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751Y1 -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751Y1
KR0116751Y1 KR2019940020234U KR19940020234U KR0116751Y1 KR 0116751 Y1 KR0116751 Y1 KR 0116751Y1 KR 2019940020234 U KR2019940020234 U KR 2019940020234U KR 19940020234 U KR19940020234 U KR 19940020234U KR 0116751 Y1 KR0116751 Y1 KR 0116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ulse
signal
clamp pul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495U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40020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751Y1/ko
Publication of KR960009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26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28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 H03K3/281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 H03K3/284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monost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클램프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클램프 펄스를 발생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가 공급되지 않을시 R,G,B 단색의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종래 영상 클램프 절환회로는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클램프펄스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이 잡히지 않게되므로 무신호시에는 음극선관(CRT)의 각전극의 Ekco전압차에 의해 컷오프전압이 가장 낮은 캐소드전극의 단색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모드전환시 동기신호가 공급되지 않다가 공급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단색의 백라스터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기신호의 펄스폭만큼 지연되어 출력되는 클램프펄스의 유,무를 판별하여 클램프펄스가 출력되지 않을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이용하여 발생된 클램프신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동기신호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클램프신호를 공급하여 클램프레벨을 잡아주고자 한 것으로 모니터의 영상 클램프회로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본 고안은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클램프 펄스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적,녹,청(R,G,B) 단색의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클램프 출력회로에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를 입력받아 클램프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클램프신호 발생부(11)와, 상기 영상 클램프신호 발생부(11)에서 출력된 클램프펄스를 입력받아 영상출력 컷오프(Cut Off)레벨을 조정하는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12)와, 영상 출력 컷오프 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영상 클램프 출력회로는; 영상신호의 블랭킹기간내에 동기신호가 같이 공급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영상 클램프신호 발생부(11)에서 수평동기신호(HS)를 입력받아 동기신호 펄스폭 만큼 지연시켜 클램프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클램프신호발생부(11)에서 출력된 클램프펄스를 입력받아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12)에서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이 조정되어 영상출력부(13)에서 영상신호가 출력된다.
종래의 영상 클램프 출력회로에서 영상 클램프신호 발생부(11)에 입력되는 신호를 수평동기신호(HS)를 사용하는 이유는, 영상신호의 녹색신호에 동기가 실려 들어옴으로써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이용할 경우 영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12)에서 컷오프레벨 조정후 영상신호 인가시 녹색신호의 컷오프레벨이 영상신호에 같이 들어오는 동기레벨만큼 클램프레벨이 변하게 되어 녹색신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평동기신호(HS)를 이용한다 해도 종래 영상 클램프 출력회로는 수평동기신호(HS)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클램프펄스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이 잡히지 않게 되므로 무신호시에는 음극선관(CRT)의 각전극의 Ekco전압차에 의해 컷오프전압이 가장 낮은 캐소드전극의 단색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모드전환시 동기신호가 공급되지 않다가 공급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단색의 백라스터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기신호의 펄스폭만큼 지연되어 출력되는 유,무를 판별하여 클램프펄스가 출력되진 않을시에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이용하여 발생된 클램프신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동기신호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클램프신호를 공급하여 클램프레벨을 잡아주고자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영상 클램프 출력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 진리표.
