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049Y1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049Y1
KR0119049Y1 KR92024996U KR920024996U KR0119049Y1 KR 0119049 Y1 KR0119049 Y1 KR 0119049Y1 KR 92024996 U KR92024996 U KR 92024996U KR 920024996 U KR920024996 U KR 920024996U KR 0119049 Y1 KR0119049 Y1 KR 0119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oating liquid
spherical
applicato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616U (ko
Inventor
히데시 오까모도
노리소 쯔가와
Original Assignee
니시모도 히로유끼
세-라 만넹히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93249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1480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71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8362U/ja
Priority claimed from JP25387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76568U/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도 히로유끼, 세-라 만넹히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도 히로유끼
Publication of KR930013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상 도포체를 지지한 팁에 가요성이 큰 도포액 탱크가 접속되고, 도포액 탱크에 점도가 높은 조막성 도포액이 충전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팁은 그 내부에 도포액 통과 구멍을 가지고, 도포액 통과 구멍으로 이어지는 볼 하우스에 구상 도포체를 그 일부가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아서 볼 하우스 내로 조금 돌출하는 가동자의 선단면으로 구상 도포체가 전방으로 밀려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는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구
제 1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제 2도는 제 1 실시예의 팁 주요부의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상 도포체 2 : 팁
3 : 홀더 4 : 도포액 탱크
5 : 가동자 6 : 스프링
7 : 슬리브 21 : 도포액 통과 구멍
22 : 볼 하우스 25 : 시트부
26 : 팁의 선단 가장자리
본 고안은 수정액이나 화장액 등의 점도가 높은 도포액이 충전된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포구는 도포체가 가요성 재료로 성형된 도포액 탱크의 선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도포체의 후방에 밸브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도포체 선단을 도포면에 눌러서 밸브를 열고, 이 상태에서 도포액 탱크를 눌러서 점도가 높은 도포액이 도포체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 많다. 그래서 도포체가 구상인 경우는 선단 가장자리를 안쪽으로 향해 끼운 파이프 형상의 팁내에 구상 도포체를 후방부터 넣어서 구상 도포체의 일부를 팁 선단에서 노출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은 가동자의 선단면으로 전방으로 밀어내는 것이 많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는 구상 도포체를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밀착시키고 구상 도포체와 팁의 선단 가장자리에 의해 밸브 구조를 이루게 하여 수정액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시에 구상 도포체의 선단을 도포면에 누르면 구상 도포체가 후퇴하여 팁의 선단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밸브를 개방하나, 팁이 파이프 형상이므로 세게 누르면 구상 도포체가 팁내로 완전히 들어가 버린다. 따라서 밸브가 크게 개방된 상태로 되어 도포액이 과도하게 토출된다. 즉 도포면에 누르면 힘에 따라 토출량이 변화하므로 토출량 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는 가동자의 선단면에 접촉해서 회전하나 그 접촉 면적이 좁고, 또 가동자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아 이동하므로 불안정하고, 구상 도포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아서 도포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토출량 제어가 용이하고 과도하게 토출하지 않으며 원활한 도포가 가능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포구는, 구상 도포체를 지지한 팁에 가요성이 큰 도포액 탱크가 접속되고, 도포액 탱크에 점도가 높은 조막성 도포액이 충전된 도포구에 있어서, 팁은 그 내부에 도포액 통과 구멍을 가지며 도포액 통과 구멍으로 이어지는 볼 하우스에 구상 도포체를 그 일부가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아서 볼 하우스 내로 약간 돌출하는 가동자의 선단면 또는 스프링으로 직접 구상 도포체를 전방으로 밀어서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가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접촉해서 회전하도록 한다. 혹은 질량이 작은 스프링을 팁내에 배치하고 이 스프링으로 직접, 또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은 가동자의 선단면으로 구상 도포체를 전방으로 밀어서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가 볼 하우스의 좌부에 접촉해서 회전하도록 한다.
