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34Y1 - 주파수 체배기 - Google Patents

주파수 체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34Y1
KR0118634Y1 KR92013876U KR920013876U KR0118634Y1 KR 0118634 Y1 KR0118634 Y1 KR 0118634Y1 KR 92013876 U KR92013876 U KR 92013876U KR 920013876 U KR920013876 U KR 920013876U KR 0118634 Y1 KR0118634 Y1 KR 0118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gate
delay time
frequenc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86U (ko
Inventor
방대성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13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634Y1/ko
Publication of KR940004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19/0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 H03B19/06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by means of discharge device or semiconductor device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 H03B19/08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by means of discharge device or semiconductor device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by means of a discharge device
    • H03B19/1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by means of discharge device or semiconductor device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by means of a discharge device using multiplication only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파수체배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로는 주파수체배작용을 단지 인버터 2개의 지연시간에 의존함으로써 정확한 주파수체배값을 얻기가 어렵고, 또한 EX-OR 게이트가 5개의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버터에서 얻어진 지연시간을 소멸시키기 쉬우며,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버터의 지연시간에 의존하지 않아 정확한 체배주파수값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EX-OR 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아 게이트수를 감소시켜 씨모스(CMOS)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적은 면적을 점유하는 주파수체배기를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회로를 사용하면 인버터의 지연시간에 의존하지 않아 정확한 체배주파수값을 얻을 수 있으며, EX-OR 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아 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 되는 효과가 발행한다.

Description

주파수 체배기
제1도는 종래 주파수체배기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주파수체배기 회로도.
제3도의 (a)는 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 파형도.
(b)는 제2도 (D)지점의 파형도.
(c)는 출력단자(Vout)로 출력되는 구형파 펄스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0-13: 인버터 3:EX-OR 게이트
14,15:전송게이트 Vin:입력게이트
Vout:출력게이트 C1:캐패시터
본 고안은 주파수체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확한 체배주파수값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게이트수를 감소시켜 씨모스(CMOS)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적은 면적을 점유하는 주파수체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파수체배기는 제1도 종래 주파수체배기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Vin)가 직접 단자(A)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입력단자(Vin)가 인버터(1) 및 (2)를 통하여 단자(B)에 연결된 EX-OR 게이트(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회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Vin)로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열중 첫 번째 구형파 펄스를 직접 EX-OR 게이트(3)의 단자(A)에 인가하고 이와 동시에 이 첫 번째 구형파 펄스를 인버터(1)및(2)를 통하여 일정시간 지연시켜 단자(A)에 인가된 첫 번째 구형파 펄스가 종료되고 두 번째 구형파 펄스가 입력되기 전의 기간중 어느 일정한 기간동안만 EX-OR 게이트(3)의 단자(B)에 인가되도록 한다.
EX-OR 게이트(3)는 단자(A),(B)가 모두 하이 또는 로우상태이면 출력 단자(Vout)로 로우상태를 출력하고 단자(A),(B) 둘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하이이고 다른 단자가 로우상태이면 하이를 출력하므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파수체배기의 입력단자(Vin)에 구형파 펄스를 인가하면 출력단자(Vout)에서는 입력단자(Vin)에 입력되는 구형파 펄스열 주파수의 2배가 되는 주파수를 가진 구형파 펄스열이 출력단자(Vout)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주파수체배작용을 단지 인버터 2개의 지연시간에 의존함으로써 정확한 주파수체배값을 얻기가 어렵고, 또한 EX-OR 게이트가 5개의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버터에서 얻어진 지연시간을 소멸시키기 쉬우며,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버터의 지연시간에 의존하지 않아 정확한 체배주파수값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EX-OR 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아 게이트수를 감소시켜 씨모스(CMOS)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적은 면적을 점유하는 주파수체배기를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주파수체배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Vin)는 인버터(13)를 통하여 전송게이트(14)의 단자(P1), 인버터(10)를 통하여는 전송게이트(14) 단자(T1)와 캐패시터(C1)의 접속점, 및 전송게이트(14)와(15)의 단자(N1)과(P2)의 공통접속점에 동시에 연결되고, 인버터(10)와 캐패시터(C1)의 접속점은 인버터(11)를 통하여 전송게이트(15)단자(T3)에 연결되고, 전송게이트(14)단자(P1)및(T2)는 각각 전송게이트(15)단자 (N2) 및(T4)에 연결되고, 전송게이트(14)및(15)의 단자(T2)와(T4)의 공통 접속점은 인버터(12)를 통하여 출력단자(Vout)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2도 각지점 파형을 (a)에서(c)까지 도시한 제3도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와 같은 파형이 입력단자(Vin)로 입력되면 인버터(10)의 출력은 캐패시터(C1)로 인하여 도3b와 같은 파형이 된다. 도3a의 파형이 하이상태가 되면 전송게이트(14)가 온되고 도3b와 같은 파형의 신호가 출력단자(Vout)로 출력된다. 이때 도3b와 같은 파형의 신호는 캐패시터(C1)에 의해서 일정시간 지연되어 나타난다. 이 지연시간이 입력파형 도3a의 한주기 보다는 빠르고 인버터(10)의 통과시간 보다 늦으면 입력파형 도3a양의 에치에서 트리거 포인트를 만든다. 또한 입력파형 도3a가 로우상태가 되면 전송게이트(15)가 온 되고 도3a의 파형이 하이 상태와 마찬가지로 도3b와 같은 파형이 되어 출력단자(Vout)로 출력되는데 이때는 신호파형이 인버터(11)를 지나게 되므로 이 파형의 지연시간은 캐패시터(C1)에 의한 지연시간에 인버터(11)의 지연시간을 더한값이 된다. 이 지연시간이 입력파형 도3a의 한 주기 보다는 빠르고 인버터(10)의 통과시간보다 늦으면 입력파형 도3a의 음의 에치에서 트리거 포인트를 만든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입력파형 도3a의 하이와 로우상태에서 두 번의 트리거포인트가 발생함으로서 입력파형 도3a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파형 도3c가 출력단자(Vout)로 출력된다. 전체적인 동작을 요약해보면 인버터(10)의 지연시간과 캐패시터(C1)에 의한 지연시간의 합에 의해서 트리거 펄스폭이 결정되며 이 펄스폭이 입력파형 도3a의 펄스폭보다 작을 때 주파수체배가 수행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를 사용하면 인버터의 지연시간에 의존하지 않아 정확한 체배주파수값을 얻을 수 있으며, EX-OR 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아 집적회로로 구성할 시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되는 효과가 발행한다.

