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65B1 -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65B1
KR0119565B1 KR1019940021279A KR19940021279A KR0119565B1 KR 0119565 B1 KR0119565 B1 KR 0119565B1 KR 1019940021279 A KR1019940021279 A KR 1019940021279A KR 19940021279 A KR19940021279 A KR 19940021279A KR 0119565 B1 KR0119565 B1 KR 011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dress
memory
data
initi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839A (ko
Inventor
김서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65B1/ko
Publication of KR96000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mage Input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레임 버퍼등에서 메모리의 전체영역 또는 특정영역을 초기화하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목적은 메모리전체 및 연속된 특정영역을 초기화하는 메모리의 초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소정 지정영역의 위치어드레스를 저장하여 현재 위치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상기 위치어드레스와 비교하고, 그 결과로부터 현재 위치의 상기 지정영역내 존재여부를 인지하고, 소정 초기화모드신호에 대응하여 현재위치와 초기화여부를 결정하여 메모리에서 현재위치의 초기화를 수행하며,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지정영역의 내,외부 및 전체영역을 자유로히 초기화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화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레이져 빔 프린터 등의 화상처리장치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화상을 저장하는 일반적인 프레임버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메모리를 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와 지정영역외부 클리어모드의 초기화 상태를 도시적으로 나타내는 초기화 상태도로서, 3a도는 지정영역[(X1,Y1),(X2,Y2)]을 존재시키고 상기 지정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초기화시킨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3b도는 상기 지정영역[(X1,Y1),(X2,Y2)]만을 초기화시킨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제4도는 상기 제1도의 구성중 클리어 제어부(300)의 상세 블록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 동작시에 중요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영역외부 클리어모드 동작시에 중요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 버퍼등에서 메모리의 전체영역 또는 특정영역을 초기화하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장착되는 메모리는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에서 램덤(random)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메모리(전원이 없어지면 내용이 보존되지 않는 메모리 : SRAM 또는 DRAM 등)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시스템이 운용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의 내용을 특정한 데이터로 초기화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경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로는 화상(image)을 저장하는 프레임버퍼(frame buffer)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특히 프린터의 프레임 버퍼등에서는 초기화시 화상이 저장되는 영역이외의 곳을 일정한 값으로 채워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메모리를 초기화 또는 클리어(clear)시키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가 필요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초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기화 장치들의 일례가 미합중국 특허 제5,054,000호 및 제4,949,308호에 개시되고 있다.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5,054,000호 및 제4,949,308호에 개시된 종래의 초기화장치들은 메모리 초기화장치를 메모리칩 내부에 내장한 것으로, 하나의 신호로써, 칩내부 메모리셀(cell)전체를 '0' 또는 '1'의 데이터로 초기화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초기화장치들은 메모리의 특정한 부분을 지정하고, 그 지정영역만을 초기화 할 때는 메모리의 어드레스가 연속적이지 않아 초기화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초기화장치들은 메모리의 전체를 초기화 하거나 메모리의 연속된 일정 영역만을 초기화할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메모리 초기화장치들은 지정영역을 클리어하기위해 메모리를 전체적으로 클리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일부 지정영역을 클리어하더라도 특정하게 연속된 영역만을 초기화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부 불연속적인 지정영역을 클리어하기위해서 종래에는 호스트(host)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일일이 필요없는 부분(초기화가 필요한 부분)을 지웠으므로, 상기 호스트나 CPU에게 과도한 부하를 줄뿐더러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전체 및 연속된 특정영역을 초기화하는 메모리의 초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연속적인 특정 영역의 초기화 및 특정 영역이외의 곳을 초기화하고 초기화값을 임의로 정할 수 있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에 있어서, 소정 데이타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초기화 데이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로 상기 초기화 데이타를 출력하는 초기화 데이터저장수단과, 소정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의 현재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현재 어드레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의 시작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며, 상기 현재 어드레스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의 종료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이를 알리는 종료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외부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메모리의 소정 영역을 지정하는 블록시작위치 어드레스 데이터 및 블록끝위치 어드레스데이타를 입력받아 지정된 영역의 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영역정보 저장수단과, 소정 초기화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 생성수단으로 어드레스 생성타이밍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현재 어드레스 데이터와 상기 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어드레스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영역내에 위치하는가를 알리는 판단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내부 또는 외부의 초기화를 선택하는 소정초기화모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판단정보신호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와 메모리 기록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초기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소정 화상을 저장하기위한 프레임 버퍼(100)와, 소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100)내의 화소위치를 나타내는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와, 상기 프레임버퍼(100)내의 라인위치를 나타내는 행 어드레스(row address)와,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마지막 어드레스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종료신호(End)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생성기(200)와, 외부 제어수단(호스트 또는 CPU)으로부터 소정 지정영역의 좌상귀어드레스(Y1,X1) 및 우하귀어드레스(Y2,X2)를 입력받아 제1∼4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영역정보 레지스터부(600)와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와, 상기 영역정보 레지스터부(600)로부터 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으며, 상기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를 상기 영역정보데이타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영역비교기(500)와, 상기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열 어드레스 입력을 알리는 열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행 어드레스 입력을 알리는 행 어드레스 제어신호(), 데이터 기록시점을 알리는 기록제어시노()를 생성출력하는 클리어 제어부(300)와, 24비트의소정 클리어데이타를 저장하는 클리어데이타저장부(400)로 구성한다.