구상 도포체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은 가동자의 선단면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고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상 도포체가 팁의 안쪽으로 향한 선단 가장자기에 밀착되어 수정액이 토출되지 않으나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가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므로 구상 도포체가 팁내로 많이 들어가 묻히지 않아서 토출량 제어가 용이하고 과도하게 토출되지 않으며, 특히 원활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그리고 스프링의 일단을 당겨서 봉상부를 형성하여 이 봉상부로 구상 도포체를 밀면 부품 갯수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 질량이 작은 스프링을 팁내에 배치하여 이 스프링으로 직접 또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은 가동자의 선단부로 구상 도포체를 밀면 도포구에 큰 충격이 걸린 경우에도 스프링의 관성력이 작고, 스프링이나 가동자가 구성 도포체를 누르는 힘이 약해서 구상 도포체는 팁의 선단에서 탈락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도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내부에 도포액 통과 구멍(21)을 갖는 팁(2)의 선단에 구상 도포체(1)을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한다. 팁(2)가 홀더(3)으로 지지되고, 홀더(3)에 가요성 재료로 성형된 도포액 탱크(4)가 접속되어 있다. 홀더(3)내에는 봉상의 가동자(5)가 배치되고, 가동자(5)의 전방부(5a)는 팁(2)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홀더(3)내에 원통형의 슬리브(7)이 삽입되어 있고, 슬리브(7)과 가동자(5)의 직경 방향의 돌기(51)사이에 스프링(6)이 정착되어 있어서 가동자(5)는 전방으로 탄성을 가지고 지지된다. 그리고 도포액 탱크(4)의 내부에서부터 도포액 통과 구멍(21)에 걸쳐 예를 들면 점도가 30-40cps로 조막성이 높은 수정액인 도포액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제 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상 도포체(1)은 스테인레스로 제조된 팁(2)의 볼 하우스 (22)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예를 들면 5-15㎛정도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팁(2)의 선단 가장자리(26)으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볼 하우스(22)는 도포액 통과 구멍(21)과 중심 구멍(23)및 방사상으로 형성된 세로 방향 홈(24)를 통해 연이어져 있다. 그리고 도포액 통과 구멍(21)에 끼워 관통된 가동자(5)의 전방부(5a)는 볼 하우스 (22)의 시트부(25)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에서 즉, 구상 도포체(1)이 전후 방향으로 예를 들면 5-15㎛정도 이동하면 시트부(25)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구상 도포체(1)을 전방으로 밀고 이것에 의해 구상 도포체(1)은 팁(2)의 선단 가장자리 (26)에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치수의 구체예를 들면, 구상 도포체(1)은 직경이 0.7인 초경 볼로이루어지고, 볼 하우스(22)의 내경은 0.72 내지 0.73이다. 또 구상 도포체 (1)을 볼 하우스(22)내에 정착한 후 팁(2)의 선단 가장자리(26)을 코오킹하여 감싸 지지하나, 코오킹 후에 구상 도포체(1)의 선단을 펀치로 밀어서 볼하우스(22)의 시트부(25)를 10 ±3㎛ 함몰시켜 소성 변형시킨다. 따라서 구상 도포체(1)은 전후 방향으로 7 내지 13㎛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상 도포체(1)과 볼 하우스(22)사이의 틈새는 점도가 높은 도포액을 사용하는 도포구로서는 비교적 작게 되어 있다.
제 3도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홀더(3)내에는 스프링(6)이 배치되고, 스프링(6)의 한끝을 당기도록 하여 일체로 성형된 봉상부(6a)가 배치되어 있고, 봉상부(6a)는 팁(2)내 삽입되어 있다. 또 가동자(5)는 생략되어 있다. 홀더(3)내에 원통형의 슬리브(7)이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6)의 다른 끝이 슬리브(7)에 접해 있다. 따라서 봉상부(6a)는 전방으로 탄력을 가지고 구상 도포체(1)를 직접 민다.
다음에 제 4도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팁(2)의 도포액 통과 구멍(21)내에는 질량이 작은 가동자 (5)와 스프링(6)이 배치되고, 가동자(5)의 전방부(5 a)는 팁(2)의 볼 하우스(22)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홀더(3)내에 원통형의 슬리브(7)이 삽입되어 있고, 슬리브(7)과 가동자(5)사이에는 작은 스프링(6)이 끼워져서 가동자(5)가 전방으로 탄력을 가지고 구상 도포체(1)로 힘을 가한다. 혹은 도시하지 않으나 가동자(5)를 생략하고, 스프링(6)의 선단 부분을 가늘게 하여 볼 하우스(22)내로 삽입하여 구상 도포체(1)를 직접 밀도록 해도 좋다.
