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134Y1 - 피드모터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피드모터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134Y1
KR0115134Y1 KR2019940009752U KR19940009752U KR0115134Y1 KR 0115134 Y1 KR0115134 Y1 KR 0115134Y1 KR 2019940009752 U KR2019940009752 U KR 2019940009752U KR 19940009752 U KR19940009752 U KR 19940009752U KR 0115134 Y1 KR0115134 Y1 KR 0115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motor
signal
drive
integrated circu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376U (ko
Inventor
민경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9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134Y1/ko
Publication of KR950031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드모터에 인가되는 잔여구동전압을 그라운드로 패스시키도록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피드모터 사이에 지연부를 구성하여, 구동집적회로로부터 피드모터에 인가되는 구동펄스가 피드모터 정지신호로 바뀐 후에도 피드모터에 계속 인가되는 잔여펄스를 데크 또는 픽업 등 기구적인 오차에 대응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그라운드로 패스시킴으로써 피드모터를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고안은 피드모터를 구비하는 모든 디스크 재생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드모터 제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요부분의 출력파형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주요부분의 출력파형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피드모터 12 : 시스템 제어부
13 : 서보 IC 14 : 구동 IC
15 : 지연부 Q1,Q2 :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R1∼R3 : 바이어스용 저항
이 고안은 컴팩트 디스크 또는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 이용되는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드모터와 피드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사이에 지연부를 추가 구성하여 시스템 제어부에서 피드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펄스가 출력되는 시간을 가변함으로써, 피드모터를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제동할 수 있도록 한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드모터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하여 디스크를 횡단하며 광신호를 출력하는 픽업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피드모터는 유저가 지정한 위치로 픽업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지정된 위치에 픽업이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크상에 유저가 지정한 위치의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상에서 유저가 지정한 위치에 픽업이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피드모터는 픽업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야 하는데, 이 정지제어신호는 매우 정확하게 출력되어야만 픽업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외부에서 피드모터(11)를 컴팩트 디스크의 특정 트랙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서보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이하, 서보 IC라 약칭함)(13)를 구동시키고, 서보 IC(13)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구동펄스(제2도의 (가)에 도시된 A부분 참고)를 구동집적회로(이하, 구동 IC라 약칭함)(14)에 출력한다.
구동 IC(14)는 구동펄스를 인가받아 피드모터(11)에 구동신호(S+ 또는 S-)를 출력한다. 이때, 구동신호(S+ 또는 S-) 중 S+가 피드모터(1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신호하고 가정하면, S-는 피드모터(1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신호가 된다. 또한, 구동신호(S+ 또는 S-)는 어떠한 경우라도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 피드모터(11)는 구동 IC(14)로부터 인가받은 구동신호(S+ 또는 S-)에 따라 회전한다.
한편, 피드모터(13)가 지정된 목표지점까지 이동되었으면, 시스템 제어부(12)는 외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서보 IC(13)를 제어한다. 서보 IC(13)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동펄스(제2도의 (가)에 도시된 B부분 참조)를 구동 IC(14)에 출력한다.