상술한 제1도의 구성중 상기 영역정보 레지스터부(600)는,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영역의 좌상귀 열 어드레스(Y1)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제1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레지스터(610)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영역의 자상귀 행 어드레스(X1)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제2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제2레지스터(620)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영역의 우하귀 열 어드레스(Y2)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제3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제3레지스터(630)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영역의 우하귀행 어드레스(X2)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제4영역정보데이타로 출력하는 제4레지스터(640)로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제1도의 구성중 상기 영역비교기(500)는,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열 어드레스와 상기 제1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으며 상기 두 입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1비교결과신호(SA)로 출력하는 제1비교기(510)와,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행 어드레스와 상기 제2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으며 상기 두 입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2비교결과신호(SB)로 출력하는 제2비교기(520)와,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열 어드레스와 상기 제3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으며 상기 두 입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3비교결과신호(SC)로 출력하는 제3비교기(530)와,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행 어드레스와 상기 제4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으며 상기 두 입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4비교결과신호(SD)로 출력하는 제4비교기(540)로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클리어데이타저장부(400)는 자연색상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화소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일례로 24비트의 클리어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프레임 버퍼(100)의 기록 일례를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상기 프레임 버퍼(100)는 (2m,2n)크기로 가로가 2m,세로가 2n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상술한 제2도의 메모리를 두가지 경우로 초기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화상태로서, 제3a도는 지정영역[(X1,Y1),(X2,Y2)]을 존재시키고 상기 지정영역[(X1,Y1),(X2,Y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초기화시킨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제3b도는 상기 지정영역[(X1,Y1),(X2,Y2)]만을 초기화시킨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4도는 상술한 제1도의 구성중 클리어제어부(30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클리어제어부(300)는, 상기 제1비교결과신호(SA)를 입력받아 인버팅출력하는 제1인버터(323)와, 상기 제2비교결과신호(SB)를 입력받아 인버팅출력하는 제2인버터(325)와, 상기 제1인버터(323) 및 제2인버터(325)의 출력신호들과 상기 제3 및 제4비교결과신호(SC,SD)를 입력받아 부논리곱(NAND)연산하여 영역판단신호(321)로 출력하는 부논리합연산소자(327)로 구성되는 지정영역판단부(320)과, 상기 영역판단신호(321)와 클리어모드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논리합연산하여 출력하는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클리어스타트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소정 주기를 갖는 행 어드레스제어신호()와, 열 어드레스타이밍신호()와, 기록타이밍신호(), 어드레스생성타이밍신호(Inc)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종류신호(End)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들의 생성을 중단하는 억세스 타이밍 제어부(310)와, 상기 배타적 논리합연산소자(330)의 출력신호(331)와 상기 열 어드레스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연산하여 열 어드레스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1논리합연산소자(350)와,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의 출력신호와 상기 기록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연산하여 기록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2논리합연산소자(340)로 구성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 동작시에 중요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 동작시에 중요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동작은 크게 지정영역내의 클리어모드와 지정영역외의 클리어모드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의 구분은 초기 외부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클리어모드신호에 따라 대응된다. 또한 클리어동작전에 영역정보레지스터부(600)는 상기 외부제어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지정영역의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즉 상기 영역정보 레지스터부(600)는 외부 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영역의 좌상귀의 열,행 어드레스(Y1,X1) 및 우하귀의 열,행 어드레스(Y2,X2)를 입력받아 각각 제1∼4영역정보데이타(Y1,X1,Y2,X2)로 출력한다.
이하 상술한 제5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지정영역내의 클리어모드를 일례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억세스타이밍부(310)는 상기 외부 제어수단으로부터 클리어 스타트신호가 인에이블상태로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기를 가지는 어드레스생성클럭(Inc)을 생성출력한다. 또한 상기 억세스 타이밍부(31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기를 갖는 행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타이밍신호() 및 기록타이밍신호()를 생성출력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메모리를 억세스하기위해서 필요한 신호로는,,신호가 있다. 상기신호는 해당 메모리에게 행 어드레스 입력을 알려주며,신호는 열 어드레스의 입력을 알려준다. 마지막으로신호는 해당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점을 알려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신호들의 타이밍은 일반적으로 DRAM의 타이밍신호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생성클럭(Inc)을 입력받아 어드레스생성기(200)는 상기 입력크럭(Inc)에 동기하여 어드레스를 한 번지씩 단계적 증가출력한다. 즉,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는 메모리(프레임버퍼(100))의 화소를 나타내는 열 어드레스와 한 라인을 나타내는 행 어드레스를 생성출력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는 해당 메모리의최종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종류신호(End)를 생성 출력하여 초기화의 끝을 알린다.
