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45Y1 -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45Y1
KR0120545Y1 KR2019930010460U KR930010460U KR0120545Y1 KR 0120545 Y1 KR0120545 Y1 KR 0120545Y1 KR 2019930010460 U KR2019930010460 U KR 2019930010460U KR 930010460 U KR930010460 U KR 930010460U KR 0120545 Y1 KR0120545 Y1 KR 0120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pad
horn
pad
steering wheel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74U (ko
Inventor
윤도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0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45Y1/ko
Publication of KR950001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혼패드(HORN PAD)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심지지체상에는 혼패드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패드의 배면부에는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부재를 형성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혼패드 안착부에 혼패드가 일체로 안착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컬럼샤프트상에 동시에 장착하는 한편, 상기 혼패드 안착부상의 혼패드 안쪽으로는 전도체, 스프링 및 혼스위치로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혼작동부를 설치함으로써, 혼패드의 장착작업을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혼작동부의 구성 부품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혼패드(HORN PAD)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혼패드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의 방향에서 본 혼패드 요부 확대도로서 내부구조도,
제5도는 제4도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혼패드 및 혼작동부 12: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
14: 스티어링 휠 16: 로크너트
18,18': 보울트 및 너트 22: 중심지지체
24: 안착요홈부 26: 스프링
28: 나사부 30: 체결부재
32: 원주부 34, 34': 접속부재
36: 혼스위치 38: 탄성부재
본 고안의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혼패드(HORN PAD)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휠과 혼패드가 일체로 장착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혼패드(10)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12)의 상단부에 스티어링 휠(14)이 삽입되어 로크너트(16)에 의해서 고정되어지고 그 위로 혼패드(10)가 장착되어지되, 이 혼패드(10)는 스티어링 휠(14)의 배면으로부터 끼워지는 너트(18)에 의해서 장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혼패드(10)의 장착구조에서는 보울트(18) 및 너트(16,18')의 체결작업에 많은 공수가 소요될 뿐만아니라 그에 따른 체결공구의 사용이 불가피하게되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14)과 혼패드(10)를 각각 별개로 장착해야 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혼패드(10)의 혼작동부(10')를 구성하는 와이어링(도시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매우 복잡했었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심지지체상에는 혼패드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패드의 배면부에는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부재를 형성하여서 스티어링 휠의 혼패드 안착부에 혼패드가 일체로 안착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컬럼샤프트상에 동시에 장착하는 한편, 상기 혼패드 안착부상의 혼패드 안쪽으로는 전도체, 스프링 및 혼스위치로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혼작동부를 설치함으로써, 혼패드의 장착작업을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혼작동부의 구성 부품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한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 스티어링 휠(14)의 혼패드(10)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4)의 중심지지체(22) 전면에는 원형의 안착요홈부(24)가 형성되어서 상기 혼패드(10)가 안착되어지되, 이 혼패드(10)의 배면이 스프링(26)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도록 안착되어지고, 혼패드(10)의 배면중심에는 나사부(28)를 갖는 체결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4)의 중심지지체(22)가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12)의 선단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혼패드(10)이 체결부재(30)도 일체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혼패드(10)의 원주부(32)의 내주면에는 상하측으로 각각 전도체 역할을 하는 접속부재(34, 34')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재(34, 34')에 세로 걸쳐서 혼스위치(36)가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지되, 상기 혼스위치(36)의 일측단부는 접속부재(34)에 고정되어지는 동시에 타측단부는 탄성부재(38)를 통하여 하부 접속부재(34')에 착탈 자재되어질 수 있도록 혼패드(10)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서, 상기 혼패드(10)로 부터 돌출된 혼스위치(36)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혼스위치(36)의 하단부가 뒤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하부 접속부재(34')에 접촉되므로 상하측 접속부재(34, 34')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혼패드(10)에서 손을 떼면 혼스위치(36)의 상부에 결착되어져 있는 탄성부재(38)의 탄성 복원력을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져 상하측 접속부재(34, 34,)간의 통전이 차단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패드(10)의 장착은 그 배면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되는데, 즉 혼패드(10)가 스티어링 휠(14)의 중심지지체(22)상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혼패드(10)를 손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14)과 동시에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12)에 체결되게 되고, 이때의 조임 토크는 상기 체결부재(30)가 갖는 나사부(28)의 설계 사양(길이)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패드(10)의 전면상에 로고문자를 각인하게 되면 결합완료시 상기 로고문자의 위치에 따라 결합상태의 판별이 가능하게되므로 혼패드(10)의 보다 정확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패너나 예어툴과 같은 체결공구 없이도 호패드와 스티어링 휠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공수의 절감효과와 작업능률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혼패드의 혼작동부를 구성하는 와이어링을 배제함으로써 혼패드 구성부품수의 절감 효과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 스티어링 휠(14)의 혼패드(10)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4)의 중심지지체(22) 전면에는 원형의 안착요홈부(24)가 형성되어서 상기 혼패드(10)가 안착되어지되, 이 혼패드(10)의 배면이 스프링(26)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도록 안착되어지고, 혼패드(10)의 배면중심부에는 나사부(28)를 갖는 체결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4)으 중심지지체(22)가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12)의 선단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혼패드(10)의 체결부재(30)도 일체로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패드(10)의 원주부(32)의 내주면에는 상하측으로 각각 전도체 역할을 하는 접속부재(34, 접속부재(34)')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재(34, 34')에 세로 걸쳐서 혼스위치(36)가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지되, 상기 혼스위치(36)의 일측단부는 접속부재(34)에 고정되어지는 동시에 타측단부는 탄성부재(38)를 통하여 하부 접속부재(34')에 착탈 자재되어질 수 있도록 혼패드(10)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KR2019930010460U 1993-06-15 1993-06-15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KR0120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460U KR0120545Y1 (ko) 1993-06-15 1993-06-15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460U KR0120545Y1 (ko) 1993-06-15 1993-06-15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74U KR950001074U (ko) 1995-01-03
KR0120545Y1 true KR0120545Y1 (ko) 1998-07-15

Family

ID=1935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460U KR0120545Y1 (ko) 1993-06-15 1993-06-15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74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545Y1 (ko) 자동차의 혼패드 장착구조
US7028579B2 (en) Over-mold lever
US5848806A (en) Steering wheel
JP3789284B2 (ja) 車両のハンドル用スイッチユニット
US3319485A (en) Handles for signal switches
JP2001080528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固定装置
CN211918878U (zh) 具有感应开关定位结构的摩托车
KR0131618Y1 (ko) 시작차 조립용 지그
KR20040026797A (ko)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KR100229905B1 (ko) 웰드용 너트의 고정장치
JP3686277B2 (ja)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62204Y1 (ko) 조작이 용이한 차량의 비상램프 스위치
SE9602747L (sv) Arrangemang vid fordonsratt
KR0135197Y1 (ko) 자동차의 스위치패널 결합구조
JPH07205775A (ja) ブレーキペダル補助具
KR960004527Y1 (ko) 자동차용 조향휠의 허브 플레이트(Hub plate)의 구조
JPH0885403A (ja) バンパ取付構造
KR0140200Y1 (ko) 절삭 기능을 향상시킨 브로치
JP343529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ロアコラム支持構造
JP3062573B2 (ja) レンチおよびこのレンチの使用方法
KR200181187Y1 (ko) 자동차용tv모니터선회장치
KR19980043900A (ko) 자동차의 휠 너트 풀림 경보 장치
JPH0211225Y2 (ko)
JPH08230681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パッド取付ボルト仮組み構造
KR19980012247U (ko) 깜빡이 버튼이 설치된 기어변속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