구동 IC(14)는 초기 구동신호(S+ 또는 S-)의 방향과 역방향인 제동신호(S- 또는 S+)를 출력하여 피드모터(11)의 회전력에 제동을 가하게 된다. 이때, 구동 IC(14)의 특성상 제2도의 (다)에 도시된 C부분과 같은 불규칙 파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불규칙 파형으로 인하여 피드모터(11)가 일정시간동안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신호(S- 또는 S+)가 출력된 후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라이트(R) 또는 레프트(L) 단자 중 어느 한 단자에 하이 상태의 제어신호(이하, 구동소거신호라 칭함)를 출력하고(제2도의 (라) 참조), 다른 한 단자에는 로우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하이 상태의 구동소거신호를 베이스로 인가받은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 또는 Q2)는 턴온되어 구동 IC(14)로부터 인가되는 불규칙파형(제2도의 (다)에 도시된 C부분)을 그라운드로 패스시켜 피드모터(11)를 정확한 목표지점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미설명부호인 R1∼R3는 바이어스용 저항이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제어부(12)의 라이트(R) 또는 레프트(L) 단자에서 출력되는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이 매우 정확하여야만 한다. 즉,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이 빠르면 포커스(픽업이 지정된 목표지점에 근접한 정보)가 매우 나쁘고,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이 느리면 피드모터(11)의 제동이 늦어 피드모터(11)가 많은 트랙을 이동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을 설정할 때, 많은 횟수의 실험을 반복수행하고, 실험에 의한 데이타를 계산한 후, 계산된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 값을 시스템 제어부(12)에 프로그램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출력타이밍으로 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이 고정되어 있어서, 데크 또는 픽업 등으로 인한 기구적인 오차에 대하여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을 가변함으로써, 데크 또는 픽업 등에 기구적인 오차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피드모터를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제동시킬 수 있는 피드모터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히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특징은, 픽업을 디스크상의 일정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모터와, 사기 피드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집적회로와, 구동직접회로를 제어하는 서보집적회로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서보집적회로를 제어하고, 구동집적회로에서 피드모터에 출력되는 구동펄스의 잔여분을 그라운드로 패스시키도록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에 구동소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는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사이에 구성되어 픽업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인가되는 포크신호가 하이인 제1 상태이면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소거신호를 1펄스씩 지연시키고, 픽업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인가되는 포크신호가 제1 상태에 대하여 반전된 로우인 제2상태이면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소거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지연부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피드모터 제동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한다.
제3도를 보면, 외부에서 피드모터(11)를 컴팩트 디스크의 특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서보 IC(13)를 구동시키고, 서보 IC(13)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구동펄스(제4도의 (가)에 도시된 A부분 참조)를 구동 IC(14)에 출력한다.
구동 IC(14)는 구동펄스를 인가받아 피드모터(11)에 구동신호(S+ 또는 S-)를 출력하고, 피드모터(11)는 구동 IC(14)로부터 인가받은 구동신호(S+ 또는 S-)에 따라 회전한다.
한편, 피드모터(11)가 지정된 목표지점까지 이동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외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서보 IC(13)를 제어한다.
서보 IC(13)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동펄스(제4도의 (가)에 도시된 B부분 참조)를 구동 IC(14)에 출력한다.
구동 IC(14)는 초기 구동신호(S+ 또는 S-)의 방향과 역방향인 제동신호(S- 또는 S+)를 출력하여 피드모터(11)의 회전력에 제동을 가하게 된다. 이때, 구동 IC(14)의 특성상 제4도의 (다)에 도시된 C부분과 같은 불규칙 파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불규칙 파형으로 인하여 피드모터(11)가 일정시간동안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신호(S- 또는 S+)가 출력된 후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라이트(R) 또는 레프트(L) 단자 중 어느 한 단자에 하이 상태의 구동소거신호(제4도의 (라) 참조)를 지연부(15)에 출력하고, 지연부(15)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구동소거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2)의 지연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출력하여, 제4도의 (다)에 도시된 C부분과 같은 불규칙 파형을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 또는 Q2)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패스시킴으로써, 피드모터(11)를 정확한 목표지점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2)는 픽업(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포크(FOK:Focus OK) 신호를 인가받아 현재 피드모터(11)가 정확한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포크신호는 픽업(도시되지 않음)의 포커스에 대한 제어신호로서, 픽업이 목표지점에 가까울수록 놓은 전위값을 갖는다.
만약, 포크신호가 낮은 전위상태이면, 시스템 제어부(12)는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지연부(15)에 1펄스의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지연부(15)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1펄스의 지연제어신호를 받아 구동소거신호의 출력을 1펄스 주기동안 지연시킨다.
이후, 시스템 제어부(12)는 인가된 포크신호를 판단하여 포크신호가 높은 전위상태이면 현재 피드모터(11)가 지정된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지연부(1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지연부(15)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구동소거신호를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 또는 Q2)에 출력하여 제4도의 (다)에 도시된 C부분과 같은 불규칙 파형을 그라운드로 패스시킨다. 따라서, 피드모터(11)는 정지된다.
만약, 구동소거신호를 1펄스 지연시킨 후에도, 시스템 제어부(12)에 인가되는 포크신호가 낮은 전위상태인 경우에는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지연부(15)에 또다시 1펄스의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지연부(15)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1펄스의 지연제어신호를 받아 구동소거신호의 출력을 다시 1펄스주기동안 지연시킨다.
