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234Y1 -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234Y1
KR0116234Y1 KR2019940036579U KR19940036579U KR0116234Y1 KR 0116234 Y1 KR0116234 Y1 KR 0116234Y1 KR 2019940036579 U KR2019940036579 U KR 2019940036579U KR 19940036579 U KR19940036579 U KR 19940036579U KR 0116234 Y1 KR0116234 Y1 KR 0116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utside
handle
ro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944U (ko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36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234Y1/ko
Publication of KR960022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도어핸들(60)의 핸들아암(60b)에 일단이 핀(7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핸들아암(60a)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그 타단에는 두개의 래그부(50b)가 구비된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래그부(50b)에 이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에 의하여 회전하는 우향아암(80a)과, 이 우향아암(80a)에 인접하여 해제아암(10)을 이동시키는 탄성로드(9)의 일단이 삽입되는 상향아암(80b)이 구비되어 몸체(20)에 회전가능하게 핀(7)힌지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이 구비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의 핸들아암에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일단을 직접 연결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타단을 통하여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의 우향아암을 직접 작동시키는 구성을 적용하므로써, 보다 단순화된 형상의 아웃사이드 핸들로드와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을 제공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생산성 및 수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로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정면도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다)는 (가)의 B-B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로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정면도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의 조립사시도
5도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로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나)는 (가)의 D-D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로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나)는 (가)의 E-E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70 : 핀 9 : 탄성로드
10 : 해제아암 50 : 아웃사이드핸들로드
50b : 래그부 60 : 도어핸들
60b : 핸들아암 80 : 아웃사이드로커아암
80a : 우향아암 80b : 상향아암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핸들/아웃사이드 핸들로드/로커아암(Rocker Arm)등의 형상 및 연결관계를 변경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킨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는 자동차 외부에서 도어를 여닫는 아웃사이드 개폐장치와, 차실내에서 도어를 여닫는 인사이드 개폐장치와,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장치가 일련의 링키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개략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 제 1도에 도시하였으며, 그 작동상태를 제 2도에 도시하였다.
아웃사이드 개폐장치는 첨부도면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인 아웃사이드 도어핸들(1)과, 상기 아웃사이등 도어핸들(1)의 핸들아암(1a) 일단에 접촉하여 핸들아암(1a)의 운동에 따라 핀(2)을 중심으로 요동운동하는 요동부재(3)와, 상기 요동부재(3)의 일단에 삽입된 연결부재(4)와 결합되어 상하 운동하는 아웃사이드 핸들로드(5)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로드(5)의 일단에 형성된 슬롯홀(5a)과 핀(6)을 통해 연결되어 아웃사이드 핸들로드(5)의 상향 이동에따라 회전운동하도록 몸체(20)에 핀(7)힌지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과,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상향아암(8a)에 형성된 가이드홈(8b)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회전에 따라 각운동하도록 그 일측이 몸체(20)에 고정된 턴성로드(9)와, 상기 탄성로드(9)와 접촉하여 탄성로드(9)의 각 운동을 받아 회전함으로써 차체(도시되지 않았음)에 록킹되어 있는 도어로커(도시되지 않았음)를 해제하는 해제아암(10)으로 구성되어 있다(제 1도 참조).
자동차 외부에서 개발손잡이인 아웃사이드 도어핸들(1)을 당기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핸들(1)의 핸들아암(1a)이 하향회전한다. 그러면 요동부재(3)가 핀(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부재(4)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핸들로드(5)를 위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로드(5)의 슬롯홀(5a)에 연결되어 있는 핀(6)을 상승시키게 되어 상기 핀(6)이 고정되어 있는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이 힌지핀(7)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한다. 이렇게 됨으로써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상향아암(8a)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로드(9)가 회전하여 해제아암(10)을 밀어 회전시켜 차체에 록킹되어 있는 도어로커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어있었다(제2도의 (가),(나),참조).
이때의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우향아암(8c)은 접촉하고 있던 후술하는 인사이드로커아암(13)으로 부터 이탈되어 하향이동하는 상태이다(제 2도의 (다) 참조).
