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177Y1 - 자동차의 룸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룸미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177Y1
KR0119177Y1 KR2019950047131U KR19950047131U KR0119177Y1 KR 0119177 Y1 KR0119177 Y1 KR 0119177Y1 KR 2019950047131 U KR2019950047131 U KR 2019950047131U KR 19950047131 U KR19950047131 U KR 19950047131U KR 0119177 Y1 KR0119177 Y1 KR 0119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all
opening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445U (ko
Inventor
윤성덕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7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177Y1/ko
Publication of KR970033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주야운행에 따른 보통미러와 특수미러의 선택적인 사용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를 제공하기 위하여 루프패널의 전방 내측, 또는 윈드쉴드 글래스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아와 볼조인트로 결합되는 미러 프레임의 개방부에 미러프레임으로부터 선회되어 상기 미러프레임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미러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미러플레이트의 양면에 미러면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특수미러 및 보통미러를 각각 고정 장착하고,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외곽 일측을 관절운동 가능한 상태로 미러프레임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볼조인트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룸미러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와 종래 자동차의 룸미러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룸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룸미러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부 상세도
제6도는 제4도의 B부 상세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룸미러에 의한 미러탄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루프패널 4 : 윈드쉴드 글래스
6 : 고정바아 8 : 미러프레임
12 : 개방부 16 : 미러플레이트
18 : 특수미러 20 : 보통미러
10, 14 : 볼조인트 22 : 볼브라켓
24 : 볼 26 : 네크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통미러와 특수미러를 양단면에 구비하여 차량의 주, 야간 주행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와 차량의 좌, 우측에는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자동차의 미러, 특히 룸미러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미러(50)를 미러프레임(52)에 고정 형성하여 루프패널(54), 또는 윈드쉴드글래스(56)에 고정된 고정바아(58)와 볼조인트(60)로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룸미러는 보통의 미러만을 장착하거나, 보통의 미러에 특수미러를 덧붙이는 상태로 고정 장착시켜 차량의 야간주행 시에 발생되는 반사 빛의 산란을 제어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 야 운행에 따라 특수미러를 보통미러와 고정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하거나, 특수미러를 보통미러로부터 떼어낸 후 차량을 운행함으로써, 미러의 선택에 불편하고 번거로움을 초래한다.
또, 보통미러에 특수미러를 고정형으로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보통미러의 선택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여 차량의 주행운행 시에는 오히려 후방시계를 확보하는데 방해요인을 제공함으로써, 후방시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통미러와 특수미러를 차량의 주야운행에 따라 간단한 작동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러의 선택이 용이하고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주간운행 시 미러에 의한 후방시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루프패널의 전방 내측, 또는 윈드쉴드 글래스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아와 볼조인트로 결합되는 미러프레임의 개방부에 미러프레임으로부터 선화되어 상기 미러프레임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미러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미러플레이트의 양면에 미러면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특수미러 및 보통미러를 각각 고정 장착하고,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외곽 일측을 관절운동 가능한 상태로 미러프레임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볼조인트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를 제공한다.
상기한 볼조인트는 미러프레임의 개방부 상측벽 중앙에 미러면의 개방부 면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미러면 개도구간을 갖는 볼브라켓을 형성하고, 이 볼브라켓에 면접촉 상태로 자유로운 관절운동을 행할 수 있는 볼 및 이 볼과 상기 미러프레임의 상측 중앙부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루프패널(2)의 전방 내측, 또는 윈드쉴드 글래스(4)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아(6)를 구비하고 이 고정바아(6)와 미러프레임(8)을 볼조인트(10)로 결합시킨다.
상기한 미러프레임(8)은 고정바아(6)로부터 볼조인트(10) 부분이 허용하는 한도내에서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며, 일측으로 개방부(12)를 형성하고, 미러프레임(8)으로 부터 선회되어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를 개폐할 수 있는 미러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미러플레이트(16)의 양면에는 미러면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특수미러(18) 및 보통미러(20)를 각각 고정 장착하며, 이러한 미러플레이트(16)의 외곽 일측을 관절운동 가능한 상태로 미러프레임(8)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조인트(14)는 제5도에서와 같이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 상측벽 중앙에 미러면의 개방부(12)로부터 미러면이 개도될 수 있도록 일정 구간을 제공하는 장홀(H)이 형성된 볼브라켓(22)를 구비한다.
