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757Y1 -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경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757Y1
KR0114757Y1 KR2019940016501U KR19940016501U KR0114757Y1 KR 0114757 Y1 KR0114757 Y1 KR 0114757Y1 KR 2019940016501 U KR2019940016501 U KR 2019940016501U KR 19940016501 U KR19940016501 U KR 19940016501U KR 0114757 Y1 KR0114757 Y1 KR 0114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concentrated
unit
occ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630U (ko
Inventor
김창석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201994001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757Y1/ko
Publication of KR960006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송 장치의 집중 경보 발생부에 각 경보가 입력될 때 마다 집중 경보를 발생하기에 적합한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현재 한 가지의 경보가 발생해 있는 상황에서 연속하여 다른 경보가 발생할 경우 그 이전 경보에 따른 상황 만을 나타내므로 연속되는 경보의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의한 대응조치가 매우 늦어졌으나, 본 고안에서는 경보 검출부(50)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 사이에 집중 경보 해제부(80)를 연결하여 다른 경보가 발생할 경우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가 이전의 경보에 따른 신호 발생을 해제하고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경보에 따른 상황에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보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 장치의 경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송 장치의 경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경보 검출부 60 :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
70 : 표시부 80 : 집중 경보 해제부
본 고안은 전송 장치의 경보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창지의 집중 경보 발생부에 각 경보가 입력될 때 마다 집중 경보를 발생하기에 적합한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 장치의 경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각 에러에 따른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검출부(1)와, 경보 검출부(1)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2)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2)의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 경보에 따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3)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기술을 보면, 먼저, 경보 검출부(1)는 각 에러에 따른 제 1 경보 내지 제n 경보 등의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2)는 경보 검출부(1)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며, 표시부(3)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2)의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 경보에 다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현재 한 가지의 경보가 발생해 있는 상황에서 연속하여 다른 경보가 발생할 경우 표시부(3)는 그 이전 경보에 따른 상황 만을 나타내므로 연속되는 경보의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의한 대응 조치가 매우 늦어진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른 경보가 발생할 때 마다 그 새로운 경보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보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 에러에 따른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검출부와, 경보 검출부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와, 경보 검출부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 사이에 접속되어 다른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가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집중 경보 해제부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의 신호를 인가 받아 현재 경보에 따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송 장치의 경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나낸 블록도로, 각 에러에 따른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검출부(50)와, 경보 검출부(5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와, 경보 검출부(50)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사이에 접속되어 다른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가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집중 경보 해제부(80)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의 신호를 인가 받아 현재 경보에 따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을 보면, 먼저, 경보 검출부(50)는 각 에러에 따른 제 1 경보 내지 제n경보 등의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는 경보 검출부(5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며, 집중 경보 해제부(80)는 경보 검출부(50)의 신호를 인가 받아 다른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에 해당 제어 신호를 인가해서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가 이전의 경보에 따른 신호 발생을 해제하고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어, 표시부(70)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의 신호를 인가 받아 현재 경보에 따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보 검출부(50)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 사이에 집중 경보 해제부(80)를 연결하여 다른 경보가 발생할 경우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가 이전의 경보에 따른 신호 발생을 해제하고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경보에 따른 상황에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1)

  1. 각 에러에 따른 각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하나의 경보 형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검출부(50)와; 상기 경보 검출부(5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와; 상기 경보 검출부(50)와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 사이에 접속되어 다른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가 현재 경보에 따른 집중 경보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집중 경보 해제부(80)와; 상기 집중 경보 신호 발생부(60)의 신호를 인가 받아 현재 경보에 따른 상황을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보 장치.
KR2019940016501U 1994-07-05 1994-07-05 경보장치 KR0114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501U KR0114757Y1 (ko) 1994-07-05 1994-07-05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501U KR0114757Y1 (ko) 1994-07-05 1994-07-05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30U KR960006630U (ko) 1996-02-17
KR0114757Y1 true KR0114757Y1 (ko) 1998-10-01

Family

ID=1938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501U KR0114757Y1 (ko) 1994-07-05 1994-07-05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7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30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63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single-channel evaluation of sensor signals
EP0653708A3 (en) Logical circuit with error detection function, method for managing equipment and fault-tolerant system for its application.
US4543566A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with malfunction indicator
KR0114757Y1 (ko) 경보장치
JPS5644238A (en) Supervisory circuit of reverse diffusion device
JPH0765263A (ja) アナログ式感知器
JP2596318B2 (ja) 伝送装置
JPH02228823A (ja) 音声信号異常検知器
JP3102129B2 (ja) ガス絶縁機器の内部アーク検出装置
JP3347199B2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H05276073A (ja) 伝送装置
KR960012981B1 (ko) 전송시스템의 장애 발생/해제 실시간 처리회로
SU7265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H01170124A (ja) ダイバーシティ信号警報検出方式
JPH05189687A (ja) 冗長機能を有する発信器
JPH02232799A (ja) エンコーダ異常伝達方法
KR970004822A (ko) 케이블티브이용 컨버터의 입·출력장치 및 방법
JPH0474235A (ja) 誤り制御防止回路
JPH0512590A (ja) 自動警報通報システム
JPH03143144A (ja) 監視回路
JPH02127061A (ja) プリンタ用ジャム検出装置
JPH0499936A (ja) 温度監視方式
JPH02162470A (ja) 画像入力装置
JPH06350554A (ja) 装置内監視システム
JPH02104049A (ja) デイジタル通信の符号誤り予知検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