제4도는 본 고안 회로의 각 부분에서의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클램프 펄스 발생부 2 :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
3 : 클램프펄스 제어부 4 : 제2 클램프 펄스 발생부
5 : 영상출력 컷오프 조정부 6 : 음극선관
본 고안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회로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를 입력받아 동기펄스폭 만큼 펄스폭이 지연된 클램프펄스를 출력시키는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와, 상기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클램프펄스의 유,무를 판별하는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이용하여 크램프펄스를 출력시키는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와, 상기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에서 판별된 결과에 의하여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를 제어하는 클램프펄스 제어부(3)와, 상기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 도는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의 출력중 하나를 클램프펄스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펄스선택 스위칭부(D1, D2)와, 이 펄스선택 스위칭부를 통해서 상기 제 1클램프펄스 발생부(1) 및 제 2클램프펄스 발생부(4)로부터 입력되는 클램프펄스의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을 조정하는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와,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음극선관(CRT)(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는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B)와 접지에서 입력되는 신호(A)를 논리연산하여 클램프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판별된 신호에 따른 신호 및 펄스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에서 출력되는 펄스폭을 조정하는 저항(R6) 및 콘덴서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펄스 제어부(3)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의 출력을 충전시키는 저항(R7) 및 콘덴서(C4)와, 상기 콘덴서(C4)에 충전되는 전위에 의해서 온,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에 의해서 스위칭,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백펄스로 트랜지스터(Q1)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저항(R1, R2) 및 콘덴서(C1)와,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 오프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어 상기 백펄스에 대응하는 클램프펄스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2) 및 바이어스 저항(R3, R4)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는 저항값이 가변되어 클램프펄스의 컷오프레벨을 조정하는 가변저항(VR1)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B+,B2+B3+는 전원, R5, R9는 저항 C2는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영상 클램프 자동절환회로는 제4도의 (e)와 같은 수평동기신호(HS)가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에 입력될 경우에는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에서 제4도의 (f)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 펄스폭(td) 만큼 지연된 클램프펄스가 출력되어 다이오드(D1)와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에 인가된다.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진리표와 같이 출력(Q)이 결정된다. 즉, 접지에서 입력되는 신호(A)는 항상 로우레벨(L)을 유지하게 되며, 콘덴서(C3) 및 저항(R6)의 시정수에 의해 펄스폭이 결정되어 제4도에 (g)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저항(R7)을 통해서 콘덴서(C4)가 충전된다. 여기에 충전되어지는 전압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 트랜지스터(Q3)가 온 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가 로우레벨(0.2V)이 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이 로우레벨로 되고,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떨어지게 되므로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에는 다이오드(D1)에 출력되어 있던 제 1 클램프펄스가 입력되고,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이 가변되어 컷오프조정을 하여 항상 제4도의 (f)같은 클램프 펄스에 의해 음극선관(CRT) 캐소드단자의 출력전압이 클램프된다.
한편, 수평동기신호(HS)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의 출력이 로우가 되고, 상기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의 출력은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로 입력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의 출력(Q)은 로우가 되고,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의 출력(Q)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에서 제4도의 (c)와 같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이용하여 제4도의 (d)와 같은 클램프펄스를 출력시켜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에 입력해 준다.
즉, 제4도의 (c)와 같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가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의 콘덴서(C1) 및 저항(R1, R2)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이 펄스의 양(+)의 주기 동안에 트랜지스터(Q1)가 온되는 스위칭 온,오프 동작이 일어나고, 트랜지스터(Q1)가 온되는 주기 동안에는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그 콜렉터단(다이오드(D2)의 애노우드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나타나고,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는 주기 동안에는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그 콜렉터단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제4도의 (c)와 같은 타이밍과 파형의 백펄스에 의한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에 대응하여 제4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이밍과 