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063Y1 -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063Y1
KR0117063Y1 KR2019950022932U KR19950022932U KR0117063Y1 KR 0117063 Y1 KR0117063 Y1 KR 0117063Y1 KR 2019950022932 U KR2019950022932 U KR 2019950022932U KR 19950022932 U KR19950022932 U KR 19950022932U KR 0117063 Y1 KR0117063 Y1 KR 0117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ront panel
grip
grip assembl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423U (ko
Inventor
장석대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22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063Y1/ko
Publication of KR970009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시에만 트럭의 전면패널에 노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은닉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면패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녹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차량의 전면패널의 양측부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 및 상기 리드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함몰부내에 수용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면패널의 그립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채용한 차량의 부분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A-A선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유사도로서 개방상태의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그립조립체 11 : 리드
12 : 그립부재 12a : 개구
13 : 힌지 14a : 걸림턱부
14b : 걸림턱부 20 : 전면패널
21 : 함몰부 21a : 함몰부 상부가장자리
21b : 함몰부 하부가장자리 21c : 돌출부
본 고안은 차량 특히 트럭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그림, 특히 사용시에는 트럭의 전면패널에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은닉시킬 수 있는 형식의 그립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전면패널(2)에 설치되는 그립(2a)은 일반적으로 그립장착부재(2b)를 개재하여 트럭의 전면 중앙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그립(1a)을 파지한 상태로 트럭 전면의 차창유리를 닦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그립(1a)이 전면패널(2)의 중앙에 위치한 관계로 차창의 상측 모서리부까지 손이 닿기 어려우므로 창닦는 작업이 불편해지며, 특히 차량이 대형인 경우에는 문제가 더 심해진다. 또한 그립(1a)이 전면패널(2)의 외면상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립장착부재(1b)등에 녹이 발생함으로써 트럭 전면패널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패널의 양측부에 한 쌍의 그립조립체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고, 또 사용시에만 전면패널에 노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은닉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면패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녹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시 트럭의 전면패널의 외측에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은닉시킬 수 있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로서,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부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 및 상기 리드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함몰부내에 수용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리드는 그 중앙부에 힌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의 상측에 그립부재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의 하측에 그립부재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함몰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의 상하측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L자형으로 굴곡성형된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의 상측가장자리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의 상측걸림턱부는 상기 상부가장자리의 돌출부에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리드의 하측걸림턱부는 상기 하부가장자리에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리드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의 상측걸림턱부는 상기 하부가장자리에 걸려서 더 이상의 선회운동이 방지되고, 상기 리드의 하측걸림턱부는 상기 상부가장자리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의 외면이 상기 전면패널과 거의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몰형 그립조립체(10)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매몰형 그립조립체(10)는 트럭의 전면패널(2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a도는 제2도의 A-A선단면도로서, 상기 매몰형 그립조립체(10)의 비사용시인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2b도는 제2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상기 매몰형 그립조립체(10)의 리드(11)의 중앙부에 설치된 힌지(13)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180°선회시켜 사용위치로 선회시킨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소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함몰부(21)에는 이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가 힌지(13)에 의해 선회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리드(11)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부재(12)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그립부재(12)에는 사용자의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그립부재(12)는 상기 리드(1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제2a도), 반대로 상기 리드(11)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1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제2b도).
또,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의 상하측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L자형으로 굴곡성형된 걸림턱부(14a,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걸림턱부(14a,14b)는 상기 함몰부(21)의 상측가장자리부(21a)에 형성된 돌출부(21c) 및 상기 함몰부(21)의 하측가장자리부(21b)에 각각 맞물림 결합되어 있다.