클리어데이타저장부(400)은 프레임버퍼(100)의 초기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며, 상기 프레임버퍼(100)로 미리 구비된 클리어데이타를 출력한다. 즉, 상기 클리어데이타저장부(400)는 클리어 대상 메모리에 원하는 임의의 값으로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례로 데이터의 크기가 24비트인 것은 자연색상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한 화소의 크기를 예로 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클리어데이타는 클리어하고자하는 프레임버퍼(100)에 저장된 한 화소의 크기에 따라 변동된다.
이후 영역비교기(500)는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로부터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며, 또한 상기 영역정보 레지스터부(600)로부터 제1∼4영역정보데이타(Y1,X1,Y2,X2)를 입력받아 상기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를 상기 영역정보데이타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제1∼제4비교결과신호(SA,SB,SC,SD)로 출력한다.
즉, 상기 영역비교기(500)는 현재 발생된 어드레스가 상기 지정영역에 포함되는지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의 비교동작은 상기 영역비교기(500)를 구성하고 있는 제1∼제4비교기(510∼540)에 의해 각각 수행된다. 상기 제1∼4비교기(510∼540)는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어드레스생성기(200)의 행,열 어드레스입력과,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1∼4영역정보데이타를 각각 비교하여, (-)입력이 (+)입력보다 작을 경우 참(1)을 비교결과신호로 생성출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거짓(0)의 신호를 상기 영역정보데이타로 생성출력한다.
이후 클리어 제어부(300)내의 지정영역판단부(320)는 상기 제1∼제4비교결과신호(SA,SB,SC,SD)를 입력받아 하기 표 1의 규칙에 따라 상술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역판단신호(321)를 생성출력한다.
이후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는 상기 영역판단신호(321)와 클리어모드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논리합연산하여, 하기와 같은 4가지 경우에 따라 상기 프레임버퍼(100)내에서 현재의 열,행 어드레스부분의 초기화여부를 알리는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를 출력한다.
첫째,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는 클리어모드신호가 '0'(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영역판단신호(321)가 '0'(영역 내부)이면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해당부분을 초기화시키는 '0'상태의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를 출력한다.
둘째,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는 클리어모드신호가 '0'(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영역판단신호(321)가 '1'(영역 내부)이면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해당부분을 초기화시키는 '1'상태의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를 출력한다.
셋째,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는 클리어모드신호가 '1'(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영역판단신호(321)가 '0'(영역 내부)이면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해당부분을 초기화시키는 '1'상태의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를 출력한다.
네째,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소자(330)는 클리어모드신호가 '1'(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영역판단신호(321)가 '1'(영역 내부)기 프레임버퍼(100)의 해당부분을 초기화시키는 '0'상태의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를 출력한다.
또한 상술한 동작의 경우를 표로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제1논리합연산소자(350)는 각각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와, 상기 억세스 타이밍제어부(310)의 어드레스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열 어드레스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논리합연산소자(340)는 각각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와, 상기 억세스 타이밍제어부(310)의 기록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기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가 '0'상태로 입력될때에 상기 제1,2논리합연산소자(350,340)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열 어드레스제어신호()와 기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배타적논리합연산신호(331)가 '1'상태로 입력될때에, 상기 제1,2논리합연산소자(350,340)는 어드레스 타이밍신호() 및 기록타이밍신호()의 상태에 상관없이 초기화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키는 '1'상태의 출력을 가진다.
즉 초기화와 현재의 부분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클리어모드신호가 0(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일 경우에는 지정된 영역의 내부가 초기화되고, 클리어모드신호가 1(지정영역외부 클리어모드)일 경우에는 지정된 영역의 외부가 초기화된다.