이후,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여기서, 포크신호에 대한 전위값은 초기에 지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피드모터(11)가 정확한 목표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포크신호의 전위값은 5[V]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에서 지연부(15)에 출력하는 1펄스 지연제어신호의 주기는 실험에 의하여 초기에 지정된다. 즉, 제동펄스(제4도의 (가)에 도시된 B부분)의 주기에 대하여 N등분하고, N등분된 값 중 각각에 해당하는 주기를 1펄스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5도를 참조하여 시스템 제어부(12)의 동작을 설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2)는 현재 피드모터(11)가 동작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1) 피드모터(11)가 동작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모든 진행을 끝낸다.
위의 단계(S1)를 통하여 피드모터(11)가 동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까지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 만약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까지 이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까지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로 귀환한다.
위의 단계(S2)에서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까지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구동 IC(14)가 제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
시스템 제어부(12)는 픽업으로부터 인가되는 포크신호가 하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4). 만약 이 단계(S4)에서 포크신호가 로우 상태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지연부(15)에 1펄스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한다(S5).
만약 위의 단계(S4)에서 포크신호가 하이 상태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부(12)는 피드모터(11)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제어부(1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소거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S6). 구동소거신호가 출력되면 피드모터(11)는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피드모터 제동장치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소거신호의 출력타이밍을 가변함으로써, 데크 또는 픽업 등에 기구적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피드모터를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광픽업을 디스크의 목표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에 의해 정회전하고, 상기 구동신호와 반대되는 제동신호에 의해 역회전하는 피드모터와, 상기 피드모터를 정역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를 제어하는 서보집적회로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집적회로에서 출력되는 제동신호가 인가된 후 발생되는 불규칙파형(구동펄스의 잔여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라운드로 패스시키기 위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입력된 소정의 지연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소거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외부로부터 디스크의 목표위치로의 이동명령을 인가받으면, 상기 서보집적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피드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고, 이때 광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포크(FOK)신호의 전위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픽업이 원하는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원하는 목표지점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만 상기 지연부에 지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모터의 제동장치.
KR2019940009752U 1994-04-29 1994-04-29 피드모터 제동장치 KR0115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752U KR0115134Y1 (ko) 1994-04-29 1994-04-29 피드모터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752U KR0115134Y1 (ko) 1994-04-29 1994-04-29 피드모터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76U KR950031376U (ko) 1995-11-22
KR0115134Y1 true KR0115134Y1 (ko) 1998-04-18

Family

ID=1938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752U KR0115134Y1 (ko) 1994-04-29 1994-04-29 피드모터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76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5134Y1 (ko) 피드모터 제동장치
US6301212B1 (en) Focusing and tracking servo circuit in an optical disk device
US6545956B2 (en) Disc player and focus search control method
US6760285B2 (en) Disk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ervo mechanism
US7190645B2 (en) Tilt control for optical disk and tilt control method
US6674694B1 (en) Light-pickup device applied to a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device for an optical disk inluding a detection circuit that generates a focus zero cross signal
JPH1011768A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5216651A (en) Pickup-drive stabilizing apparatus for an optical disc player
KR100434498B1 (ko) 모드 전환 설정구간에서 디스크 구동기의 동작 안정화장치 및 방법
JP3406133B2 (ja) 光学記憶装置
EP0400675B1 (en) Actuator driving circuits
JP200103494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調整動作実行タイミングの判別方法
EP0296338A2 (en) Optical disc system
KR0139159B1 (ko) 포커스서보제어장치
US6262412B1 (en) Optical pick-up position detector having a motor with a controlled driving voltage
JP2826355B2 (ja) ディスク装置の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制御回路
JPH0877754A (ja) 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のトラックジャンプ装置
KR930008500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 및 로딩모타 제어회로
JP2003123276A (ja) ブレーキ信号発生回路及び発生方法
JPS6089836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SU1571663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лежени за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дорожкой оптического носител
JP2606855B2 (ja) 光ディスクシーク方法
JPH0628683A (ja) 記憶装置
JPS61276133A (ja) トラツク飛び越し制御回路
JPH04281242A (ja) 光磁気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