파형의 제 2 의 클램프펄스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에서 출력된 클램프펄스는 다이오드(D2)를 통해서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에 입력되고, 여기서 가변저항(VR1)의 저항값 가변을 통해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이 조정되어 클램프펄스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평동기신호(HS)가 입력될 경우에는 수평동기신호(HS) 펄스폭(td)만큼 지연시킨 클램프펄스가 공급되고, 수평동기신호(HS)가 들어오지 않을 우에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3차 권선출력을 이용하여 클램프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공급하므로서, 제4도의 (a)같은 일반적인 영상신호에 제4도의 (b)와 같은 동기신호가 함께 실려오는 경우에도 클램프 레벨이 변화되지 않고, 또한 동기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클램프 신호를 공급하여 클램프레벨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평동기신호(HS)를 입력받아 동기펄스폭 만큼 펄스폭이 지연된 클램프펄스를 출력시키는 제 1클램프펄스 발생부(1)와, 제 1클램프펄스 발생부(1)에서 출력된 클램프펄스의 영상출력 컷오프레벨을 조정하는 영상출력 컷오프조정부(5)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음극선관(CRT)(6)으로 구성된 영상 클램프출력회로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를 입력받아 제 2의 클램프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 2 클램프 펄스 발생부(4)와, 상기 제 1 클램프 펄스 발생부(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클램프 펄스의 유무를 판별하는 클램프 펄스 유무 판별부(2)와, 상기 클램프 펄스 유무 판별부(2)에서 판별된 결과에 의해서 상기 제 1 클램프 펄스 발생부(1)의 클램프 펄스 또는 상기 제 2 클램프 펄스 바생부(4)의 클램프 펄스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클램프 펄스 제어부(3)와, 상기 제 1 클램프펄스 발생부(1) 또는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의 출력중 하나를 클램프펄스 제어부(3)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펄스선택 스위칭부(D1, D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클램프 자동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펄스 유무판별부(2)는 제 1클램프 펄스 발생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B)와 접지에서 입력되는 신호(A)를 논리연산하여 클램프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판별된 신호에 따른 신호 및 펄스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에서 출력되는 펄스폭을 조정하는 저항(R6) 및 콘덴서(C3)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펄스 제어부(3)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의 출력을 충전시키는 저항(R7) 및 콘덴서(C4)와, 상기 콘덴서(C4)에 충전되는 전위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클램프펄스 발생부(4)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백펄스에 의해서 스위칭 온,오프된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백펄스로 트랜지스터(Q1)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저항(R1, R2) 및 콘덴서(C1)와,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 오프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어 상기 백펄스에 대응하는 클램프펄스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2) 및 바이어스 저항(R3, R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클램프 자동절환회로.
KR2019940020234U 1994-08-10 1994-08-10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KR0116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234U KR0116751Y1 (ko) 1994-08-10 1994-08-10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234U KR0116751Y1 (ko) 1994-08-10 1994-08-10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495U KR960009495U (ko) 1996-03-16
KR0116751Y1 true KR0116751Y1 (ko) 1998-04-23

Family

ID=1939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234U KR0116751Y1 (ko) 1994-08-10 1994-08-10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7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495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387B1 (ko) 픽쳐인픽쳐기능을 구비한 영상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상태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US466008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electable video input signals
US4660085A (en) Television receiver responsive to plural video signals
KR0116751Y1 (ko) 영상 클램프 자동 절환 회로
EP0574711B1 (en) Automatic contrast control circuit with inserted vertical blanking
JPH06233150A (ja) フォーカス電圧制御装置
JP2805223B2 (ja) Crt受像機
KR0178183B1 (ko) 클램프 신호 생성 동작 제어방법
US5940147A (en) Power supply synchronization
KR940010481B1 (ko) Tv수상기의 영상보상 수직 편향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08191405A (ja) クランプパルス発生回路
JP2004349770A (ja) オートカットオフ回路及びそのミュート解除方法
KR0141760B1 (ko) 텔레비젼의 부화면 휘도 및 편향보정 장치
JP2917682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599474Y2 (ja) 陰極線管の画像振幅調整装置
KR910002777B1 (ko) 비디오처리용 펄스성형회로
KR100206322B1 (ko) 액정프로젝션 텔레비젼 수상기의 밝기 조정방법 및 회로
JPH06165058A (ja) Crt
KR0138104Y1 (ko)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KR100260706B1 (ko) 방송수신 모니터의 akb라인 제거장치
JP3329149B2 (ja) クランプパルス発生方法およびその回路
JPH11150736A (ja) モニタ装置
JP2743412B2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JPH09312785A (ja) 画像表示装置
JPH0832832A (ja) 同期信号補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