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04Y1 -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04Y1
KR0138104Y1 KR2019940005824U KR19940005824U KR0138104Y1 KR 0138104 Y1 KR0138104 Y1 KR 0138104Y1 KR 2019940005824 U KR2019940005824 U KR 2019940005824U KR 19940005824 U KR19940005824 U KR 19940005824U KR 0138104 Y1 KR0138104 Y1 KR 0138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phase correction
signa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917U (ko
Inventor
정해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5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04Y1/ko
Publication of KR950028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7Circuits special to multi-standar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방식을 채용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방송방식에 따라 상이한 수직 주파수를 체크하여 화면의 수평, 수직 상을 자동 보정하도록 하는 멀티 시스템의 상 보정 회로로써 기존 멀티 시스템에서는 50HZ일 경우의 방송방식과 60HZ링 경우의 방송방식 선택에 따라 수직, 수평 상 보정을 행하여만 정상적인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방송신호 입력시 자동으로 수평, 수직 상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방송신호중의 수직 주파수를 검출 카운트하여 50HZ, 60HZ를 판별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콤에서 출력시키고 마이콤의 제어 신호 출력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수직 편향 요크에 인가되는 전압을 콘트롤하여 수직 상 보정을 행하는 한편 신호처리 IC에 수평 상 쉬프트(Shift)값을 인가시켜 수평 상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시스템의 상 보정 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처리IC 20 : 수직IC
30 : 마이콤 Q1,Q2,Q3 : 트랜지스터
R1-R8 : 저항
본 고안은 각기 다른 방송방식의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멀티방식을 채용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방송방식에 따라 상이한 수직 주파수를 체크하여 화면의 수평, 수직 상을 자동 보정하도록 하는 멀티시스템의 상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방송방식이 상이한 방송을 하나의 세트로 수신가능한 멀티 시스템이 중남미나 중동 등에서 보편화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송시청을 원하는 시청자도 멀티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으나 방송방식에 따라 PAL방식은 수직주파수가 50HZ, NTSC방식은 수직주파수가 60HZ로 구분되어 있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수평, 수직 상이 서로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주파수가 50HZ일 경우 PAL방송방식과 수직주파수가 60HZ일 경우의 NTSC방송방식 선택에 따라 수직, 수평 상 보정을 행하여만 정상적인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방송방식 선택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나 스위치를 강제로 스위칭 시켜 편향 요크에 걸리는 전압을 절환시킴으로써 수직, 수평 상 보정을 행하고 있으나 이 경우 강제적 스위칭으로 인하여 자동 상 보정이 되지 못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나 스위치의 설치에 따른 구성상의 복잡함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방송신호 입력시 방송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수평, 수직 상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방송신호중의 수직 주파수를 검출 카운트하여 방송방식을 판별하는제어신호를 마이콤에서 출력시키고, 마이콤의 제어신호 출력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수직 편향 요크에 인가되는 전압을 콘트롤하여 수직 상 보정을 행하는 한편 신호처리IC에 수평 상 쉬프트(Shift)값을 인가시켜 수평 상 보정을 행하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 같이 멀티 시스템에서 방송방식이 상이한 방송시청시 자동으로 수평, 수직상 보정을 행하도록 하는 본 고안을 일실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신호처리IC(10)는 영상 및 음성신호와 칼라신호 등을 처리하는 완칩(one chip)IC로써 본 고안에서는 단자(A)(F)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호처리IC(10)는 단자 (A)로 방송신호중의 수직 주파수를 출력시키고 단자(F)로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수평 상을 쉬프트 시키게 된다.
수직IC(20)는 신호처리IC(10)의 수직주파수를 단자(B)로 입력받아 단자(C)로 수직 동기 펄스를 출력시킨다.
마이콤(30)은 단자(D)로 수직 동기 펄스를 입력받아 이를 카운트하여 50HZ, 60HZ(방송방식)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단자(E)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마이콤(30)의 단자(E)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트랜지스터(Q3)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호 상반된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1)(Q2)의 구동을 제어한다.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측은 수직 편향 요크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2)의 온/오프에 따라 수직 상 보정을 행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에 따라서는 저항(R5-R7)의 분배전압이 달라지게 되고 이러한 분배전압은 신호처리IC(10)의 단자(F)에서 인식하여 수평 상 보정을 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방송신호 중의 수직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시키고 수평상 보정 전압을 받아 수평 상을 쉬프트 시키는신호처리IC(10)와,
신호처리IC(10)의 수직 주파수를 받아 수직 동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직IC(20)와, 수직IC(20)의 수직 동기 펄스를 카운트하여 방송방식에 따라 상이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30)과,
마이콤(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수직 편향 요크에 수직상 보정 전압을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1)(Q2)와,
마이콤(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저항(R5-R7)에 의해 분배전압을 수평상 보정전압으로 신호처리IC(10)에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방송신호가 신호처리IC(10)에 인가되면 신호처리IC(10)에서는 동기신호를 분리한 다음 전압 제어 발진기를 거쳐 수평 수직 주파수를 분리하는 디바이더로 전달하게 되고 디바이더에서 분리되어진 수직 주파수를 단자(A)로 출력시킨다.
신호처리IC(10)의 단자(A)에서 출력된 수직 주파수는 수직IC(20)의 단자(B)로 입력되어지고 수직IC(20)에서는 수직 플라이백 발생기를 통하여 수직 동기 펄스를 얻어낸 후 수직동기펄TM를 단자(C)로 출력시킨다.
수직IC(20)의 단자(C)에서 출력된 수직 동기 펄스는 마이콤(30)의 단자(D)로 인가되고 마이콤(30)에서는 단자(D)로 인가된 수직 동기 펄스를 정해진 시간(300ms)동안 카운트한다.