이 볼브라켓(22)에는 면접촉 상태로 자유로운 관절운동을 행할 수 있는 볼(24)을 결합시키고 이 볼(24)과 상기 미러프레임(8)의 상측 중앙부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부(26)를 구비한다.
한편,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 중앙 하측에 클립(28)을 돌출 형성하고, 이 클립(28) 및 이 클립(28)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미러플레이트(16)에 서로 결합 가능한 클립턱(30)을 각각 형성하여 미러(18)(20) 들의 반사면 조절이 이루어진 미러플레이트(16)가 개방부(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28)에 의한 클립턱(30) 들의 결합 해체시 미러플레이트(16)를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32)를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 측벽에 장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클립턱(30)에서 클립(28)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키면 미러프레임(8)은 탄성부재(32)의 탄력으로 개방부(12)에서 이탈되며, 이러한 미러플레이트(16)를 상향으로 선회시킨 후 미러프레임(8) 개방부(12)의 외측으로 보통미러(20), 또는 특수미러(18)를 선택적으로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에 배치되는 보통미러(20), 또는 특수미러(18)는 클립턱(30)에 결합되는 클립(28)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선택적으로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 외측면에 배치된 보통미러(20), 또는 특수미러(18)는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주, 야 운행 상태에 따라 각각 충분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빛의 산란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룸미러는 차량의 주야운행에 따른 보통미러와 특수미러의 선택적인 사용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루프패널(2)의 전방 내측, 또는 윈드쉴드 글래스(4)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아(6)와 볼조인트(14)로 결합되는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에 미러프레임(8)로부터 선회되어 상기 미러프레임(8)의 개방부(12)를 개폐할 수 있는 미러플레이트(16)를 구비하고, 이 미러플레이트(16)의 양면에 미러면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특수미러(18) 및 보통미러(20)를 각각 고정 장착하며, 상기 미러플레이트(16)의 외곽 일측을 관절운동 가능한 상태로 미러프레임(8)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볼조인트(1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볼조인트(14)는 미러프레임 (8)의 개방부(12) 상측벽 중앙에 미러면의 개방부(12) 폐쇄면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미러면 개도구간을 갖는 볼브라켓(22)을 형성하고, 이 볼브라켓(22)에 면접촉 상태로 자유로운 관절운동을 행할 수 있는 볼(24) 및 이 볼(24)과 상기 미러프레임(8)의 상측 중앙부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부(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리머.
KR2019950047131U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룸미러 KR0119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31U KR0119177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31U KR0119177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룸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445U KR970033445U (ko) 1997-07-26
KR0119177Y1 true KR0119177Y1 (ko) 1998-07-15

Family

ID=1943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31U KR0119177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의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445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00025A (ja) 自動車のチルト・スライド式サンル−フ
KR20010001742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의 배니티미러구조
KR0119177Y1 (ko) 자동차의 룸미러
JPS6167621A (ja) 自動車の日よけ装置
US4031772A (en) Night/day rearside view mirror
US8899764B2 (en) Distortion-free image capture mirror which may be used with an automotive side view mirror for capturing an image from an area representing a blind spot for a drive of a vehicle fitted with the distortion-free image capture mirror
US5058942A (en) Permanent sunshields fully cover automobile windows
JP3340641B2 (ja) 後方視認装置
JPH0216887Y2 (ko)
KR200153376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46468A (ko) 자동차의 리어뷰미러
KR970038149A (ko) 자동차의 룸미러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KR200149445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글라스의 고정구조
KR200188066Y1 (ko) 자동차용 룸 밀러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KR200141657Y1 (ko) 차량의 선바이저 겸용 사이드 미러
KR200153380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이동장치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200173417Y1 (ko) 자동차의 인 사이드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
KR0132909Y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용 화장 거울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00193249B1 (ko) 리어 뷰 미러
KR950002751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19980028022U (ko) 자동차용 보조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