그리하여 사용시에는 도포액 탱크(4)를 손끝으로 눌러서 내용적을 감소시키면 도포액이 구상 도포체(1)의 외주에 부착한다. 그리고 도포면에 따라 누르면서 이동시키면 구상 도포체(1)이 스프링(6)의 탄력에 반발하여 후퇴해서 시트부(25)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도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상 도포체(1)이 시트부(25)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회전이 원활하고 이에 따라 원활한 도포가 가능하다. 또 구상 도포체(1)이 시트부(25)에 직접 접촉하므로 도포액이 과도하게 토출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포구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구상 도포체가 팁의 안쪽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에 밀착해서 수정액이 토출되지 않으나, 도포시에 후퇴하는 구상 도포체가 팁의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직접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했으므로 토출량 제어가 용이해서 과도하게 토출되는 일이 없고 원활한 도포가 가능하다. 또 질량이 작은 스프링이나 가동자를 팁 내에 배치해서 구상 도포체를 밀면 도포구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스프링의 관성력이 작으므로 스프링이나 가동자가 구상 도포체를 누르는 힘이 약해서 구상 도포체는 팁의 선단에서 탈락되지 않는다.

Claims (3)

  1. 구상 도포체를 지지한 팁에 가요성이 큰 도포액 탱크가 접속되고, 도포액 탱크에 점도가 높은 조막성 도포액이 충전도니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팁은 그 내부에 도포액 통과 구멍을 가지고, 도포액 통과 구멍으로 이어지는 볼 하우스에 구상 도포체를 그 일부가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아서 볼 하우스 내로 조금 돌출하는 가동자의 선단면으로 구성 도포체가 전방으로 밀려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는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구상 도포체를 지지한 팁에 가요성이 큰 도포액 탱크가 접속되고, 도포액 탱크에 점도가 높은 조막성 도포액이 충전된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팁은 그 내부에 도포액 통과 구멍을 가지고, 도포액 통과 구멍으로 이어지는 볼 하우스에 구상 도포체를 그 일부가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하고, 스프링의 한끝에 일체로 성형된 봉상부로 구상 도포체가 전방으로 밀려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도포시에는 구상 도포체는 볼 하우스의 시트부에 접촉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구상 도포체를 지지한 팁에 가요성이 큰 도포액 탱크가 접속되고, 도포액 탱크에 점도가 높은 조막성 도포액이 충전된 도포구에 있어서,상기 팁의 선단 내부에 구상 도포체가 그 일부가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감싸 지지됨과 동시에 팁내에 질량이 작은 스프링이 배치되어 스프링으로 직접, 또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은 가동자의 선단면으로 구성 도포체가 전방으로 밀려 팁의 내향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92024996U 1991-12-11 1992-12-10 도포구 KR01190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32491U JPH0551480U (ja) 1991-12-11 1991-12-11 塗布具
JP91-109324 1991-12-11
JP627192U JPH0558362U (ja) 1992-01-22 1992-01-22 塗布具
JP92-6271 1992-01-22
JP92-25387 1992-03-27
JP2538792U JPH0576568U (ja) 1992-03-27 1992-03-27 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16U KR930013616U (ko) 1993-07-26
KR0119049Y1 true KR0119049Y1 (ko) 1998-07-15

Family

ID=2727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996U KR0119049Y1 (ko) 1991-12-11 1992-12-10 도포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77510A (ko)
EP (1) EP0548600A1 (ko)
KR (1) KR01190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6481A (en) * 1991-09-26 1997-10-14 Gillette Company Marking instruments
TW334940U (en) * 1993-12-06 1998-06-21 Mitsubishi Pencil Co A ball point pen
EP0703095B1 (en) * 1994-09-22 1997-11-26 Sailor Pen Co., Ltd. Applicator
US5586694A (en) * 1994-12-14 1996-12-24 Fragrance Systems International, Inc. Perfume applicator with replaceable cartridges
US5526960A (en) * 1994-12-14 1996-06-18 Fragrance Systems International, Inc. Perfume dispenser with replaceable cartridges
US5678942A (en) * 1995-02-28 1997-10-2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Ball-point pen
US5988922A (en) * 1995-06-01 1999-11-23 The Gillette Company Valve for correction fluid dispenser
WO1997022483A1 (fr) * 1995-12-19 1997-06-26 Kabushiki Kaisha Pilot Cartouche de rechange pour crayon a bil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9608839A1 (de) * 1996-03-07 1997-09-11 Ahrens Hans Joachim Farb- Klebe- und Korrekturstift
