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32Y1 -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32Y1
KR0120532Y1 KR2019930028604U KR930028604U KR0120532Y1 KR 0120532 Y1 KR0120532 Y1 KR 0120532Y1 KR 2019930028604 U KR2019930028604 U KR 2019930028604U KR 930028604 U KR930028604 U KR 930028604U KR 0120532 Y1 KR0120532 Y1 KR 0120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orn
steering wheel
pad
whe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85U (ko
Inventor
진홍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8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32Y1/ko
Publication of KR950018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혼 패드측에는 2개의 혼 플레이트를 연장 형성하고, 스티어링 휠의 보디측에는 각각 +단자와 -단자를 가지면서 상기 혼 플레이트의 각각의 혼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링형 접속자와 판형 브라켓을 연장 형성하여, 스티어링 혼 패드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면 이와 함께 상기 각각의 혼 플레이트가 접속자에 끼워지는 동시에 브라켓에 맞대어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제1도는 스티어링 휠의 일부 절개도로서, 본 고안의 음극측 접점 형성부위를 나타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양극측 접점 형성부위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티어링 휠 보디11:스티어링 혼 패드
12:압착걸림구13:접속자
14:접촉편15:브라켓
16:수평접속편17:수직접촉편
18:혼 플레이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혼 패드의 장착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는 스티어링 혼 패드 측으로 부터 +단자와 -단자를 각각 갖는 2개의 터미널 예컨대, 일종의 컨넥터가 연장되어져 있고 스티어링 혼의 보디측으로 부터로 이에 상대되는 2개의 컨넥터가 연장되어져 있어서, 상기 양측의 컨넥터를 서로 끼움으로서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런다음에 상기 접속부위가 덮혀지도록 스티어링 혼 패드를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스티어링 혼의 접속구조에서는 스티어링 혼의 접속작업과 스티어링 혼 패드의 장착작업이 각각 별개의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혼 패드측에는 2개의 접점형성용 혼 플레이트를 연장 형성하고, 스티어링 휠의 보디측에는 각각 +단자와 -단자를 가지면서 상기 혼 플레이트의 각각의 혼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링형 접속자와 판형 브라켓을 연장 형성하여, 스티어링 혼 패드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면 이와 함께 상기 각각의 혼 플레이트가 접속자에 끼워지는 동시에 브라켓에 맞대어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스티어링 휠 보디(10)와 스티어링 혼 패드(11)에 각각 2개씩 형성된 접속단자가 상호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전면으로 선단부에 절곡 요입형 압착걸림구(12)를 갖는 판형의 접속자(13)와 탄력형 접촉편(14)을 갖는 링형의 브라켓(15)이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후면으로 선단부에 각각 수평접속편(16)과 수직접촉편(17)을 갖는 2개의 혼 플레이트(18)가 연장 형성되어서, 스티어링 휠 보디(10)에 스티어링 혼 패드(11)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각각의 혼 플레이트(18)는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접속자(13)와 브라켓(15)으로 각각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전면부에서 부터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후면부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접속자(13)는 그 선단부가 앞쪽으로 끼움구를 갖는 탄력형의 압착걸림구(12)로 이루어져 여기에 상기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후면부에서 부터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전면부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혼 플레이트(18-1)의 선단부인 수평접속편(16)이 끼움구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서, 상기 접속자(13)로 인가되는 +전류가 상기 접속부위를 통해 스티어링 혼 패드(11)로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전면부에서 부터 연장 형성되는 또다른 접속단자인 상기 브라켓(15)에는 상기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혼 플레이트(18-2)가 맞대어지게 되고 이때의 접속형태는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누름조작(장착시킴)을 통해서 혼 플레이트(18-2)의 수직접촉편(17)이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브라켓(15)의 접촉편(14)과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혼 플레이트(18-1)와 접속자(13)간의 접속부위로 부터 통전되어진 전류가 상기 브라켓(15)을 통하여 스티어링 휠 보디(10) 예컨대, 차체로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접속구조는 스티어링 혼 패드(11)를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스티어링 혼 패드 장착부에 장착함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스티어링 혼 패드 설치부에 스티어링 혼 패드(11)를 맞춘 다음 가볍게 누르게 되면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각가의 혼 플레이트(18)는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접속자(13)와 브라켓(15)에 끼워지고 맞대어지게 됨으로써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접속구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티어링 혼 패드(11)를 장착하는 한번의 작업과정을 통하여 스티어링 혼의 접속구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스티어링 혼의 구성도 기존의 전선과 컨넥터를 배제하게 됨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부품을 가지고 복잡한 배선구조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티어링 혼의 장착작업과 접속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손쉽게 함으로써, 작업능률 향상과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티어링 휠 보디(10)와 스티어링 혼 패드(11)에 각각 2개씩 형성된 접속단자가 상호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전면으로 선단부에 절곡 요입형 압착걸림구(12)를 갖는 판형의 접속자(13)와 탄력형 접촉편(14)을 갖는 링형의 브라켓(15)이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후면으로 선단부에 각각 수평접속편(16)과 수직접촉편(17)을 갖는 2개의 혼 플레이트(18)가 연장 형성되어서, 스티어링 휠 보디(10)에 스티어링 혼 패드(11)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티어링 혼 패드(11)의 각각의 혼 플레이트(18)는 스티어링 휠 보디(10)의 접속자(13)와 브라켓(15)으로 각각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KR2019930028604U 1993-12-20 1993-12-20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KR0120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604U KR0120532Y1 (ko) 1993-12-20 1993-12-20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604U KR0120532Y1 (ko) 1993-12-20 1993-12-20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85U KR950018285U (ko) 1995-07-22
KR0120532Y1 true KR0120532Y1 (ko) 1998-07-15

Family

ID=1937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604U KR0120532Y1 (ko) 1993-12-20 1993-12-20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85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530A (en) Arranging method of a wire harness for a door
CA2155406A1 (en) Connector assembly for a motor control unit
EP0810122A3 (en) Flat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2531970Y2 (ja) 車両用灯具のコネクタ保持構造
EP0346154A3 (en) Modular headliner including a wire harness
KR0120532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혼 접속구조
US20020166852A1 (en) Structure of window heat wire connector of automobile
EP1149730A3 (en) Swichting unit for steering wheel in motor vehicle
JP3286174B2 (ja) 車両の配線構造
JP2791381B2 (ja) 自動車用回路体
KR0127444Y1 (ko) 문짝부 배선장치
JP3318502B2 (ja) レバー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H11176504A (ja) 車体接続用のアース端子および該アース端子の車体接続構造
KR920008186Y1 (ko) 조립시 혼 경적음 방지장치
KR100534872B1 (ko)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구조
JPH10322851A (ja) 電気接続箱
JPH0127564Y2 (ko)
JPH0567132U (ja) 電気接続箱
JP2821953B2 (ja) 車両用灯具
KR100240711B1 (ko) 리어 윈도우 글래스 안테나의 터미널 연결장치
KR200342852Y1 (ko)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 어셈브리 구조
JPH1127831A (ja) リレー用ブロック
KR100262185B1 (ko) 리어 윈도우 글래스 안테나의 터미널 연결장치
JP2001257036A (ja) 電気接続箱のコネクタ結合構造
JPH09245865A (ja) 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