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893Y1 -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893Y1
KR0115893Y1 KR92013919U KR920013919U KR0115893Y1 KR 0115893 Y1 KR0115893 Y1 KR 0115893Y1 KR 92013919 U KR92013919 U KR 92013919U KR 920013919 U KR920013919 U KR 920013919U KR 0115893 Y1 KR0115893 Y1 KR 0115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arking brake
switch
parking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166U (ko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이범창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창,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범창
Priority to KR92013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893Y1/ko
Publication of KR940003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주행중에 도로사정으로 인한 일시 정차시나 장시간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에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지시키고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그니션키가 꽂혀 있는 것을 감지하여 제동등이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한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를 매개해서 제1전원(1G)에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된 다이오드(6)와; 코일의 한쪽 단자가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5)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의 다른쪽 단자가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되고, 공통 접점(c)에 제동등(2)에 접속되고서 제1접점(a)이 브레이크 스위치(1)를 매개해서 제2전원(B+)에 접속됨과 더불어 제2접점(b)이 직접 상기 제2전원(B+)에 접속된 릴레이(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 스위치 1 : 제동등
3 : 주차브레이크 스위치 4 :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
5 :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 6,6-1 : 다이오드
7 : 릴레이 8 : 주차위치 스위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주행중에 도로사정으로 인한 일시 정차시나 장시간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에, 브레이크 패달에서 발을 떼거나 또한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지시키고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그니션키(ignition key)가 꽂혀 있는 것을 감지하여 제동 등을 점등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현재, 한정된 도로사정에 비해 자동차의 보급대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주행차량의 정체현상이 날로 악화되면서 차량 주행중에 일시 정차 횟수 및 정차시간이 점차 증대되는 경항이 있고, 더욱이 사고 발생시에는 수십분씩 차량이 정체되어 일부 운전자가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시동을 끄고 대기하는 사례를 흔히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정체시에는 대부분의 운전자가 차량의 정지상태를 후방 진행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하므로, 운전자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부 운전자는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나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밟을 경우가 있는데, 이때 제3도에 나타낸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제3도에서 참조부호 1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온상태로 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이고, 2는 제동등이며, 3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온상태로 되는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이고, 4는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등제어회로에 있어서,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나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밟을 때는 경우에는 계기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만 점등되고 제동등(2)이 점등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밟을 때는 순간에 제동등(2)이 점멸되어 후방 진행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주행중이거나 주행을 개시하려는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주행속도를 늦추지 않음으로써, 예상치 못한 충돌을 유발하는 등의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제4도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는 제3도의 제동등 제어회로에 릴레이(7)를 더 설치한 것 이외에는 제2도의 제동등 제어회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나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경우에는 계기판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실시램프(4)가 점등됨과 더블어 릴레이(7)에 의해 제동등(2)의 점등상태를 유지하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에도 제동등(2)의 점등상태를 유지하여 후방 진행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차량이 정차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속도를 늦추게 됨으로써 예상치 못한 충돌을 억제할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서도 일시 정차시에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나서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지시킬 경우에는 제동등이 소등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 주행중에 도로사정으로 인한 일시 정차시나 장시간 정차시에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에,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또한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지시키고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그니션키가 꽂혀 있는 것을 감지하여 제동 등을 점등상태로 유지시킬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제어동등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제1의 자동차용 제동등제어회로는, 한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를 매개해서 제1전원에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코일의 한쪽 단자가 이그니션키 리메인(remain ) 스위치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의 다른쪽 단자가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에 접속되고, 공통 접점이 제동 등의 접속되고서 제1접점이 브레이크 스위치를 매개해서 제2전원에 접속됨과 더불어 제2접점이 직접 상기 제2전원에 접속된 릴레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2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는, 상기 제1의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와 접지간에서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와 다이오드를 매개해서 병렬로 설치되어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를 주차범위에 놓으면 온상태로 되는 주차위치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제4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혔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5는 키홀더(key hold er)에 이그니션키가 꽂혀 있을때에 온상태로 되는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이고, 6은 한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를 매개해서 전원(IG)에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이다. 