한편 인사이드 개폐장치는 첨부된도면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인 인사이드 도어핸들(도시되지 않았음)과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인사이드핸들케이블(11)과, 상기 인사이드핸들케이블(11)에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도록 몸체(20)에 핀(12)힌지 되어 있는 인사이드로커아암(1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인사이드로커아암(13)의 일단은 상술한 아웃사이드 개폐장치의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우향아암(8c)과 접촉되어 있다(제 1도 참조).
차실내에서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인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당기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인사이드 핸들케이블(11)이 당겨진다. 그러면 몸체(20)에 핀(12)힌지 되어 있는 인사이드로커아암(13)이 회전하여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의 우향아암(8c)을 눌러 하향회전 시킴으로써 상술한 아웃사이드 개폐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탄성로드(9)/해제아암(10)을 작동시커 도어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었다(제 3도의 (나)참조). 이때에는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에 고정된 핀(6)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에 형성된 슷롯홀(5a)를 따라 상향 이동하므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에는 상승력이 작용하지 않아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어있다(제3도의 (가)참조).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회전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을 복원시키는 인장코일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그 구성부품의 수가 너무 많을 뿐만아니라, 각 구성부품이 수행하는 기능에 비해 너무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또한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슬롯홀이 아웃사이드로커아암에 핀으로 리벳팅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 증가와 조립생산성 저하에 따른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그 수리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의 핸들아암에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일단을 직접 연렬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타단을 통하여 아우사이드로커아암의 우향아암을 위에서 아래로 직접 눌러 작동시키는 구성을 적용하여, 요동부재를 삭제하고, 보다 단순화된 형상의 아웃사이드 핸들로드와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을 제공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생산성 및 수리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일단을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의 핸들아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이 핸들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가 상하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타단을 통하여 아웃사니드로커아암의 우향아암을 위로부터 아래로 눌러 작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웃사이드도어핸들 및 핸들아암과 아웃사이드핸들로드를 통하여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이 직접 작동되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그 반족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4도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상부에는 구멍(5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하향하여 갈라진 두개의 래그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는 종래에 있어서의 아웃사이드핸들로드(5)가 연결된 아웃사이드도어핸들(60)의 핸들아암(60a)이 아닌 반대편, 즉, 상기 종래의 아웃사이드도어핸들(5)과 인접한 또다른 핸들아암(60b)에 그 일단의 구멍(50a)을 통하여 핀(7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일단에 구멍(50a)을 형성하여 핀(70)으로 연결하지 않고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연결부재(4)와 결합시켜 핸들아암(60b)에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또다른 핸들아암(60b)에 연결하는 이유는 아웃사이드도어핸들(60)과 몸체(20)의 장착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형상만 약간 변경된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4)를 사용하면 각 부품의 장착위치의 변동에 따라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길이변화가 필요할때 상기 연결부재(4)를 통하여 장착길이를 적절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타단 래그부(50b)는 몸체에 핀(7)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아웃사아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90a)을 위에서 아래로 헐겁게 끼운 형태로 그 접촉부(50c)가 우향아암(80a)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타단에는 래그부(50b)를 형성하지 않고 그 선단을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을 위에서 아래로 누를 수 있도록 접촉시키기만 할 수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가 상기 우향아암(80a)을 벗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이탈방지를 위해서 래그부(50b)를 형성하느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을 직접 눌러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에는 우향아암(80a)과 상향아암(80b)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5도의 (가),(나)에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어를 되부에서 열기 위하여 아웃사이드도어핸들(60)을 당기면 상기 아웃사이드도어핸들(60)의 핸들아암(60a,60b)이 하향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아암(60b)에 일단이 핀(70)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가 하향 이동한다(제 4도 참조).
