666B1 (ko)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라인 인터페이스회로
KR940004109Y1 (ko) 전화기 사용 확인표시회로
JP2538927Y2 (ja) 電話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