즉 300ms의 기간동안 수직 동기 펄스가 몇 개가 입력되는가를 카운트하여 16개 이하이면 50HZ(PAL방식)로 인식하고 16개 이상이면 60HZ(NTSC방식)로 인식하게 된다.
마이콤(30)에서는 50HZ(PAL방식)로 인식하면 단자(E)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60HZ(NTSC방식)로 인식하면 단자(3)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먼저 수직주파수가 50HZ 또는 60HZ의 방송신호 인가시 수직 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살펴봅다.
수직주파수가 50HZ의 방송신호(PAL방식) 인가시는 마이콤(30)의 단자(E)에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므로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1)의 '온'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면 수직 편향 요크에 걸리는 편향 전압을 변화가 없게 되어 최초 세팅된 상태대로 수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게 된다.
그러나 수직주파수가 60HZ의 방송 신호(NTSC방식) 인가시는 마이콤(30)의 단자(E)에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수직 편향 요크의 편향 전압은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만큼 상승하게 되어 수직 상 보정을 하게 된다.
여기서 50HZ 방송신호 인가시 정상적인 수직 상 보정이 되도록 수직 편향 전압을 인가시키고 60HZ 방송 신호 인가시 수직 상을 보정하는 전압만큼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방송방식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수직 상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수평 상 보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마이콤(30)의 단자(E)에서는 50HZ 방송신호 인가시 하에레벨, 60HZ 방송신호 인가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3)는 50HZ 방송신호 인가시 오프되고 60HZ 방송신호 인가시 온되게 된다.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면(50HZ 방송신호 인가시) 신호처리IC(10)의 단자(F)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R6)(R7)으로 분배된 전압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60HZ 방송신호 인가시) 신호처리IC(10)의 단자(F)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R5-R7)으로 분배된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신호처리IC(10)의 단자(F)에 인가되는 전압은 50HZ 방송신호 수신시와 60HZ 방송신호 수신시에 따라서 각기 상이하게 인가되게 되며 신호처리IC(10)에서는 단자(F)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수평 상을 쉬프트시키게 되어 결국 방송방식에 따른 수평 상 보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저항(R7)은 반고정 가변저항으로 브라운관 및 그 주변 반품의 산포에 의한 수평 상 보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저항(R7)은 반고정 가변저항으로 브라운관 및 그 주변 반품의 산포에 의한 수평 상 보정을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수직 동기 펄스를 카운트하여 방송방식에 따른제어신호를 출력시키고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 편향 요크에 걸리는 전압과 수평 상 쉬프트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변화시켜 수직, 수평상 보정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것으로써 멀티 시스템에서 강제 스위칭 보정이 아닌 자동 상 보정이 수행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방송방식이 상이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멀티시스템에 있어서, 방송신호 중의 수직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시키고 수평 상 보정전압을 받아 수평 상을 쉬프트 시키는 신호처리IC(10)와, 신호처리IC(10)에서 분리 출력된 수직 주파수를 받아 수직 동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직IC(20)와, 수직IC(20)의 수직 동기 펄스를 일정시간 카운트하여 방송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30)과, 마이콤(30)의 제어시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수직 편향 요크에 방송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직 상 보정 전압을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1)(Q2)와, 마이콤(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저항(R5-R7)에 의해 방송방식 별로 서로 다른 분배전압을 수평 상 보정전압으로 신호처리IC(10)에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3)로 이루어진 멀티 시스템의 상 보정회로.
KR2019940005824U 1994-03-21 1994-03-21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KR0138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824U KR0138104Y1 (ko) 1994-03-21 1994-03-21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824U KR0138104Y1 (ko) 1994-03-21 1994-03-21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917U KR950028917U (ko) 1995-10-20
KR0138104Y1 true KR0138104Y1 (ko) 1999-05-01

Family

ID=1937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824U KR0138104Y1 (ko) 1994-03-21 1994-03-21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917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10485A (ja) Pcモニタ兼用のマルチ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
FI74374C (fi) Bildregleringsanordning foer skaermbilden i en televisionsmottagare.
US466008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electable video input signals
KR100238673B1 (ko) 고선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모니터 출력장치
US4660085A (en) Television receiver responsive to plural video signals
KR100402300B1 (ko) 텔레비젼 세트 및 텔레비젼 세트의 채널 변경 방법
KR0138104Y1 (ko) 멀티 시스템의 상보정 회로
CA1210855A (en) Synchronization input for television receiver on- screen alphanumeric display
US4149188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display of audio signals
KR100295329B1 (ko) 수평주파수를 달리하는 디지털 콤퍼넌트 신호의 자동 선택 디스플레이 장치
KR0131735B1 (ko) 잠재의식 효과를 이용한 텔레비전
KR0150538B1 (ko) 부화면 모양 변환장치
JPS643431B2 (ko)
KR950008717B1 (ko)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시청 방송국명 표시장치
KR20000074972A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오에스디 표시장치
KR0165761B1 (ko)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 휘도신호를 이용한 화이트 보더 발생장치
KR960003425Y1 (ko) Ntsc/pal방식 겸용 텔레비젼에 있어서 수직폭 제어회로
KR0157553B1 (ko) 픽쳐인픽쳐기능을 이용한 방송잠금장치
KR200172266Y1 (ko) 멀티 화면용 수상기의 멀티 화면 처리장치
KR100277727B1 (ko) 복합 영상 신호의 수평 라인 정보 검출 장치
KR100264323B1 (ko) 텔레비젼의 표준신호레벨 조정방법 및 그 장치
JPH0826566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61783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14919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447779A (ja) テレビジョン信号選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