상술한 동작은 어드레스 생성기(200)로부터 종료신호(End)가 억세스 타이밍제어부(310)에 입력될 때까지 매 화소마다 거듭 반복된다. 이후 상기 억세스 타이밍제어부(310)는 상기 종류신호(End)가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행 어드레스제어신호()와, 어드레스 타이밍신호() 및 기록타이밍신호()의 생성출력을 중지하여 프레임버퍼(100)의 초기화동작이 중단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전체 영역을 초기화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영역정보레지스터부(600)에 전체영역을 지정하고, 클리어모드신호를 '0'(지정영역내부 클리어모드)상태로 지정하여, 상기 프레임버퍼(100)의 전체영역 초기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정영역을 지정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초기화하므로 CPU의 부담을 크게 줄여주고 초기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영역을 지정하고, 그 지정 영역의 내,외부를 모두 초기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레이져 빔 프린터 또는 컬러 프린터에 사용되는 프레임버퍼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중, 임의의 영역을 마음대로 초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프린터 등의 화상저장용 메모리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메모리의 초기화장치에 있어서 : 소정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 초기화 데이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로 상기 초기화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저장수단과 ; 소정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메모리의 시작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현재 어드레스 데이타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며, 상기 현재 어드레스 데이타가 상기 메모리의 종료 어드레스에 도달하면 이를 알리는 종료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과 ; 외부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메모리의소정 영역을 지정하는 블록시작위치 어드레스 데이타 및 블록끝위치 어드레스데이타를 입력받아 지정된 영역의 영역정보 데이타로 출력하는 영역정보 저장수단과 ; 소정 초기화시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 생성수단으로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어드레스생성수단의 현재 어드레스데이타와 상기 영역정보데이타를 입력받아 비교하여 상기 현재 어드레스데이타가 상기 지정된 영역내에 위치하는 가를 알리는 판단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내부 또는 외부의 초기화를 선택하는 소정 초기화모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판단 정보신호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와 메모리 기록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초기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제어수단이 ; 상기 어드레스생성수단의 현재 어드레스데이타와 상기 영역정보데이타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입력데이타들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비교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결과신호로부터 현재 어드레스데이타가 상기 지정된 영역내에 위치하는가를 알리는 판단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소정 주기를 갖는 상기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지정된 영역내부 또는 외부의 초기화를 선택하는 소정 초기화모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판단정보신호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 상기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에 동기하는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와 메모리 기록신호를 생성출력하는 클리어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제어수단이 ; 상기 어드레스생성수단의 현재 어드레스데이타와 상기 영역 정보데이타들을 입력받아 상기 비교결과신호로부터 현재 어드레스데이타가 상기 지정된 영역내에 위치하는 가를 알리는 영역판단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지정영역판단수단과, 상기 영역판단신호와 초기화모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어드레스부분을 초기화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초기화결정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초기화결정수단과, 소정 초기화시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에 동기하는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메모리 기록신호를 상기 어드레스생성 타이밍신호를 동기하여 생성출력하고, 상기 종료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들의 생성출력을 중지하는 억세스 타이밍생성수단과, 상기 초기화결정신호와, 상기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 및 상기 메모리 기록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초기화결정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어드레스 입력제어신호 및 메모리 기록신호를 상기 메모리로 출력하는 출력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KR1019940021279A 1994-08-27 1994-08-27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KR011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79A KR0119565B1 (ko) 1994-08-27 1994-08-27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279A KR0119565B1 (ko) 1994-08-27 1994-08-27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839A KR960008839A (ko) 1996-03-22
KR0119565B1 true KR0119565B1 (ko) 1997-10-17

Family

ID=1939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279A KR0119565B1 (ko) 1994-08-27 1994-08-27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839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3722B1 (en) Memory access control circuit for graphic controller
US4839856A (en) Memory access control circuit
US4649377A (en) Split image display control unit
KR20010013744A (ko) 2스텝 메모리 장치 커맨드 버퍼 장치 및 방법 및 메모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
US4603383A (en) Apparatus for direct data transfer among central processing units
US4827400A (en) Segment descriptor present bit recycle and detect logic for a memory management unit
KR0119565B1 (ko) 메모리의 초기화장치
US570143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synchronous storage having backup registers for storing the latest sets of information to enable state restoration after interruption
US6385746B1 (en) Memory test circuit
US5345555A (en) Image processor memory for expediting memory operations
KR950703188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화상 처리부를 갖고 있는 게임기(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and Game Machine Having Image Processing Part)
US5307454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local image from original image
JPH0319047A (ja) メモリ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2112163A (ja) 画像データ記憶装置及びその画像データ格納方法
KR100211076B1 (ko) 어드레스 스페이스 확장 장치
KR100243177B1 (ko) 그래픽 데이타 처리 방법 및 장치
JPH0321475A (ja) 画像出力装置
KR100362188B1 (ko) 디램에뮬레이션장치
JPS6156575A (ja) 画像デ−タ出力装置
JP3248245B2 (ja) 画像表示装置
JPH0784866A (ja) メモリ制御回路
EP0291558A1 (en) Present bit recycle and detect logic for a memory management unit
JPH03134750A (ja) Dmaデータ転送装置
JPH02176825A (ja) 画像情報表示装置
JPH02137040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