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401Y1 -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401Y1
KR920005401Y1 KR2019860006820U KR860006820U KR920005401Y1 KR 920005401 Y1 KR920005401 Y1 KR 920005401Y1 KR 2019860006820 U KR2019860006820 U KR 2019860006820U KR 860006820 U KR860006820 U KR 860006820U KR 920005401 Y1 KR920005401 Y1 KR 920005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transistor
telephones
swit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329U (ko
Inventor
요시노모 나까노
기요시 야마노우찌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제 1 도, 제 2 도는 본원 고안의 일예의 접속도.
제 3 도는 그 설명을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기 본체 2 : 핸드세트
3 : 인유스회로
본원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전화회선이 사용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소정의 스위치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그 전화회선을 다른 전화기가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이것을 표시하나, 당해 전화기(자기자신)가 사용되고 있을때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전화회선(L)에 대하여, 예를 들면 3대의 전화기(A-C)를 병렬로 접속하고, 전화기(A-C)의 어느 것이나 같이 자유로이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경우, 예를들면 전화기(A)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이 전화기(A)에 의해 회선(L)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나머지 전화기(B,C)를 사용 할 수 없다. 그리고 만일 전화기(A)의 사용중인데도 다른 전화기(B) 또는(C)의 핸드세트(송수화기)를 들면 이미 사용중인 전화기(A)에 대해 잡음을 주거나, 음량을 작게 해 버리는 등의 폐해를 주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전화기(A)의 사용중에는 이에 의해 회선(L)이 사용중인 것을 나머지 전화기(B,C)에 표시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이 하면 이미 사용중인 전화기(A)에 대해 폐해를 주지 않고, 그리고 전화기(A)의 사용이 끝나면 이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어서 전화기 (B) 또는 (C)를 사용할 수 있다(일본국 실원소 59-164757호의 명세서 및 도면참조).
그러나, 이 표시는 회성(L)에 음성신호가 흐르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음성신호가 있으면 사용중의 표시램프를 점등한다고 하는 방법이므로, 당해 전화기의 표시램프, 예를 들면 전화기(A)의 사용중에도 전화기 (A)의 표시램프를 점등해 버린다. 더욱이, 그 음성신호의 내용(레벨)에 따라 표시램프가 점등되므로, 사용자가 신경을 쓰게 된다.
본원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소정의 스위치수단을 설치하고, 당해 전화기의 사용시에는 표시수단을 오프로 한다.
당해 전화기의 사용시에는 표시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전화기 본체, (2)는 핸드세트를 표시하고, 본체(1)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화회선(L)에 접속된다.
그리고, (3)이 인유스회로를 표시하고, 이것이 회선(L)의 사용상태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즉, 회선(L)이 직류컷용의 콘덴서(C1) 및 버퍼용의 저항기(R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동시에, 이 트랜지스터(Q1)는 에미터 접지로 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1)의 콜랙터가 에미터 플로워(emitter follower)의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에미터 접지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 콜렉터에 사용중의 표시램프로서 LED(D2)가 접속된다. 그리고, 전지 등의 직류전원(V1)과 트랜지스터(Q1-Q3)의 전원라인과의 사이에 스위치(S1)가 직렬 접속된다.
이 스위치(S1)는 본체(1)의 혹스위치(도시생략)에 연동하는 것으로, 온 훅시(본체(1)에 핸드세트(2)가 놓여져 있을 때)에는 온, 오프훅시(핸드세트(2)가 들려 있을 때)에는 오프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Q1)의 역회전압방지용, 콘덴서(C2)는 외래의 노이지펄스의 제거용이다. 또한, 회선(L)에는 다른 전화기(A,B)등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 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온 훅상태에 있으며, 스위치(S1)는 온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때 예를 들면 전화기(A)가 사용되고 있으면, 그 음성신호가 콘덴서(C1) 및 저항기(R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 콜렉터에는 증폭된 음성신호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 음성신호의 플러스 쪽의 피크레벨이 트랜지스터(Q2, Q3)이 베이스, 에미터 사이 전압의 합보다 커졌을 때, 트랜지스터(Q2,Q3)가 온 되므로, LED(D2)가 점등되고, 다른 전화기에 의해 회선(L)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콘덴서(C3) 및 저항기(R2)는 음성신호에 의해 LED(D2)가 점멸할 때, 그 점멸감을 적절한 것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어떤 전화기도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트랜지스터(Q1)에 음성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LED(D2)는 소등된 채로이며, 전화회선(L)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을 알수 있다.