그리고, 릴레이(7)는 코일의 한쪽 단자가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5)에 접속됨과 더불어 코일의 다른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되고, 공통 접점(c)이 제동등(2)에 접속되고서 접점(a)이 브레이크 스위치(1)를 매개해서 밧데리 전원(B+)에 접속됨과 더불어 접점(b)이 직접 밧데리 전원(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키홀더에 이그니션키를 꽂게 되면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5)가 온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으면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가 온상태로 되어 전원(IG)으로부터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와 다이오드(6) 및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로 이어지는 전류통로가 형성되어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가 점등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밧데리 전원(B+)으로부터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5)와 릴레이(7)의 코일 및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로 이어지는 전류통로가 형성되어 릴레이(7)의 코일이 자화(磁化)되고, 그 따라 릴레이(7)의 공통접점(c)접점(b)에 연결되어 제동등(2)이 점등되게 된다. 그후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가 오픈상태로 되어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가 점멸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1)가 온상태로 되어 제동등(2)이 점등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이그니션키가 꽂혀 있는 동안에는 도로사정에 의해 일시 정차시나 장기간 정차시에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에, 브레이크 패달에서 발을 떼거나 또는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지시키더라도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때까지 제동등이 계속해서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를 격감시킬 수 있고, 후방진행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차량이 정차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속도를 늦추게 됨으로써 안전운행을 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절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를 자동변속기 차량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제2실시예는 자동 변속기의 변환레버(changelever)를 주차범위에 놓으면 온상태로 되는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 어셈블리 주차위치 스위치(8; 이하, 주차위치 스위치라 약칭함)가 릴레이(7)와 접지간에서 다이오드(6-1)를 매개해서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와 병렬로 설치된 것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키홀더에 이그니션키를 꽂게 되면 이그니션키 리메인 스위치(5)가 온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가 주차범위에 놓여 있거나 또한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으면, 주차위치스위치(8) 또는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가 온상태로 되어 전원(1G)으로부터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와 다이오드(6) 및 주차위치 스위치(8) 또는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로 이어지는 전류통로가 형성되어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가 점등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밧데리 전원(B+)으로부터 이그니션키리메인 스위치(5)와 릴레이(7)의 코일 그리고 다이오드(6-1) 및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로 이어지는 전류통로가 형성되어 릴레이(7)의 코일이 자화되고, 그에 따라 릴레이(7)의 공통 접점(c)이 접점(b)에 연결되어 제동등(2)이 점등되게 된다. 그후, 자동 변속기의 변환레버를 주차범위 이외의 범위[예컨데, 중립(neutral)범위나 드라이브(drive)범위]에 놓거나 또는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가 오프상태로 되어 주차브레이크 자동표시램프(4)가 점멸됨과 동시에, 릴레이(7)의 공통 접점(c)이 접점(b)과 연결되어 되어 제동등(2)도 점멸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1)가 온상태로 되어 제동등(2)이 점등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그니션키가 꽂혀 있는 동안에는 도로사정에 의해 일시 정차시나 장기간 정차시에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를 주차범위에 놓거나 또는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킨 다음에,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또는 연료를 절감하기 위해 엔진을 일시 정차시키더라도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를 주차범위 이외의 범위에 놓거나 또는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때까지 제동등이 계속해서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를 격감시킬 수 있고, 후방 진행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차량이 정차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속도를 늦추게 됨으로써 안전운행을 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료절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한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작동표시램프(4)를 매개해서 제1전원(1G)에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쪽 단자가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된 다이오드(6)와, 코일의 한쪽 단자가 이그니션키 리메이 스위치(5)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의 다른쪽 단자가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에 접속되고, 공통 접점(c)이 제동등(2)에 접속되고서 제1접점(a)이 브레이크 스위치(1)를 매개해서 제2전원(B+)에 접속됨과 더불어 제2접점(b)이 직접 상기 제2전원(B+)에 접속된 릴레이(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7)와 접지간에서 다이오드(6-1)를 매개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 스위치(3)와 병렬로 설치되어 자동변속기의 변환레버를 주차범위에 놓으면 온상태로 되는 주차위치 스위치(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92013919U 1992-07-28 1992-07-28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0115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19U KR0115893Y1 (ko) 1992-07-28 1992-07-28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19U KR0115893Y1 (ko) 1992-07-28 1992-07-28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166U KR940003166U (ko) 1994-02-18
KR0115893Y1 true KR0115893Y1 (ko) 1998-04-17

Family

ID=1933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919U KR0115893Y1 (ko) 1992-07-28 1992-07-28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8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166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554B1 (ko)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 조종회로
US5642094A (en) Type-of-stop expectation warning
KR0115893Y1 (ko)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0115892Y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제동등 제어회로
KR970006292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JPH0558218A (ja) 追突防止システム
JPH08216780A (ja) 自動車表示灯の表示制御装置
KR200218235Y1 (ko) 차동차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013800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 장치
JPH0726203Y2 (ja) 自動車用追突防止装置
KR0115897Y1 (ko)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0140585B1 (ko) 자동차의 주차등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20050098983A (ko)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KR0117293Y1 (ko) 자동차의 미등장치
KR100471800B1 (ko) 자동차용비상램프점멸장치
KR19980017752U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0128187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램프의 작동구조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JPH07156708A (ja) ブレ−キシグナルライト
KR19980054523U (ko) 자동차용 비상등 동작 장치
KR19980033211U (ko) 급브레이크용 비상램프
KR19980053441U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등 자동점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