DE19617777A1 (de) * 1996-05-03 1997-11-06 Ahrens Hans Joachim Korrekturkuli mit verschiedenen Strichbreiten
WO1999024266A1 (fr) * 1997-11-06 1999-05-20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Crayon a bille
AU2094899A (en) * 1997-12-31 1999-07-19 Correct Solutions, Corp. Correction fluid marker and formulation for fluid
US6027272A (en) 1998-06-19 2000-02-22 The Gillette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FR2803580B1 (fr) * 2000-01-12 2002-06-14 Oreal Embout distributeur et ensemble equipe d'un tel embout
JP3393102B2 (ja) * 2000-02-17 2003-04-07 株式会社東京サインペン ボールペンのチップ
FR2839011B1 (fr) 2002-04-30 2007-10-12 Bic Soc Poussoir pour bille pour une pointe d'applicateur et ensemble formant pointe incorporant un tel poussoir
US20060115318A1 (en) * 2003-12-29 2006-06-01 Premec S.A. Ball-point pen with means of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ball-pressing spring
US7037015B1 (en) * 2005-07-27 2006-05-02 Chartpak, Inc. Roller ball pen for pigmented inks
CN103569484B (zh) 2012-07-03 2017-07-18 阿米纳克及合伙人有限责任公司 滚动涂敷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99A (en) * 1898-03-08 Fountain markinq-pen
US554189A (en) * 1896-02-04 Ball fountain-pen
DE279362C (ko) * 1909-11-17 1914-10-16
FR461361A (fr) * 1912-08-23 1913-12-27 Eugene Jean Francois Balme Récipient distributeur de liquide et ses applications
DE529451C (de) * 1929-07-12 1931-07-13 John Peter Nissen Jr Schreibgeraet
US2122580A (en) * 1936-09-16 1938-07-05 John T Morris Perfume applicator
US2440829A (en) * 1946-04-09 1948-05-04 Arthur F O'connor Writing instrument
FR950038A (fr) * 1947-07-23 1949-09-15 Pointes obliques pour stylographes à bille
FR1071169A (fr) * 1951-10-27 1954-08-26 Distributeur d'adhésif
DE1209912B (de) * 1958-03-28 1966-01-27 Faber Castell A W Kugelschreiber mit gegen eine Rueckstellkraft nach innen verschiebbarer Kugel
US3000355A (en) * 1959-08-24 1961-09-19 Speedry Chemical Products Inc Marking devices
CH458986A (de) * 1966-07-16 1968-06-30 Zybert Antoni Schreibspitze für einen Kugelfüllhalter
FR2203750A1 (ko) * 1972-10-19 1974-05-17 Cherrier Yves
SE7807467L (sv) * 1977-07-07 1979-01-07 Albrecht Bruno Kg Stift for paforande av lim
DE3616116A1 (de) * 1986-05-13 1987-11-19 Ratioplast Gmbh Kunststoffvera Auftragsgeraet
DE3835299C1 (ko) * 1988-10-17 1989-12-21 Georg Karl Geka-Brush Gmbh, 8809 Bechhof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77510A (en) 1994-01-11
KR930013616U (ko) 1993-07-26
EP0548600A1 (en) 199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9049Y1 (ko) 도포구
US4172673A (en) Writing instrument using thin refill leads
KR100298840B1 (ko) 푸시-버튼식 필기구
US4826339A (en) Dispenser having a flexible nib, slidable sleeve and cap
CA2239844A1 (en) Actuating device
US447973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retained in tip
US446946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tip
US5199807A (en) Knocking type solid cosmetic container
KR900009507Y1 (ko) 샤아프펜슬
JP3083266B2 (ja) 筆記具用チップ
GB2104848A (en) Writing instrument
JPH0655557B2 (ja) 筆記用具
EP0300421A2 (en) Improved seal for a dosage dispenser tube
JPH11513625A (ja) 着色液または修正液を塗布するためのペン
KR920007195Y1 (ko) 액상체의 필기 또는 도포용기구에서의 밸브장치
US4884911A (en) Mechanical pencil with latching chuck actuator
JPH0328945Y2 (ko)
US5542771A (en) Applicator having cap which pressurizes and seals inner space
JP2577549Y2 (ja) サイドノック式塗布具
JP2566661Y2 (ja) 塗布具
JPH08266990A (ja) 塗布具
JPH0615218A (ja) 塗布具の製造方法
JPH0551480U (ja) 塗布具
JPH0558362U (ja) 塗布具
JPH08206579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