반대로,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11)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11)의 상측걸림턱부(14a)는 상기 함몰부(21)의 하부가장자리(21b)에 걸려서 더 이상의 선회운동이 방지되고, 상기 리드(11)의 하측걸림턱부(14b)는 상기 상부가장자리(21a)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의 외면은 상기 전면패널(20)과 거의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리드(11)의 하측부를 상기 함몰부(21)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리드(11)은 그 중앙부에 배설된 힌지(13)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사용위치, 즉, 그립부재(12)가 전면패널(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1)의 상측걸림턱부(14a)는 상기 함몰부(21)의 하부가장자리(21b)에 걸려서 더 이상의 선회운동이 방지되고, 상기 리드(11)의 하측걸림턱부(14b)는 상기 상부가장자리(21a)에 결려서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재(12)를 파지한 경우에는 주로 제2b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므로 상기 그립조립체(10)가 원위치 방향으로 선회하거나 불안정하게 요동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그립조립체(10)를 원래의 비사용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b도의 힌지(13)의 상부를 함몰부(21)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하측걸림턱부(14b)는 상기 함몰부(21)의 상부가장자리(21a)에 형성된 돌출부(21c)의 저항을 이기고 선회함으로써, 제2a도에 도시된 비사용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리드(11)의 표면과 상기 전면패널(20)의 표면은 거의 동일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차량의 전면패널의 외관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전면패널의 양측부에 한 쌍의 그립조립체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전면패널의 중앙부에 하나의 그립을 채용한 종래기술에 비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될 수 있으며, 또 사용시에만 전면패널에 노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의 내측으로 은닉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면패널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시 노출형인 종래의 그립장착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녹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매몰형 그립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요지구성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리드(11)의 선회운동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상하부의 걸림턱부(14a,14b)와 같은 구성 대신 힌지(13)에 스토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전면패널(20)에 설치되는 그립에 있어서, 사용시 트럭의 전면패널(20)의 외측에 노출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전면패널(20)의 내측으로 은닉시킬 수 있는 매몰형 그립조립체(10)로서, 상기 전면패널(20)의 양측부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함몰부(21), 상기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 및 상기 리드(1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11)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함몰부(21)내에 수용되는 그립부재(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11)는 그 중앙부에 힌지(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1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13)의 상측에 그립부재(12)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11)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13)의 하측에 그립부재(12)가 위치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의 상하측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L자형으로 굴곡성형된 걸림턱부(14a,14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21)의 상측가장자리부(21a)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돌출부(2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1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11)의 상측걸림턱부(14a)는 상기 상부가장자리(21a)의 돌출부(21c)에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리드(11)의 하측걸림턱부(14b)는 상기 하부가장자리(21b)에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리드(11)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11)의 상측걸림턱부(14a)는 상기 하부가장자리(21b)에 걸려서 더 이상의 선회운동이 방지되고, 상기 리드(11)의 하측걸림턱부(14b)는 상기 상부가장자리(21a)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2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리드(11)의 외면이 상기 전면패널(20)과 거의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 그립조립체(10).
KR2019950022932U 1995-08-30 1995-08-30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KR0117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932U KR0117063Y1 (ko) 1995-08-30 1995-08-30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932U KR0117063Y1 (ko) 1995-08-30 1995-08-30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23U KR970009423U (ko) 1997-03-27
KR0117063Y1 true KR0117063Y1 (ko) 1998-04-27

Family

ID=1942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932U KR0117063Y1 (ko) 1995-08-30 1995-08-30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0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23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1107B2 (ko)
US5211436A (en) Handle device for use on trunk lids of automobiles
KR0117063Y1 (ko) 차량의 전면패널의 매몰형 그립(Grip) 조립체
JPS6233102B2 (ko)
JP2000192695A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H0346143Y2 (ko)
KR100188593B1 (ko) 차량용 쿼터 윈도글라스의 개폐장치
JP2555077Y2 (ja) ドアヒンジ取付装置
JP2517070Y2 (ja) 車両のバックドアハンドル
JP2000085363A (ja) 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用ストッパの取付構造
JPH0241259Y2 (ko)
KR0129052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손잡이
KR01459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힌지 보호커버구조
KR970004440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조립체
JPH1111152A (ja) バックドアグリップ
JPH0828116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ハンドル
JP4090818B2 (ja) 車両における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JPH049835Y2 (ko)
JPH0241257Y2 (ko)
JPH09286281A (ja) ボックス用リッドの取付構造
JP2764368B2 (ja) ラッゲージドアハンドル装置
KR970065950A (ko) 트렁크 리드 힌지의 소음 저감구조
KR200273957Y1 (ko) 도어용 핸들
KR930001524Y1 (ko)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JPH05323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