한편 이 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오프 훅상태에 있으며, 스위치(S1)는 오프이다.
따라서, 이 인유스회로(3)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핸드세트(2)로 부터의 음성신호가 트랜지스터 (Q1)에 공급되어도 LED(D2)는 소등된 채로로 된다.
이리하여, 본원 고안에 의하면 다른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LED(D2)가 점멸하고, 이 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LED(D2)는 소등된 채로 된다. 따라서, 이 전화기의 통화중에 LED(D2)의 점멸에 신경이 쓰여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이 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인유스회로(3)는 전혀 전류를 소비하지 않으므로, 전원(V1)이 전지의 경우, 그 수명을 길게 할수 있다.
그리고, 전술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Q1)의 출력신호를 그대로 트랜지스터(Q2)에 공급하였으나, 제 2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다이오드(D3,D4)에 의해 배전압정류(倍電壓停留)된 다음 공급해도 된다. 또한, 본체(1)가 인텔리젠트타입의 경우에는 훅스위치의 정보를 CPU에 입력하고, 그 CPU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S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S1)의 대신에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 스위치수단을 병렬접속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다른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LED(D2)가 점멸하고, 이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LED(D2)가 소등된 채로로 된다. 따라서, 이 전화기의 통화중에 LED(D2)의 점멸에 신경이 쓰이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전화기 자체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인유스회로(3)는 전혀 전류를 소비하지 않으므로, 전원(V1)이 전지일 경우, 그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전화기가 병렬 접속되는 전화회선(L)에, 이 전화회선(L)의 음성신호를 보내는 콘덴서(C1)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콘덴서(C1)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는 표시소자(D2)와, 상기 복수의 전화기중의 소정의 전화기의 훅스위치가 온일 때에는 상기 전화회선(L)의 상기 음성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되어 상기 표시소자(D2)가 점멸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전화기의 훅스위치가 오프일때는 이 훅스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전화회선의 상기 음성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표시소자(D2)를 강제적으로 소등하도록 한 스위치소자(S1)를 설치한 전화기.
KR2019860006820U 1985-06-21 1986-05-17 전화기 KR92000540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94329 1985-06-21
JP1985094329U JPS623151U (ko) 1985-06-21 1985-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29U KR870001329U (ko) 1987-02-20
KR920005401Y1 true KR920005401Y1 (ko) 1992-08-08

Family

ID=1410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820U KR920005401Y1 (ko) 1985-06-21 1986-05-17 전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3151U (ko)
KR (1) KR9200054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3151U (ko) 1987-01-09
KR870001329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29690A (ja) 表示付携帯無線機
US4379210A (en) Ringing detector for use by the deaf
KR920005401Y1 (ko) 전화기
US4647723A (en) Circuit for detection of off-hook condition of extension telephones
US4747133A (en) Telephone light adapter
US4546214A (en) Line use indicator for telephone sets sharing a single line
KR0162838B1 (ko)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판넬 램프 제어 회로
KR940008109B1 (ko) 전화기 링 신호의 음량 조절 회로
KR890005719Y1 (ko) 전화기의 병렬선로 상태 감지회로
US4918720A (en) Circui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uated state of an electric appliance
KR950006752Y1 (ko) 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전압 감지회로
JPS5852769Y2 (ja) ボタン電話装置
JP2506967Y2 (ja) 着信ベル光表示装置
KR900008494Y1 (ko) 전화기의 자동 조명등 회로
US5040207A (en) Two-telephone intercom
JP3839284B2 (ja) 携帯端末装置
KR890002560Y1 (ko) 전화선로 사용표시 및 신호표시장치
JPS62161238A (ja) 電話機
KR850000604B1 (ko) 전화기의 통화 보류장치
KR900007056B1 (ko) 전화기에 있어서 다기능 표시회로
KR890005718Y1 (ko) 전화기의 선로상태 감지회로
KR960000654Y1 (ko) 홀드회로및 펄스를 이용한 자동 홀드 해제회로
CA1201542A (en) Line use indicator for telephone sets sharing a single line
KR890008385Y1 (ko) 브랜치된 전화기의 통화상태 감지회로
KR900006639Y1 (ko) 자명종 시계가 부착결합된 탁상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