이때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타단에 형성된 래그부(50b)에는 몸체(20)에 핀(7)을 통해 되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이 이동가능하도록 헐겁게 끼워져서 그 접촉부(50c)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아웃사이드핸드로드(50)가 하향이동하여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어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이 핀(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회전된 상태에서 인사이드로커아암(13)과의 상호 위치 관계는 첨부도면 제 5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상향아암(80b)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탄성로드(9)와, 상기 탄성로드(9)가 접촉된 해제아암(10)을 회전시켜 차체에 록킹되어 있는 도러로커를 해제하여 도러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 6도의 (가),(나)에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인사이드핸들케이블(11)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차실내에서 도어를 열기 위하여 인사이드도어핸들을 당기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인사이드핸들케이블(11)이 당겨진다. 그러면 상기 인사이들핸들케이블(11)이 연결되어 있는 인사이드로커아암(13)이 당겨지게 되는데, 이 인사이드로커아암(13)은 몸체(20)와 핀(12)을 통해 힌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1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인사이드로커아암(13)의 일단이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어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이 핀(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이 탄성로드(9)와, 해제아암(10)을 회전시켜 차체에 록킹되어 있는 도러로커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제 6도의 (가)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인사이드로커아암(13)에 의해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이 회전된 상태에서의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과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상호 위치관계는 첨부된 도면 제 6도의 (나)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래그부(50b)는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에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상기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의 우향아암(80a)만 자연스럽게 하향회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따라 아웃사이드도어핸들의 핸들아암에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일단을 직접 연결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의 타단을 통하여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의 우향아암을 직접 작동시키는 구성을 적용하므로써, 요동부재를 삭제하고, 보다 단순화된 형상의 아웃사이드핸들로드와 아웃사이드로커아암을 제공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생산성 및 수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 외부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핸들(60)과, 상기 아웃사이드도어핸들(60)의 핸들아암(60b)에 일단이 핀(7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핸들아암(60b)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그 타단에는 두개의 래그부(50b)가 형성되어 있는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래그부(50b)에 이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어 아웃사이드핸들로드(50)의 이동으로 회전하는 우향아암(80a)과, 이 우향아암(80a)에 인접하여 해제아암(10)을 이동시키는 탄성로드(9)의 일단이 삽입되는 상향아암(80b)이 구비되어 몸체(20)에 회전가능하게 핀(7) 힌지된 아웃사이드로커아암(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KR2019940036579U 1994-12-28 1994-12-28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KR0116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579U KR0116234Y1 (ko) 1994-12-28 1994-12-28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579U KR0116234Y1 (ko) 1994-12-28 1994-12-28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44U KR960022944U (ko) 1996-07-20
KR0116234Y1 true KR0116234Y1 (ko) 1998-04-23

Family

ID=1940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579U KR0116234Y1 (ko) 1994-12-28 1994-12-28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2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44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6954A3 (en) Plug-type overwing emergency exit door assembly
EP1134104A1 (en) A tailgat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020056232A1 (en) Locking controller of a sliding door
CN114737833A (zh) 一种隐藏式汽车外把手结构
KR0116234Y1 (ko) 자동차 도어 개폐장치
JP3597727B2 (ja)
KR0113632Y1 (ko) 암 로드의 조립구조
KR100391520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콘트롤러
JPH0411181A (ja) 自動車用フードヒンジ構造
KR0124906Y1 (ko) 왜건차량 트렁크문의 링크장치
CN114834334B (zh) 一种多功能翻转杯托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H076396Y2 (ja) 自動車用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EP1293368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roto-translating door for motor vehicles
KR100466239B1 (ko)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KR100443967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JPH0349260Y2 (ko)
KR200141371Y1 (ko) 자동차용 연료필러도어의 열림구조
KR200284820Y1 (ko) 자동차도어용아웃사이드핸들의로드구동구조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JPH0526203Y2 (ko)
KR200144575Y1 (ko) 트윈스윙용 테일게이트의 리모트콘트롤 어셈블리
KR100211403B1 (ko) 절첩식 도어 잠금장치
JPH0231820Y2 (ko)
KR200149974Y1 (ko) 테일 게이트의 인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