Claims (1)

  1. 입력단자(Vin)는 인버터(13)를 통하여 전송게이트(14)의 단자(P1), 인버터(10)를 통하여는 전송게이트(14) 단자(T1)와 캐패시터(C1)의 접속점, 및 전송게이트(14)와 (15)의 단자(N1)과(P2)의 공통접속점에 동시에 연결되고, 인버터(10)와 캐패시터(C1)의 접속점은 인버터(11)를 통하여 전송게이트(15)단자(T3)에 연결되고, 전송게이트(14)단자(P1) 및(T2)는 각각 전송게이트(15)단자(N2) 및(T4)에 연결되고, 전송게이트(14)및(15)의 단자(T2)와(T4)의 공통접속점은 인버터(12)를 통하여 출력단자(Vout)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파수 체배기.
KR92013876U 1992-07-27 1992-07-27 주파수 체배기 KR0118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876U KR0118634Y1 (ko) 1992-07-27 1992-07-27 주파수 체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876U KR0118634Y1 (ko) 1992-07-27 1992-07-27 주파수 체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86U KR940004486U (ko) 1994-02-24
KR0118634Y1 true KR0118634Y1 (ko) 1998-08-01

Family

ID=1933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876U KR0118634Y1 (ko) 1992-07-27 1992-07-27 주파수 체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6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86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6110A (en) Pulse generator circuit and method
US6573754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enabling a clock signal in a manner dependent on an enable signal
US5929684A (en) Feedback pulse generators
US4761572A (en) Semiconductor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with noise cut circuit
US4716318A (en) Low pass filter formed in an integrated circuit
KR0118634Y1 (ko) 주파수 체배기
US5524037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even-numbered duty factors
US4547684A (en) Clock generator
KR100353103B1 (ko) 펄스발생회로
US5298799A (en) Single-shot circuit with fast reset
KR970024541A (ko) 로우 패스 필터
KR950006887Y1 (ko) 펄스 모서리 검출회로
KR0118254Y1 (ko) 디지탈 신호의 상승 에지 검출회로
JP2969732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0296046Y1 (ko) 주파수분주장치
KR930010940B1 (ko) 입력인지 회로
KR0147680B1 (ko) 클럭지연회로
KR100290960B1 (ko) 클럭노이즈를제거하기위한글리치필터회로
KR0175026B1 (ko) 클럭 스큐 제거 장치
KR940003181A (ko) 디지틀 신호의 엣지 검출 및 펄스 발생회로
KR900005300B1 (ko) 주파수 채배회로
JPH03228424A (ja) ノイズ除去回路
JPH01300711A (ja) 逓倍回路
JPH04261212A (ja) ノイズ除去回路
JPS6141220A (ja) デイジタル信号遅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